RectorsHandbook2020Korean


RectorsHandbook2020Korean

1 Pages 1-10

▲back to top

1.1 Page 1

▲back to top
지역 공동체의 고무와
통치를 위한 직무
살레시오 원장

1.2 Page 2

▲back to top
Occhiello 체의 고무와
통치를 위한 직무
살레시오 원장

1.3 Page 3

▲back to top

1.4 Page 4

▲back to top
지역 공동체의 고무와
통치를 위한 직무
살레시오 원장

1.5 Page 5

▲back to top
살레시오 원장
원문
그래픽: Andrea Marconi
인쇄 편집: Scuola grafica salesiana di Milano
한국어판
번역: 강연중, 백광현
편집: 돈보스코미디어
원제: Animating and governing the community, The ministry of
the Salesian Rector
저작권법에 의해 이 책의 모든 권리는 돈보스코미디어에 있습니다.
출판: 돈보스코미디어
비매품(2020)
한국천주교살레시오회
07434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65
02)828-3535, dbm@sdb.kr

1.6 Page 6

▲back to top
감사
양성부와 함께 협력한 형제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Ivo Coelho, Jose Kuttianimattathil, Cleofas Murguia(현재 주교),
Francisco Santos Montero, Silvio Roggia.
준비 작업에 함께한 형제들은 다음과 같다.
Marcello Baek, Adriano Bregolin, Raymond Callo, Vincent Cas-
tilino, Manuel Cayo, Martin Coyle, Jorge Crisafulli, Francesco
de Ruvo, Salvador Delgadillo, Ian Figueiredo, Pier Fausto Frisoli,
James Heuser, Zenon Klawikowski, Alberto Lorenzelli - ora vesco-
vo, Gerard Martin, Eusebio Muñoz, Gabriel Ngendakuriyo, Luis
Onrubia, Michael Pace, José Luis Plascencia Moncayo, Stanislaus
Swamikannu, Luis Timossi, Meinhof von Spee.
편집에 참여한 형제들과 번역가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Zdzisław Brzęk, Placide Carava, Ivo Coelho, Ian Figueiredo, Zenon
Klawikowski, Alberto Lorenzelli, Giuseppe Nicolussi, Luis Onru-
bia, Silvio Roggia, Francisco Santos Montero, José Antenor Velho.
이미지 해설
처음과 마지막의 이미지는 우리를 콜레 돈 보스코와 발도코로 데려간
다. 살레시오 원장이란 주제로 지속되어 온 그간의 논의 및 지역 공
동체 고무와 통치를 위한 원장의 직무는 돈 보스코에게서 기원했고,
또한 본 작업이 이루어지는 오늘과 거기에서 도출된 결과는 살아 있
는 평생 양성 과정으로서 돈 보스코의 삶과 카리스마 안에 뿌리를 두
고 있다.
5

1.7 Page 7

▲back to top
살레시오 원장

1.8 Page 8

▲back to top
목차
감사 5
목차 7
약어 11
서문 13
머리글 17
1. 목적 17
2. 과정 18
3. 내용 19
4. 사용 21
제1부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1. 살레시오 사명은 우리의 축성 생활을 특징짓는다 27
2. 살레시오 축성 성소: 사명을 공유하는 방식 33
2.1 우리의 사도적 축성 33
2.2 그리스도의 신비와 삼위일체에 뿌리를 두고 있다 35
2.3 살레시오 사명 내의 다른 성소들과 이루는 친교 38
2.4 사제와 평신도라는 두 가지 양식으로 살아가는 하나의 성소 40
2.5 질적으로 양적으로 일관성 있는 공동체에서 45
3. 살레시오 정체성의 수호자인 원장 47
3.1 공동체의 원장 47
3.2 원장의 권위와 권한 55
3.3 살레시오 원장의 사제적 성격 58
제2부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4. 살레시오 축성 신분의 수호자 및 고무자 69
4.1 성령 안에서의 신비가, 공동체의 영적 인도자 69
4.1.1 복음적 권고에 대한 충실 70
4.1.2 개인 기도와 공동체 기도의 고무 72
4.1.3 카리스마적 정체성 돌보기 74
7

1.9 Page 9

▲back to top
살레시오 원장
4.2 형제애의 예언자, 친교와 공동 책임의 고무자 75
4.2.1 일치 증진 76
4.2.2 형제 관계와 소통 78
4.2.3 개방적이고 환대하는 공동체 80
4.3 청소년의 봉사자들: 사도적 사명의 첫 번째 책임자 82
4.3.1 회원의 사목적 사랑을 고무함 83
4.3.2 공동 사명에 대한 공동 책임 조정 84
4.3.3 사목적 식별 지도 85
4.3.4 성소 고무를 장려하다 87
5. 카리스마적 봉사 89
5.1 마음의 준비 상태 및 태도 89
5.1.1 경청과 대화 89
5.1.2 개인의 자유와 공동 책임 90
5.1.3 개인 식별과 공동체 식별 92
5.2 고무의 도구 94
5.2.1 원장과의 면담 94
5.2.2 개인 동반 97
5.2.3 저녁말씀 99
5.2.4 개인 생활 계획 101
5.2.5 공동체 계획 102
5.2.6 형제적 교정 104
5.2.7 수도원 일지와 문서고 106
5.3 고무 구조 106
5.3.1 지역 공동체 평의회 106
5.3.2 부원장 109
5.3.3 전체 회원 모임 110
5.4 회원에 대한 개별화된 관심 111
5.4.1 사제 살레시오 회원과 수사 살레시오 회원 111
5.4.2 초기 양성 중에 있는 회원 113
5.4.3 다문화 114
5.4.4 어려운 순간을 겪고 있는 회원 115
8

1.10 Page 10

▲back to top
목차
5.4.5 연로한 회원 115
5.4.6 병든 회원 117
5.4.7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회원 118
5.5 재정과 행정 119
6. 평생 양성 123
6.1 공동체 안에서 123
6.2 원장 자신을 위하여 128
제3부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7. 교육 사목 공동체 157
7.1 교육 사목 공동체와 교육 사목 계획 157
7.1.1 오늘날 예방교육의 이해 157
7.1.2 예방교육의 토착화 필요성 158
7.1.3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와 사업 평의회 162
7.2 교육 사목 공동체 내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164
7.2.1 핵심 고무자 164
7.2.2 살레시오 공동체와 사업의 다양한 관계 165
7.3 살레시오 공동체,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의 카리스마적인 기준점 169
7.3.1 영적 고무 171
7.3.2 형제애의 예언 174
7.4 살레시오 공동체와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 176
8. 열린 공동체 183
8.1 관구 공동체와 세계 공동체 184
8.2 살레시오 가족 185
8.3 교회 189
8.4 지역 사회에 현존 191
결론 199
부록 I 돈 보스코가 원장들에게 보낸 친서 201
부록 II 교회법에서 말하는 장상 213
9

2 Pages 11-20

▲back to top

2.1 Page 11

▲back to top
살레시오 원장

2.2 Page 12

▲back to top
약어
ACG
ACS
총평의회 의사록Atti del Consiglio Generale(1984년 12월 이후부터 적용)
최고 평의회 의사록Atti del Consiglio Superiore(1920년부터 1984년까지의 기록)
AL
「사랑의 기쁨Amoris Laetitia」(2016)
C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회 회헌Costituzioni della Società di san Francesco di Sales」(2015)
Carta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가족 신원 헌장Carta dell’identità carismatica della Famiglia Salesiana di Don
Bosco」(2012)
CCC
『가톨릭 교회 교리서Catechismo della Chiesa Cattolica』(1992)
CEP
CG
CGS
CIC
교육 사목 공동체Comunità educativo-pastorale
총회Capitolo Generale
특별총회Capitolo Generale Speciale(20차 총회)
『교회법전Codice di Diritto Canonico – Codex Iuris Canonici』(1983)
CIVCSVA 축성생활회와 사도생활단성Congregazione per gli Istituti di Vita Consacrata e le Società di Vita Apostolica
CL
「평신도 그리스도인Christifideles Laici」(1988)
CV
「그리스도는 살아 계십니다Christus Vivit」(2019)
EG
「복음의 기쁨Evangelii Gaudium」(2013)
ET
「복음의 증거Evangelica Testificatio」(1971)
FSDB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회원들의 양성』(2016)
FT
「권위의 봉사와 순명Il servizio dell’autorità e l’obbedienza. Faciem tuam, Domine, requiram」(2008)
LG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인류의 빛Lumen Gentium」(1964)
MB
『돈 보스코 전기Memorie Biografiche
MR
「상호 관계Mutuae Relationes」(1978)
MSD 『살레시오 원장: 지역 공동체 고무 및 통치 직무Il direttore salesiano: un ministero per l’animazione e il
governo della comunità locale』(1986)
NMI
「새 천년기Novo Millennio Ineuente」(2001)
PdV
「현대의 사제 양성Pastores Dabo Vobis」(1992)
PEPS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Progetto Educativo-Pastorale Salesiano
PV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회원들의 생활 계획: 살레시오 회헌에 대한 지침서Il Progetto di vita dei
Salesiani di Don Bosco – Guida alla lettura delle Costituzioni salesiane』(1986)
QdR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Pastorale Giovanile Salesiana – Quadro di riferimento』(2014)
R
「일반 회칙Regolamenti generali」(2015)
RdC 「그리스도에게서 새롭게 출발: 제삼천년기에 봉헌 생활의 새로운 투신Ripartire da Cristo: un
rinnovato impegno della Vita Consacrata nel terzo millennio」(2002)
VC
「봉헌 생활Vita Consecrata」(1996)
VFC
「공동체의 형제 생활Vita fraterna in comunità. "Congregavit nos in unum Christi amor"」(1994)
VN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Per vino nuovo otri nuovi」(2017)
11

2.3 Page 13

▲back to top
살레시오 원장

2.4 Page 14

▲back to top
서문
사랑하는 회원 여러분
살레시오 원장 매뉴얼을 작성한 지 32년이 지난 지금, 제27차 총회의 요구에 따
라 개정된 새로운 원장 매뉴얼을 소개하게 되어 기쁩니다. 이 매뉴얼은 모든 관구
와 지구 협의회 노력의 산물이며, 특히 총평의회가 이룬 큰 노고의 결과물임을 여
러분께 분명히 말씀드립니다.
살레시오 원장은 본 수도회를 쇄신하고,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 청소년들을 위
한 직무를 쇄신시키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인물입니다. 살레시오 원장은 수도 공동
체와 더 나아가서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바람직한 평생
양성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이 매뉴얼은 일차적으로 원장
들을 대상으로 하며 관구장과 관구 평의회를 비롯하여 원장 양성에 관여하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합니다.
또한, 이 새로운 매뉴얼은 모든 살레시오 회원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원장은 회
헌에 ‘형제들 중의 형제’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교회가 바라는 바로서, 통
치 의무를 소홀히 하지 않으면서 형제애의 역동성을 강조하도록 교회는 우리에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교회에 가져다준 위대한 선물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는 형제이고, 친교를 나누도록 부름을 받았으며, 세례를 받
은 그리스도 신자 하나하나와 모두에게 성령께서 임하셨다는 깊은 확신에서 유래하
는 고무와 통치의 도구로서 공동체 식별의 실천입니다.
여러분은 이 매뉴얼 속에서 무엇보다 우리의 정체성에 대한 큰 관심을 확인하게
될 것입니다. 수사 살레시오 회원이나 사제 살레시오 회원인 우리는 모두 우선 축
성된 살레시오 회원들입니다. 그리고 원장은 다른 무엇에 앞서 이러한 정체성의 수
호자로서, 공동체와 그가 동반하는 회원들의 성소가 성장하도록 북돋아 줄 책임이
있습니다. 원장은 돈 보스코처럼 우리의 살아 있는 규범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깊이
13

2.5 Page 15

▲back to top
살레시오 원장
사랑하는 사람이며, 그분의 생활 방식을 재현하려고 노력하면서 조화를 이루는 겸
손과 현실주의, 그리고 성령으로부터 오는 신앙을 지니고 하느님 아버지를 섬기는
형제들을 일치시키는 사람입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아마 우리 수도회 역사상 가장 의미 있는 성장이라고
할 수 있는 것, 즉 살레시오 정신과 사명을 평신도와 공유한다는 것을 명확히 확인
함으로써 또 하나의 중요한 점을 강조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오늘날 원장과 살레시
오 공동체는 교육 사목 공동체의 핵심 고무자의 일부입니다. 물론 이러한 핵심 안에
서 그들은 카리스마적 충실성에 대해 특별한 책임이 있으며, 제25차 총회의 말씀에
따라 ‘카리스마적 기준점’입니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살레시오 회원은 무엇보다도
카리스마를 공유하는 이들의 고무자가 되라는 소명을 받았습니다. 이를 위해 살레
시오 회원은 투명하고 파급력이 있는 기쁨으로 자신의 축성 성소를 살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지난 30여 년 동안 교회와 우리 수도회 안에서 이루어진 모든 진전된
사항들을 한데 모으고자 한 노력의 결실인 이 매뉴얼을 사랑하는 회원 여러분 모두
에게 드립니다. 우리의 어머니시며 스승이신 마리아께서 우리의 축성을 충만하게
성장시키고 청소년들에게 언제나 하느님 사랑의 믿을 수 있는 표징이요 전달자가
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를 빕니다.
돈 보스코 안에서 사랑을 담아,
2019년 4월 21일, 예수 부활 대축일, 로마 예수 성심 성당에서
앙헬 페르난데스 아르티메 총장
14

2.6 Page 16

▲back to top
머리글

2.7 Page 17

▲back to top
살레시오 원장
16

2.8 Page 18

▲back to top
머리글
1. 목적
원장 매뉴얼의
오랜 역사
1. 새로이 출판하는 살레시오 원장은 제27차 총회의 요청에서 비롯된
것이다(CG27 69). 이전 원장 매뉴얼의 최종본은 1986년에 출판되었
으며, 제21차 총회가 요청한 개정판이었다. 그리고 알베라 총장 시대
에 나온 훨씬 오래된 매뉴얼이 있었다.1 그러나 우리가 첫 번째 원장
매뉴얼이라 말할 수 있는 것은 돈 보스코께서 젊은 루아 신부를 토리
노 밖 미라벨로에 최초의 살레시오 원장으로 보낼 때 써 준 원장들에
게 보내는 ‘친서親書’였다.2 따라서 원장 매뉴얼은 아주 오래되고 영예
로운 역사를 지니고 있다.
원장과 회원의
공동 책임
2. 돈 보스코의 원장들에게 보내는 ‘친서’는 아들에게 중요한 것을 맡
기는 아버지의 애정 어린 어조로 기록되었으며(“가장 사랑스러운 자
녀 중 한 명에게 마음을 털어놓는 아버지의 목소리로 말합니다.”), 이
친서는 자기 자신과 회원이든 교육자든 또는 청소년들이든, 다른 사
람들을 돌보는 것에 대한 지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친서의 후속
판들은 애정 어린 서두는 생략하였지만, 원장이 자신의 특정 책임에
충실함으로써, 수도회 안에서 살레시오 정신을 보호해야 한다는 동
일한 관심은 그대로 유지했다. 1886년 판은 이렇게 끝을 맺고 있다.
“이것은 우리 수도회의 원장들에게 주는 나의 마지막 유서이며 유언
입니다. 이러한 제안들을 실천한다면, 저는 죽어도 여한이 없을 것이
며, 우리 수도회가 번성하고 하느님의 축복을 받을 것이며, 하느님의
더 큰 영광과 영혼의 구원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 확신합니다.”
원장과 회원의
공동 책임
3. 1986년에 발간한 매뉴얼의 목표는 우리 전통에서 원장이라는 인
물의 중심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변화된 시대
에 맞춰 새롭게 쇄신하는 것이었다. 본 개정판의 목적은 이 중심성을
17

2.9 Page 19

▲back to top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의 역할과 균형을 맞추고, 지난 30여 년을 염두
에 두면서, 원장에게 위임된 권한을 인정하고 또한 회원들의 공동 책
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요한 바오로 2세, 베네딕토
16세, 프란치스코 교황과 주교들의 시노드 그리고 축성생활회와 사도
생활단성(CIVCSVA)에서 나오는 문헌들을 고려해야 한다. 본 수도회
에는 비가노Viganò, 베키Vecchi, 차베스Chávez, 페르난데스Fernández
총장서한과, 제23차 총회 이후에 개최된 총회 문헌, 『살레시오 사회
커뮤니케이션 시스템』(2011),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회원들의 선교
사 양성』(2014),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2014), 『돈 보스코의 살
레시오 회원 양성』(2016) 등 다양한 영역의 문서가 있다.
2. 과정
문화와 상황의
엄청난 다양성
4. 매뉴얼 개정 과정은 모든 지구의 대표자들이 참석한 세미나로 시작
하였으며, 그 후 2016년에 모든 관구에 살레시오 원장의 고무와 통치
임무에 관한 현재 상황을 평가해 달라는 설문 조사가 이어졌다. 그리
고 도착한 자료를 읽고 해석하는 또 다른 세미나(2017년 5월 29–31
일)가 열렸다.
그 과정에서 한 가지 분명한 점이 밝혀졌다. 즉 본 수도회가 오대
륙, 133개 국가, 89개 관구와 구역에 퍼져 있으며, 극히 다양한 문화
와 상황을 포용하고, 매우 다양한 속도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우
리가 이해할 수 있듯이, 이러한 이유 때문에 모든 상황에 똑같이 유효
하고 유용한 무언가를 말한다는 것이 다소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우
리가 여기서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적어도 교회와 수도회로서 우리의
공통 여정에서 근본적인 기준점이 되기를 희망하며, 이는 각기 다른
처지와 상황에서 읽고 구체화해야 할 것이다.
18

2.10 Page 20

▲back to top
머리글
여러 총회
3. 내용
5. 수도회 전체를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이 총회이므로 우리는 총회를
가장 중요한 이정표로 받아들인다.
제23차 총회는 우리의 사명이 교육적이고 사목적인 차원을 가지고
있음을 상기시켜 준다. 우리는 교육하면서 복음화하고, 복음화하면서
교육한다. 제24차 총회는 살레시오 사명의 주체가 살레시오 수도 공
동체일 뿐만 아니라 살레시오 가족의 다른 일원들과 많은 평신도 동역
자들이라는 것을 인정했다. 여기서 우리는 「사랑의 기쁨Amoris Laetitia
(이하 약어 AL로 표기)의 고무에 따라, 교육 사목 공동체(CEP)는 개
인뿐만 아니라 사명의 활동적인 주체인 가족으로 구성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제25차 총회는 사명 안에서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의
새로운역할을 더 명확히 밝힐 필요성을 느꼈다. 제26차 총회는 돈
보스코에게로 돌아갈 것을 요청하면서, 우리 정체성의 살레시오 측면
에 집중한 반면, 제27차 총회는 살레시오 축성 성소를 생활하고 더 깊
이 이해하도록 초대했다.
이번 원장 매뉴얼은 제22차 총회와 개정판 회헌에서 분명히 강조
하고 있는 이러한 강조점들을 통합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양성은
우리를 부르시고 당신 사랑으로 파견하시는 하느님께 우리의 평생에
걸친 지속적인 응답을 드리는 것이며, 그 양성은 또한 우리의 다양한
성소의 풍요로움 속에서 평신도와 함께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놓치지
않고 있다.
제27차 총회
6. 제27차 총회는 특히 이 개정판 매뉴얼의 구조를 지시하고 있기 때
문에, 제27차 총회에 대한 각별한 언급이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19

3 Pages 21-30

▲back to top

3.1 Page 21

▲back to top
살레시오 원장
제27차 총회는 성령 안에서의 신비가, 형제애의 예언자, 그리고 청소
년의 봉사자라는 세 가지 핵심 주제로 기억된다. 그 대신, 총회 소집
서한과 아울러 총장의 개회사는 세 가지가 아닌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제 영역에 대해서 말한다.
우리는 제27차 총회의 관심을 네 가지 주제 영역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우리의 살레시오 회원 축성 성소는 일치와 기쁨의 은사
속에서 생활하는 것입니다. 이 성소는 하느님의 선물이며 개인적
인 삶의 목표이기 때문입니다. 강력한 영적인 체험을 하는 것입
니다. 순종하시고 가난하시며 정결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존재와
행동 양식을 취하며 하느님을 추구하는 자가 되는 것입니다. 생
활과 활동 공동체 안에서 형제애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청소년과
함께 살면서 세상에 희망을 주는 사명에 기꺼이 헌신하는 것입니
다(CG27 p.90).
축성된 사람으로서 7. 제27차 총회의 목표는 “우리의 카리스마적인 정체성을 보다 깊이
우리는 돈 보스코의
사명에 참여한다 탐구하도록 도와주며 돈 보스코의 사도적 목표를 충실히 생활해 나가
는 우리의 성소를 의식하게 하려는 것”이었다(CG27 p.90). 분명히,
우리는 축성된 자로서 돈 보스코의 사명에 참여하며, 축성된 자로서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 우리의 자리가 있다.
그러므로 1986년도 매뉴얼의 세 부분은 다음과 같다.
1. 회귀와 혁신으로서의 쇄신
2. 교육 사목 공동체와 수도 공동체 내에서 원장의 고무와 통치
3. 고무와 통치의 방법, 수단 및 구조
본 매뉴얼이 다루고 있는 세 부분은 다음과 같다.
1. 살레시오 축성 정체성을 수호하는 이3로서의 원장
2.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와 사명의 고무자며 지도자인 원장
3. 교육 사목 공동체와 관할 구역 안에서 원장과 수도 공동체
20

3.2 Page 22

▲back to top
머리글
권위의 봉사를
받아들이도록
요청받은 이에게
증가하는 요구
8. 원장 매뉴얼의 개정판을 발표하면서, 우리는 1986년 매뉴얼의 최
종판 이후 몇 년 동안 우리 공동체 안에서의 생활과 사업이 더욱 복
잡해졌다는 것과, 급성장하고 있는 관구에서조차 인지된 모든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활용 가능한 회원들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
다. 이러한 상황은 봉사하는 권위를 받아들이도록 요청받은 사람에게
더 많은 요구를 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으로 원장의 모습은 우리 전통
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원장은 이제 살레시오 수
도 공동체뿐만 아니라, 교육 사목 공동체에도 고무자가 되어야 할 것
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는 간결한 본문을 제시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매뉴얼을 수정하
는 작업을 시작했지만, 지난 30년 동안 이루어진 결과물들을 통합하
는 작업으로 인해, 원장의 모습은 훨씬 까다롭고 복잡하게 되었다. 우
리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뿐이다. 살레시오 원장은 슈퍼맨이 아
니라 단지 한 인간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돈 보스코의 방식
을 따라 주님의 은총에 감동하는 사람이다. 그는 자신이 혼자가 아니
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는 자신의 살레시오 축성 신분에 대한 인식을
성장시키며 최선을 다해 자신의 봉사 직무를 받아들이고 수행할 뿐만
아니라, 매일 구체적인 생활의 모든 상황 속에서 하느님께서 현존하
신다고 확신하며, 기쁨과 필요한 힘을 선물로 주실 것을 청하며 그의
형제자매들과 함께 여정을 걸어간다.
4. 사용
원장과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관구장과 관구
양성 대리
9. 이 매뉴얼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관한 내용이다. 물론 이 매
뉴얼은 원장들 스스로 공부하고 묵상해야 할 것이며 특히 처음으로
원장으로 임명되었을 때는 더욱 그렇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방
법은 다양하다. 이 매뉴얼을 읽는 데 ‘표준이 되는’ 방법이 없기 때문
21

3.3 Page 23

▲back to top
살레시오 원장
이다. 한 번에 조금씩 읽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아니면 한 번에 전부
읽고 싶어 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는데 두 가지 방법 모두 상관없다.
원장과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사이의 친밀한 관계를 고려할 때, 매
뉴얼이 또한 공동체를 위한 것임을 언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회
원들은 살레시오 축성 성소의 수호자로서 그리고 평신도와 살레시
오 가족의 일원들과 공유하는 사명의 고무자로서 원장의 모습과 권
위를 알고 환영해야 한다. 따라서 이 매뉴얼은 주도적으로 연구하고
성찰하면서 모든 회원과 공동체에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매
뉴얼은 수도회 안에서 평생 양성을 촉진하는 수단이 된다. 이러한 양
성은 공동체 생활 안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그 본질상 평생 지
속되며, 살레시오 원장은 공동체의 각 구성원과 협력하며 주된 고무
자가 된다.
이 매뉴얼은 원장의 초기 및 지속적인 양성에 대한 책임을 고려할
때 특히 관구장과 관구 양성 대리들과 아울러 다양한 지구 양성 센터
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 원장의 취임식 때 그에게 이 매뉴얼을 증정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살레시오 사제직 지망자들의 양성에 원장 매뉴얼을 첨가하
는 것이 중요하다. 공동체 안에서 리더십의 역할에 대한 준비는 분명
히 봉사직인 우리 성소의 성장에 속하는 것이다.
지구 또는 관구는
각자의 특정 요구
에 맞게 이 매뉴얼
을 적용할 수 있다
10. 우리는 또한 수도회의 여러 분야에서 많은 다양한 요구가 있으므
로 지구나 관구가 이 매뉴얼을 각자의 특정 요구에 맞게 적용하는 것
을 막아서는 안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원장 양성 계획 과정에
서 추가적인 조언과 단서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본문
22

3.4 Page 24

▲back to top
머리글
속에 그리고 각 장 끝에 많은 참고 문헌과 주를 붙이기로 했다. 그
러나 관구는 원한다면 더 간단한 축약판을 내기로 편히 결정한 후 이
를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원장 양성을 위한 다양한 양식은 수도회 공식 웹 사이트
(www.sdb.org)의 양성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1 Manuale del direttore(San Benigno Canavese, 1915), con
l’introduzione di don Albera.
2 비평본은 F. Motto의 다음 책을 참조할 것. I ‘Ricordi confidenziali
ai direttori’ di Don Bosco, Ricerche Storiche Salesiane 3/1 (1984)
125-166.
3 ‘수호자’라는 말은 베네딕토 16세 교황이 2005년 5월 4일 일반 알현 때
사용한 것으로 하느님을 ‘수호자’ 또는 당신 백성을 깨어 지키는 ‘파수
꾼’으로 말한 것을 여기에서 인용했다.
23

3.5 Page 25

▲back to top
살레시오 원장

3.6 Page 26

▲back to top
머리글
제1부: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 사랑받도록
힘쓰십시오.
25

3.7 Page 27

▲back to top
살레시오 원장
포도나무, 가지, 포도….
우리의 정체성은 포도나무에 달린 가지처럼,
모든 면에서 주님께 속한 것에 뿌리를 두고 있다.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다. 내 안에 머무르고
나도 그 안에 머무르는 사람은 많은 열매를 맺는다.
너희는 나 없이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
(요한 15,5)
26

3.8 Page 28

▲back to top
1. 살 레시오 사명은 우리의 축성 생활4
특징짓는다
사명은 “우리의
생활 전체를 특징
짓는다”
11. 회헌 3조는 “사도적 사명, 형제적 공동체 그리고 복음적 권고의
실천이 우리 축성 생활의 분리될 수 없는 요소들”이라고 선언하며,
“우리의 삶 전체를 특징짓는 것”은 사명이라고 덧붙인다.
제22차 총회는 1984년 회헌의 결정적인 내용을 수정 · 보완할 때
살레시오 회원의 삶과 행동의 모든 다른 요소들을 사명에 집중시키기
로 했다. 이것은 내용뿐만 아니라 본문의 구조에서도 볼 수 있다. 제
2부의 제목은 ‘그리스도를 따르는 공동체에서 청소년들에게 파견되
었다.’이다.
돈 보스코에게
있어서 사명의
중심성
12. 제22차 총회의 이러한 결정은 돈 보스코의 삶 속에서 사명의 중
심성을 반영한다. 돈 보스코는 청소년들의 구원을 위해 일하도록 하
느님께서 자신을 파견하셨다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다.
이러한 사명의 지평은 아홉 살 때 이미 꿈에서 펼쳐지기 시작한다.
놀라운 것은 이 꿈에 대해 스스로 설명하면서 돈 보스코는 사제직이
라는 관점에서 그것을 이해했다고 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능성을 암시하는 유일한 사람은 맘마 마르게리타이다. 돈 보스코가
몇 년 후, 키에리에서 학교를 졸업할 무렵 성소 식별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그의 마음에 즉시 와닿은 것은 교구 사제 생활이 아니었다.
그의 마음은 프란치스코회에 끌렸으나, 루이지 코몰로의 삼촌 신부와
카파소 신부의 조언에 따라 신학교에 들어갔다.
돈 보스코가 오라토리오를 시작할 때, 그의 첫 번째 우선순위는 사
업을 확장하기 위한 협력자와 조력자를 찾는 것이었다. 그리고 나중
에 가서야 그는 축성된 사람들의 수도회를 설립할 생각에 도달한다.
그는 사명의 중심성으로 인해 협력자들을 찾게 되었고, 그 중심성은
결국에 그를 수도회에 대한 생각으로 이끌었다.
27

3.9 Page 29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살레시오회의 설립에 관한 라타치와 카보우르의 ‘외부 회원’에 대
한 제안은 동일한 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속인주의 옹호자들은 돈
보스코의 사명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1859년 12월 돈 보스코의 제
안에 대한 칼리에로의 반응에서 사명의 동일한 중심성이 이루어진다.
“수도자건 수도자가 아니건 나는 돈 보스코와 함께할 것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우리는 돈 보스코가 미래의 사제를 양성하는 독창적인 방법
때문에 경험했던 많은 어려움을 회상할 수 있다. 그에게 있어서 모든
것은 사명의 요구에 따르며 거기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그 중심에는
자신과 협력자들, 청소년들을 위한 성화에 대한 대단한 열망이 있었
다. 그것은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로부터 물려받은 다음과 같은 모
토 속에 잘 표현되어 있다. ‘Da mihi animas, cetera tolle.’
사명은 일이나 13. 사명이 우리에게 매우 핵심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그 사명의
활동과 같은 것이
아니다
신학적 밀도를 간과하지 않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부르심을
선택과 동일시할 수 없는 것처럼 사명도 일이나 활동과 동일시할 수
없다. 선택, 일, 활동은 개인과 자율적인 주체에서 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부르심, 성소, 사명은 신학적 용어이다. 사명은 다양한 요소
를 의미한다. 파견하는 사람, 파견된 사람, 파견된 대상, 파견되어 수
행해야 할 봉사, 봉사하는 방법과 수단 등. 이 모든 것은 회헌 2조에
요약되어 있으며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회원들의 생활 계획: 살레시
오회 회헌에 대한 지침서』(이하 PV로 표기)의 131쪽에 이에 대해 충
분하게 언급되어 있다. 여기서는 일부 측면을 강조하는 것으로 충분
할 것이다.
부르시고 파견하시는 분이 계신다. 사명은 하느님에게서 오는 것
이다. 주도권은 항상 하느님께 속하며, 하느님께서는 “그들을 당신과
함께 지내게 하시고, 그들을 파견하시어 복음을 선포하게 하시고자”
28

3.10 Page 30

▲back to top
1. 살레시오 사명은 우리의 축성 생활을 특징짓는다
(마르 3,14, 회헌 96조 참조) 하는 사람들을 자신에게로 부르신다. 사
실 이것은 우리 회헌 1조의 분명하면서도 동시에 겸허한 위대한 언급
이다.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회가 단순히 인간적 계획에서가 아니
라 하느님의 섭리하심으로 생겨났음을 믿는다.”, “그 사랑은 이렇습니
다. 우리가 하느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라 그분께서 우리를 사랑하신
것입니다.”(1요한 4,10) 예방교육은 이러한 선행적인 하느님의 사랑
에 그 근원적인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제27차 총회는 우리가 성
령의 신비가임을 상기시킨다. “세속주의의 도전을 그 어느 때보다 더
분명하게 느끼는 세상에서, 우리는 ‘온전한 자기 봉헌’과 ‘진정한 영적
인 예배를 통해 축성된 삶의 영원한 회개’를 통해 ‘하느님의 절대적 우
선권을 인정하는 데서 대답을 찾아야 한다.’”(ACG 413 20) “돈 보스
코에게 그랬던 것처럼 우리에게도 하느님의 최우선성은 교회와 세상
안에서 우리의 존재 이유를 제공하는 기반이다. 이러한 최우선성은
우리의 축성 생활에 의미를 부여하고, 우리가 활동에 지나치게 빠져
들 수 있는 위험과 우리가 본질적으로 ‘하느님을 찾는 사람들’이며 청
소년들과 가난한 사람들 가운데서 하느님 사랑의 증거자라는 사실을
잊어버릴 수 있는 위험을 피하도록 도와준다.”(CG27 32)
예수님과 성령
안에서 기원을
갖는 사명
14. 사명은 사랑의 친교인 삼위일체 하느님 신비의 계시이며 하느님
의 공현이신 예수님을 ‘통하여’ 예수님 ‘안에서’ 우리에게 온다. 예수
님의 사명은 계시하고 모으는 것이다: 아버지를 계시하고 흩어진 하
느님의 자녀들을 하나로 모으는 것이다〔『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
(이하 QdR로 표기) 52–58〕. “아무도 하느님을 본 적이 없다. 아버지
와 가장 가까우신 외아드님이요 하느님이신 그분께서 알려 주셨다.”
(요한 1,18) 예수님께서는 아버지의 자비로운 얼굴을 보여 주고 계신
다. “나를 본 사람은 곧 아버지를 뵌 것이다.”(요한 14,9) 예수님께서
는 친교, 사랑,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을 드러내 보여 주신다.
29

4 Pages 31-40

▲back to top

4.1 Page 31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아버지께서 보내신 바로 그 성령은 우
리에게 예수님께서 말씀하시고 행하신 모든 것을 상기시키며(요한
14,25–26 참조), 당신께서 각 사람에게 나누어 주신 카리스마적인 은
사를 통하여 이 사명을 수행하도록 우리를 준비시키고 능력을 주신
다. “그러나 성령께서 너희에게 내리시면 너희는 힘을 받아 … 나의
증인이 될 것이다.”(사도 1,8, 회헌 1조 참조)
먼저 어린 양에 관심을 갖고 나중에야 자애로운 여인과 그의 아들
의 이름을 알게 된 어린 요한 보스코와 같이, 살레시오 회원의 첫 번
째 관심은 대개 사도직에 관한 것이다. 살레시오 회원은 아들 안에서
드러난 사랑에 열정적으로 훌륭하게 응답하고 그분과 닮은 자가 되어
(2코린 3,18 참조) 흔히 부성과 모성에 대한 체험이 부족한 청소년들
에게 예수님처럼 아버지의 얼굴이 되라는 그분의 부르심을 마침내 발
견하게 되는데, 때로 그 발견은 매우 점진적이다.
우리 사명의 본질 15. 그러므로 우리 사명의 필수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하느님의 계
적인 내용: 하느님
의 계시가 되는 것 시가 되고, 하느님 사랑의 징표와 전달자가 되어(회헌 2조 참조) 우리
를 통해 하느님의 선행적인 사랑이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예방교육
은 “섭리로 모든 창조물을 미리 보살피시고 당신의 현존으로 함께하
시며, 생명을 주심으로써 구원하시는 하느님의 사랑에서 기인된 것이
다.”(회헌 20조) 예방교육은 진정으로 그 자신이 되도록 드러나야 하
는 사랑이며, 청소년들이 그 사랑을 볼 때 더욱 효과적이다. 모든 의
미에서 그것은 해방하는 사랑이다. 그 점에서 예방교육은 자유의 교
육학이자 해방의 교육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우리 회헌은 온전한 발
전에 대해 이야기한다(회헌 33조 참조). 그러나 예수님께서 아버지의
얼굴을 보여 주셨을 뿐만 아니라 “흩어져 있는 하느님의 자녀들을 하
나로 모으신”(요한 11,52) 것처럼 우리의 사명에는 형제애와 친교의
30

4.2 Page 32

▲back to top
1. 살레시오 사명은 우리의 축성 생활을 특징짓는다
증진과 창조가 포함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더욱더 우리다운 존재가
되는 것이다. 우리는 하느님 · 친교 · 사랑의 모습으로 창조되었기 때
문에 삼위일체 방식으로 우리를 ‘생각’해 왔다.
우리에게 맡겨진
이들
16. 우리에게 맡겨진 청소년들은 우선적으로 “‘가난하고, 버림받고,
위험에 처해 있는’ 자들이며, 사랑과 복음화를 아주 필요로 하는 자들”
이라는 것과, 특히 우리가 가장 빈곤한 지역에서 일한다는 것을 우리
는 기억하고자 한다. 이것은 앙헬 페르난데스 아르티메 총장이 제27
차 총회를 폐막하면서5 언급한 이후 줄곧 강조해 온 바이다. 우리는 가
족을 사목 활동의 주체로 포함하는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 있는 청소
년을 위해 일한다. 우리는 살레시오회가 청소년들을 동반하는 오대륙
뿐만 아니라, 어디에나 널리 퍼져 있고 청소년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
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될 새로운 디지털 대륙을 기억하고자 한다. 디
지털 대륙은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개념, 자아 인식 및 다른 사람과 세
계를 보는 방법, 의사소통, 학습 및 정보 전달 방식, 언어 및 이미지의
상대적 우선순위 등을 바꾸고 있으며, 청소년들의 삶에 선과 악을 좌
우하는 엄청난 힘을 기업과 미디어 회사에 던져 주고 있다.6
그러므로 우리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공동체 안의 청소년들에게 파
견되지만, 우리 삶을 특징짓는 것은 사명이다.
31

4.3 Page 33

▲back to top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4.4 Page 34

▲back to top
2. 살레시오 축성 성소: 사명을 공유하는 방식
살레시오 사명은
살레시오 회원,
살레시오 가족, 평
신도들과 공유한다
17. 그러나 살레시오 사명은 전적으로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회원에
게만 속하지 않는다. 우리가 이미 언급했듯이 돈 보스코는 많은 유형
의 협력자들과 함께 시작하여 결국은 축성된 사람들을 필요로 하게 되
었다. 하느님께서는 많은 사람, 즉 살레시오 가족 구성원들과 평신도
모두를 사명에 동참하도록 부르신다. 이것은 제24차 총회에서 확실
히 자리 잡고 강력하게 선언되었다. “살레시오 회원과 평신도, 돈 보
스코의 정신과 사명 안에서 친교와 나눔.” 이는 앙헬 페르난데스 아르
티메 총장이 끊임없이 강조하는 주제이다.7
우리 살레시오 회원은 축성된 사람으로서 이 사명에 동참한다. 살
레시오 원장의 모습에 대해 이 사명이 갖는 실제적인 의미는 나중에
설명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후안 베키 총장으로부터 힌
트를 얻을 수 있는데, 그는 제24차 총회를 마치면서 이렇게 말했다.
“다른 많은 사람이 돈 보스코의 카리스마에 참여한다. … 이것은 축성
의 힘, 공동체 체험, 삶의 계획(서원), 사명에 대한 완전한 헌신이라는
특별한 방식으로 살레시오회 공동체에 집중된다.”(CG24 236 참조)
2.1 우리의 사도적 축성
우리의 사명은 18. 교회 내에서 우리는 수도 생활의 독특한 형태를 통해 청소년들,
‘사도적 축성’이다
특히 가난한 청소년들에게 하느님 사랑의 징표이자 전달자가 된다는
설립자의 사도적 계획을 수행한다(회헌 2조 참조). 사명의 중심성을
고려할 때, 우리의 사명은 ‘사도적 축성’이다. 우리의 사도적 축성을
통해 사명, 공동체 그리고 복음적 권고는 불가분의 관계로 하나가 되
며, 우리는 이것을 “하느님과 형제들을 향한 동일한 형태의 사랑 안에
서”(회헌 3조), 일치의 은총 안에서 살아간다.
그러므로 여기에 살레시오 사도적 축성이라는 우리의 기본 정체성
33

4.5 Page 35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이 있다. 우리는 교육자요 사목자이며(회헌 98조 참조), 성직자와 평
신도라는(회헌 4, 45조 참조) 두 가지 형태의 성소로 생활하는 수도
자이다. 사제 살레시오 회원과 수사 살레시오 회원 모두를 위한 도전
은 사도적 축성 ‘안에서’ 특별한 형태의 자신의 성소를 온전히 생활하
는 것이며, 사목적 일반주의와 사도적 개인주의에 대한 경향을 피하
고, 다른 한편으로는 교회적 차원(성직 임무를 수행하며 성직자의 태
도를 취하는 것)에서 또는 세속적 차원(전문성을 지나치게 강조하거
나 세속적인 생활양식을 단순히 추구하는 것)에서 보상을 추구하는
경향을 피하는 것이다.
일치의 은총을
심화하라는
부르심
19. 그러므로 우리의 정체성은 ‘사도적 축성’의 조화롭고 활기 넘치는
재발견에 바탕을 두고 있다. ‘사명’과 ‘축성’이 이원론적으로 대립되어
서는 안 된다. 우리는 일치의 은총을 심화하도록 부름받았다. 이 일치
의 은총에 의해 우리 살레시오 회원의 생활은 세상의 구원자의 무한한
자비 안에서 모든 것 위에 사랑을 받으시는 하느님께 대한 봉헌의 독
특한 형식으로, 수도적이며 동시에 사도적인 것이다. 돈 보스코는 사
실 사랑의 열정으로 활동 생활과 관상 생활이 “하나가 되기를”(CG22
20) 원했다. “우리가 ‘축성’과 ‘사명’이라는 두 용어 각각의 독특하고
총체적인 의미를 잊어버리지 않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 둘 중 어느 것
도 살레시오 생활의 한 가지 특정 부분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격하시
켜서는 안 된다. 우리의 축성은 그 자체로 사도적이며, 우리에게 맡겨
진 사명은 그것이 우리의 사명인 한 수도적인 것이다.”8
「봉헌 생활Vita Consecrata」(이하 약어 VC로 표기)을 살레시오 회원
의 관점으로 읽은 베키 총장은 축성과 사명 간의 깊은 일치 속에서 우
리 삶의 사도적 차원의 근원을 인정했다. “사도적 차원은 축성과 사명
사이의 내부적 일치에서 비롯됩니다. ‘전적으로 사명에 헌신하는 임무
34

4.6 Page 36

▲back to top
2. 살레시오 축성 성소: 사명을 공유하는 방식
는 그들의 부름에 포함됩니다. 실제로 모든 성소와 카리스마의 기원
에 계시는 성령의 활동으로 축성 생활 자체는 예수님의 삶 전체가 그
랬던 것처럼 하나의 사명입니다.’”(VC 72) (ACG 357 17)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7차 총회의 중요한 의도는 실제
로 우리의 사도적 축성을 다시 강조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제27차
총회의 제목인 ‘복음적 근본성’은 복음적 권고를 따라 생활하는 것만
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그리스도 안에 뿌리
를 두고 있는 형제 생활과 사명을 포함하여 축성된 성소의 모든 측면
을 언급한다. 복음의 근본적인 가치에 대한 증거는 “다른 가치들의 곁
에 자리하는 특징이 아니라, 우리 삶의 기본적인 차원”(ACG 413 8)
이다. 다음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비가, 예언자 및 봉사자”라
는 표현은 제27차 총회를 깔끔하게 요약하는 것이지만, 이 총회의 목
적이 우리의 살레시오 축성 성소를 다시 온전히 조화를 이루도록 도
와주고 그 성소를 일치의 은총 속에서 기쁘게 살게 한다는 사실을 흐
트러지게 해서는 안 된다.
2.2 그리스도의 신비와 삼위일체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리스도를
따르는 특별한
방법
20. 축성 생활은 시노드 후속 사도적 권고인 「봉헌 생활」에서 권위 있
게 확인된 것처럼 그리스도의 신비와 삼위일체에 뿌리를 두고 있다.
“축성 생활의 복음적 토대는 예수님께서 지상 생활 동안 일부 제자들
과 맺으신 특별한 관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부르시어 모든 사람과 마찬가지로 하느님의 나라를 맞아들이게 할 뿐
만 아니라, 그분 자신의 생활방식을 열심히 본받으라고 하셨다. “언제
나 하느님 아버지의 주도권에서 비롯되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이 특
별한 길은 본질적으로 그리스도론적이며 성령론적인 의미를 지니고
35

4.7 Page 37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있습니다. 그 길은 특히 그리스도인 생활의 삼위일체적 본질을 극히
생생하게 표현하며, 어떤 의미에서는 교회 전체가 지향하고 있는
말론적 완성을 선취하고 있습니다.”(VC 14)
모든 사람이 그리스도를 따르도록 똑같이 부름을 받았지만, 축성
된 사람들은 “성자께서 성부의 뜻을 이루시려고 세상에 오시어 받아
들이셨던 생활양식”(「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인류의 빛Lumen Gentium
이하 약어 LG로 표기, 44)을 스스로 재현하려고 노력한다. 이것은 예
수님께서 지상 생활에서 살았던 방식으로 순명, 가난, 정결에 대한
구체적인 선택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VC 30). 그것은 “강생
하신 하느님 아들이 만물이 지향하는 종말론적 목표이시고 그 앞에
서는 모든 빛이 바래는 광채이시며 홀로 인간의 마음을 완전히 충족
시켜 주실 수 있는 무한히 아름다우신 분임을 보여 주는 것”(VC 16)
을 의미한다.
그리스도 없이는
불가능
21. 기쁘게 자신을 완전히 내놓는 삶을 사는 축성된 사람들을 우리가
만날 때 하느님의 현존이 느껴진다. 그들에게 있어 순명과 청빈과 정
결은 그들이 받아서 내어 주는 온전한 사랑이다. 그들의 아름다운 삶
은 많은 사람의 마음에 감동을 주며, 우리의 역사 속에서도 기억할 만
한 수많은 예가 있다. 몇 명만 예를 들어 본다면, 시몬 스루지 수사와
빈첸조 치마티 신부, 아르테미데 자티 수사와 주세페 콰드리오 신부
등이다. 따라서 축성 생활은 동심원에서 확장하는 친교 안에서 평신
도와 교계의 구성원들에게 표징이 된다.
축성 생활은 그리스도 없이는 불가능하다. 우리 회헌의 마지막 조
항(196조)에서 말하고 있듯이 그리스도는 “우리의 살아 있는 규범”이
다. 그는 포도나무이고 우리는 그 가지이며, 그분을 떠나서 우리는 아
36

4.8 Page 38

▲back to top
2. 살레시오 축성 성소: 사명을 공유하는 방식
무것도 할 수 없다.9 이것은 또한 축성 생활의 해(2015)를 지내면서
수도회성이 발행한 ‘서한’의 접근 방법으로도 보인다. 이 서한들은 복
음적인 권고에 대해서보다는 주님 개인을 언급하기로 선택했다. 주님
은 우리를 기쁨으로 채워 주시고(기뻐하십시오!), 우리는 그분의 아름
다움을 관상하며(관상하십시오), 그분의 오심을 기다리며(깨어 살펴
보십시오!), 부활 아침에 주님은 우리를 마리아 막달레나처럼 우리 형
제자매들에게 파견하신다(복음을 선포하십시오!).10
우리의 성소는 예
수님과 함께하고
(친밀감) 그분에
의해 파견되는 것
이다(사명)
22. 모든 그리스도인, 한발 더 나아가, 축성된 사람으로서 그리스도인
의 체험을 사는 사람들의 기본 태도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sequela
Christi)이고, 그리스도를 본받는 것(imitazione di Cristo)이다. 따름
은 주관적인 차원을 강조한다.11 즉 예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 제자
직, 유순함을 강조한다. 대신 본받음은 객관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즉
그리스도와 유사한 모습의 필요성, 그리스도와 같은 모습으로 개인이
완전히 변화되거나 변모되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요한복음 10장
3절과 14절을 언급하면서, 회헌 196조는 “개별적으로 우리를 부르신
예수님의 특별한 사랑”에 대해 말하고 있다. 성소는 사명을 성취하거
나 수행해야 한다는 관점에서만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주로
예수님과의 친밀함과 공동체 생활로의 부르심이다. “예수님께서는 당
신과 함께 머물며 복음을 선포하도록 파견하시기 위하여 사도들을 개
별적으로 부르셨다.”(회헌 96조, 마르 3,14 참조) 그러나 제자직이라
는 것과 그리스도와 닮은 모습이라는 두 가지 원동력은 중요하다. 살
레시오 원장은 이 두 가지 원동력을 자기 자신 안에서 그리고 자기가
맡은 공동체 안에서 잘 보살핀다. 그리스도와의 친밀함으로 그분과
닮은 모습으로 변화되어 우리는 성부의 얼굴, 그분 사랑의 계시인 그
리스도와 닮은 자가 된다.
37

4.9 Page 39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2.3 살레시오 사명 내의 다른 성소들과 이루는 친교
교회의 다양한
성소와 그 성소들
이 서로를 이해하
는 방식
23. 우리가 평신도들과 사명을 공유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살레시
오 회원들이, 그리고 더 중요한 이유로 원장이 교회의 다른 성소와 그
성소들이 서로에게 ‘의미하는 방식에 대해 어느 정도 명확하게 이해
할 필요가 있다.
트렌트 공의회 이후의 신학은 현대의 이성주의와 종교 개혁을 포함
한 다양한 문화적 이유 때문에 축성 생활을 평신도 신분과 뚜렷하게
분리시켜서 축성 생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익숙해지게 되었다.
반면 우리 시대의 균질화 경향은 교회 내에서 다양한 성소들을 평준
화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앞으로의 추세는 분리도 아니고 모
호한 구분도 아닌 ‘관계의 다양성’에 있으며, 이는 교회 내의 생활 신
분을 다루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도적 권고에서 점점 더 명확하게
확인되고 있다: 「평신도 그리스도인Christifideles Laici」(이하 약어 CL
표기)(1988), 「현대의 사제 양성Pastores Dabo Vobis」(이하 약어 PdV
표기)(1992) 및 「봉헌 생활」(1996).
교회의 다양한 성소들은 서로를 위한 것이며, 구별되면서도 서로에
게 연관되어 있다. 평신도 신분은 세속적인 성격으로 특징지어지며,
평신도의 일은 사제와 봉헌된 사람들에게도 하느님의 구원 계획에 있
어서 지상 현실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것이다. 직무 사제직은 그리
스도의 모든 성사적 현존에 대한 영원한 보증이다. 그리고 축성 생활
은 교회의 종말론적 성격을 증거하며, 우리는 순명, 청빈, 정결의 서
원을 통해 미리 경험되는 ‘부활의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을 모든 사람에
게 상기시켜 준다(CL 55; VC 31 참조).
38

4.10 Page 40

▲back to top
2. 살레시오 축성 성소: 사명을 공유하는 방식
교육 사목 공동체
와 살레시오
가족 안에서의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회원
24. 이러한 배경에서 제24차 총회는 살레시오 회원들과 평신도들이
공유하는 돈 보스코의 정신과 사명에 대해 말한다. 교육 사목 공동체
내에서,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는 핵심 고무자의 사목적 정체성에 대
한 카리스마적인 기준점이며, 원장은 일치와 카리스마적 정체성을 보
호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12
이것은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가족 신원 헌장」(이하 약어 Carta
표기)에도 반영되어 있다. 살레시오 가족의 각 그룹은 특정한 성소에
따라 복음에 봉사하며 교회 내에서 그리고 교회를 위하여13 살레시오
회의 카리스마적인 사명에 참여한다.
살레시오 가족 내에서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회원은 “상호 보완과
보다 나은 사도적 결실을 위하여 정신적 일치를 유지하고 형제적 협력
과 대화를 도모할 책임을 지니고 있다.”14 살레시오 공동체의 원장은
살레시오 가족을 지도하고 활력을 불어넣을 책임이 있다.
축성 생활자들은 25. 살레시오 사명에 동참하는 모든 사람은 어떤 면으로든 청소년들
종말론적 표징이
되도록 부름받았다 에게 하느님 사랑의 표징과 전달자가 되도록 부름을 받았다. 축성 생
활자들로서 사명에 동참하는 우리는 종말론적 표징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아마도 여기에 돈 보스코의 ‘종말’에 대한 생각과 그를 둘러싼
사람들의 마음속에 성덕에 대한 열망을 심어 줄 수 있는 능력과 함께
‘영구적으로 유효한 영감’을 받아들일 만하다.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회원들은 특히 청소년들에게 하느님께서 모든 인류에게 주시려는 선
물의 충만하고 ‘흘러넘치는’ 표징과 예언이 되도록 부름받았다. 우리
는 살레시오 가족의 다른 축성된 남녀 그룹들과의 친교를 통해서 그
러한 예언과 표징이 되지만, 특히 많은 평신도와의 친교를 통해서도
예언과 표징이 된다.
39

5 Pages 41-50

▲back to top

5.1 Page 41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2.4 사 제와 평신도라는 두 가지 양식으로 살아가는 하나의
성소
두 가지 양식으로 26. 하나의 살레시오 축성 성소는 우리 수도회만의 독창적이고 특별한
살아가는 하나의
살레시오 축성 성소 모습으로, 사제와 평신도라는 두 가지 양식으로 살아간다.15
살레시오 수사와 사제는 무엇보다도 살레시오회의 수도자이다. 그
들은 공동체 안에서 살아가는 봉헌된 사람으로서 돈 보스코를 따르는
교육자요 사목자이다. 살레시오회라는 측면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
면 사목에 있어서 일반주의에 빠지고, 축성이라는 측면을 제대로 이
해하지 못하면 사목적 개인주의와 다양한 형태의 보상에 빠지게 되
며, 프란치스코 교황이 가르침을 통해 종종 비난하는 성직주의의 위
험에 빠지게 된다.
제21차 총회는 살레시오 공동체 내에서 살레시오 수사 회원과 살
레시오 사제 회원의 위치를 분명하게 규정하고 있다. “‘돈 보스코의
이상’을 증진시키는 것은 개인이라기보다는 ‘사제와 평신도’로 구성되
어 있으며, 견고한 형제적인 유대 관계로 긴밀히 서로 결속된 공동체
일 것이다.” 이런 이유로, 제27차 총회는 계속해서 “각 살레시오 회
원의 분명하고 정확한 차원은 형제적이고 사도적인 공동체의 맥락에
서만 적절하게 연구하고 평가할 수 있다.”(CG21 171) 이 내용은 회
헌 45조에 소중히 간직되어 있다. “공동체 안에서 살레시오 성직자
와 평신도 회원의 의미 깊고 상호보완적인 현존은 공동체의 모습과
사도적 완성에 있어서 본질적 요소를 이룬다.” 실제로 제21차 총회는
“살레시오 수사와 살레시오 사제 사이의 본질적인 상호 관계”(CG 21
194-196)에 대해 말했다. 이러한 위대한 직관은 앞서서 교회 내에서
의 생활 신분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회칙에 나오는 ‘표징의 신
학’을 한발 앞서 말하고 있다.
40

5.2 Page 42

▲back to top
2. 살레시오 축성 성소: 사명을 공유하는 방식
살레시오
평신도 회원
27. 그러므로 제21차 총회 문헌 178항이 평신도 차원이 살레시오 수
사 회원의 특별한 성격이라고 말할 때, 이것은 공동체와 살레시오 사
제 회원과의 관계 안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사실, 비
가노 총장이 언급한 바와 같이, 살레시오 수사는 수도회 전체를 특징
짓는 평신도 차원 및 ‘세속적 위치’를 구체적으로 드러내며, 살레시오
수사 성소에 대한 이해는 우리 수도회 안에서 세속적 위치를 이해하
는 척도가 된다.16 평신도 살레시오 회원은 수도회의 평신도 차원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제24차 총회의 표현을 빌리면,
“살레시오 수사는 그의 축성된 형제들에게 창조와 세속 현실의 가치
를 상기시키며, 평신도와 협력하도록 초대하고 사도직이 엄밀히 사제
적 활동과 교리적인 활동을 능가하는 것임을 상기시켜 준다.” “살레시
오 수사는 평신도에게 하느님 나라를 위해 하느님께 온전한 봉헌의 가
치를 상기시켜 준다. 그는 모든 이에게 노동 세계에 대한 특별한 감수
성을 보여 주고, 지역에 관한 관심을 나타내며, 자신의 교육 사목 활
동과 관련된 전문성의 요구에 응답한다.”17 다른 종교를 믿는 이들에
대해 살레시오 수사는 창조된 현실의 아름다움, 신성함 및 가치에 대
한 예언이라고 덧붙일 수 있다.
그러나 살레시오 수사 형제는 또한 「교회 안의 형제 수도자들의 정
체성과 사명」18 문헌이 제안하는 것처럼 친교와 형제애의 아이콘이기
도 하다. 축성 생활은 삼위일체 신앙고백(confessio Trinitatis)이요 형
제애의 표징(signum fraternitatis)이다. 축성 생활의 해를 알리는 자
신의 서한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우리에게 축성 생활은 그 안에 갇혀
서는 안 되며, 축성 생활의 성소는 무한히 뻗어 나가며 계속 확대되는
원 안에서 친교를 확장하는 것이라고 상기시켜 주셨다.19
살레시오 사제 28. 살레시오 사제직의 현실은 엄격한 의미에서 더 복잡하다. 살레시
41

5.3 Page 43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오 사제는 수도 공동체에 속하면서도 지역 주교가 관할하는 사제단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비록 사제 직무로는 지역 주교의 사제단에 속하
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개적이며 특수화된 형태이다. 그 사제 직
무는 그가 수도 공동체 소속일 때 가능하기에 중개적이며, 그가 살레
시오 카리스마의 풍요로움을 사제단에 전하기 때문에 특수하다. 즉
이 의미는, 예를 들어, 공동 사명에 대한 직무 봉사가 개인적으로 가
끔 하는 직무보다 우선권을 갖고, 살레시오 사명과 관련이 적은 일보
다 우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살레시오 사제가 공동체 성찬례
공동 집전에 대해 부정적으로 다가가기보다,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자
신의 특별한 의미를 찾게 될 것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다른 형제 회
원들이나 평신도들과 사명을 함께 나누는 데 있어 모든 것을 혼자 떠
맡기보다는, 모두의 책임을 장려하는 형태의 권위를 행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가 원장일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것은 원장이 종이
신 그리스도께 특별히 민감하며, 수도적 권위 봉사의 일시적인 성격
과 공동체 내에서 형제로서 참여하는 겸손한 봉사를 받아들이며, 편
안함과 안락함 속에 타협을 하며 교회 내에서 승진과 경력에 대한 열
망을 드러내는 ‘영적인 야심’을 멀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수한 영향을 받는 살레시오 사제 직무의 의미는 공동체 차원과
더욱 관련이 있다. 새로운 사목 활동 임무는 살레시오 정체성과 사명
을 주요 기준으로 삼아 신중하게 공동체가 식별한 후에만 받아들여야
한다. 우리가 회헌을 충실히 지키고자 한다면 ‘좋은’ 것이 다 ‘우리에
게도 좋은 것’은 아니다.
축성과 사목직의
은사를 결합하기
29. 살레시오 사제의 정체성은 본회의 교육적이고 사목적인 카리스마
로부터 근본적인 방향을 제시받는다. 우리의 『양성 지침서Ratio』는 살
레시오 사제는 축성의 은사와 사목적 직무의 은사를 자신 안에 결합하
42

5.4 Page 44

▲back to top
2. 살레시오 축성 성소: 사명을 공유하는 방식
고 있음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사제로서의 그의 특별한 존재
방식과 직무 수행 방식은 살레시오 축성에서 비롯된다.”(FSDB 2016
39) 살레시오 사제는 본질적으로 사제 교육자이며, 특히 예방교육인
자유의 교육학에 민감한 사제 교육자이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당신
자신을 내주실 때, 결코 우리의 참여를 배제하지 않으시기 때문에, 그
리스도께서 교회와 교회의 사목자에게 맡기신 사명은 순전히 수직적
인 방법으로 결코 이행될 수 없다. 은총은 항상 우리의 자유와 관련
이 있으며, 가장 강력한 은총조차도 우리의 자유를 빼앗아 가지는 않
는다. 은총은 사랑이며 자유가 없는 곳에는 사랑에 대한 자유로운 응
답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살레시오 사제는
요한 보스코의 예방교육인 은총과 자유의 지혜로운 종합이라 할 만큼
독창적인 인물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20
돈 보스코의 사제직에 대한 베키 총장의 해설은 여기에서 언급할
만한 가치가 있다.
돈 보스코는 최고의 교회 전통에서 말하는 사제의 모습과 자신을
동일시하였으며, 당시의 일반적인 사제들의 모습과는 엄밀히 연
관이 없었다. 즉 본당 사제, 특정 그룹의 사람들이나 교육기관의
성무감, 신학교나 대학교 교수로서 교구에서 역할을 맡은 사제 등
과는 거리가 있었다. 그는 종교적 근본주의 사상을 지닌 사제, 자
유주의 사제, ‘현대적인’ 사제 또는 ‘사회주의적인’ 사제와 같이 정
치적이거나 문화적인 경향에 치우치지 않았다.
이런 모든 사제의 모습은 토리노 성직자 사이에서 널리 퍼져 있었
다. 일과 사목적 사랑을 크게 강조한 카파소 신부가 제시하는 모
델들을 따라 ‘성 요한 보스코는 매 순간 단순히 사제라고 느꼈고
그렇게 될 줄 알았다.’ 그러나 돈 보스코는 이러한 모델에서 사제
이신 그리스도에게 그리고 무엇보다도 교회가 의미하는 사제의
모습으로 직접 거슬러 올라갔다.21
43

5.5 Page 45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살레시오 평신도
회원과 살레시오
사제
30. 그러면 살레시오 평신도 형제와 살레시오 사제 형제의 관계는 무
엇인가? 살레시오 공동체 내에서 수사와 사제는 서로에게 표징이 된
다. 우리가 말했듯이, 수사 회원은 사제 회원에게 우리의 공통된 성소
의 평신도 차원을 상기시켜 준다. 그는 더 나아가서 그들에게 축성된
정체성을 영구적으로 상기시켜 주는 사람이다. 한편 살레시오 사제는
살레시오 평신도 회원에게 그가 단순한 전문직 종사자일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세상(saeculum) 안에서 사목자며 교육자라는 사실을 상
기시켜 주는 사람이며 그 표징이 된다.
몇몇 문화적 배경의 영향 아래서 사제가 수사보다 “왠지 더 우월한
존재”라고 받아들이기 쉽다. 그러나 비가노 총장이 자신의 서한 ‘2000
년 올해의 사제’에서 강조한 내용을 기억하는 게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는 모두 사랑으로 심판받을 것이다. 즉 천상 예루살렘에서는 더
이상 성경도, 주교와 사제도, 교도권도, 성사도, 공동 작업도, 우리의
역사에서 꼭 필요한 많은 상호 봉사도 필요가 없을 것이다.” 돈 보스
코의 7대 후계자는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리고 이미 교회
공동체에서 제도적 · 계층적 · 활동적 현실의 질서는 … 그러한 현실
이 신앙을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봉사하고 밝히는 신비 앞에서는 이
차적인 것이 된다.”(ACG 335 24) 『가톨릭 교회 교리서Catechismo della
Chiesa Cattolica』(이하 약어 CCC로 표기)가 교회의 성사적 구조는 하느
님과의 친교인 최종적인 성소에 종속되어 있음을 언급할 때, 이러한
통찰력이 재확인되는 것을 보면서 놀랄 따름이다.
교회 안에서 “가실 줄 모르는 사랑”(1코린 13,8 참조)으로 하느님과
인간들이 이루는 이 일치가 바로, 지나가는 이 세상과 관련된 교
회 안의 모든 성사적 도구의 목적이다. “교회의 구조는 온전히 그
리스도 지체들의 거룩함을 위해 있다. 이 거룩함은 신부가 신랑의
선물에 사랑으로 응답하게 되는 저 ‘큰 신비’에 따라 측정된다.”(요
한 바오로 2세, 「여성의 존엄」 27항) 마리아는 티나 주름이 없는 신
44

5.6 Page 46

▲back to top
2. 살레시오 축성 성소: 사명을 공유하는 방식
부와 같은 교회의 신비인 거룩함에서 우리 모두를 능가한다. 그러
므로 “교회는 베드로적인 차원보다 마리아적인 차원이 앞선다.”22
사제직은 기본적으로 사목 직무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겸손한 봉사를 의미한다.
그리고 겸손하게 자신을 봉헌하는 우리는 교회의 성모 성심에 자리
를 잡는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좋다. 그것은 우리가 어떤 식으로든
평신도보다 우월하기 때문이 아니라 온 교회의 종말론적 운명의 표징
이 되는 우리의 성소 때문이다.
● 원장은 우리 성소의 두 형태를 이해하고 높이 평가하도록 형제들과 교육
사목 공동체의 구성원들을 도와줄 것이다.
● 모든 유형의 차별적 언어를 피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면서 청소년들, 우
리와 만나는 사람들에게 그리고 정부 관계자와 교회 직권자들에게 우리 성
소의 두 가지 형태를 제시할 모든 기회를 찾을 것이다.
● 살레시오 평신도 회원이든 살레시오 사제 또는 지망자든, 각 형제의 평생
양성과 자격 취득을 고무할 것이다.
2.5 질적으로 양적으로 일관성 있는 공동체에서
살레시오 공동체
는 교육 사목 공동
체의 핵심 고무자
가 된다
31. 살레시오 공동체의 사명은 항상 교육 사목 공동체에서 이루어지
며, 그 안에서 살레시오 공동체는 핵심 고무자가 된다. 제24차 총회는
모든 살레시오 회원은 고무자(CG24 159)라고 말했으며, 제25차 총
회는 살레시오 공동체가 그 안에서 핵심 고무자로서 카리스마적 기준
점이라고 선언했다(CG25 70, 아래 7.3 참조). 살레시오 회원의 역할
에 대한 이러한 재고의 즉각적인 결과 중 하나는 수도 공동체 안에서
45

5.7 Page 47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양적 및 질적 일관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고무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살레시오 공동체는 자신의 활동
을 가시적이고 의미 있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양적·질적 일관
성이 필요하다.
수적 일관성은 양성, 영성 생활 및 형제적인 생활, 사목의 질과 평
가, 계획 수립 및 지역 사회와 지역 교회와의 대화를 더 잘 지원
할 수 있다(CG24 173).
질적 일관성이란 공동체 안에서 청소년들 사이에 현존하고 그들
을 동반하며 신앙으로 교육할 수 있는 자질을 요구한다. 또한, 개
인과 단체에 활력을 주고 평신도를 양성하며 지역 사회와 지역 교
회, 살레시오 가족과 살레시오 운동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CG24 174).
사명이 단지 청소년을 위한 일과 그들을 위한 시설 운영 및 봉사로
환원되는 경향이 있다면 공동체가 일관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모
든 살레시오 회원이 고무자가 되도록 부름을 받았다면 수도 공동체는
이 일을 위해 준비되어야 하고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공동체 회원의
수는 충분해야 한다.23
46

5.8 Page 48

▲back to top
3. 살레시오 정체성의 수호자인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안에서의
원장과 돈 보스코
의 사도적 계획
32. 우리는 우리 사명의 중심성과 이러한 사명에 축성된 사람들이 사
명을 공유하는 방법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원장은 수도 공동체와
돈 보스코의 사도적 계획안에서 자신의 임무를 수행한다. 우리의 사
도적 봉헌의 내적이며 외적인 풍요로움은 당연히 원장의 복잡한 역
할에 반영된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교회와 우리 수도회는 수도 공동체의 지도자 및
고무자로서 권위를 가진 자의 모습을 심화시켰다.24
이 매뉴얼 3부에서는 교육 사목 공동체와 다양한 방법으로 살레시
오 사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단체에 관하여 원장의 지도력과 고무
역할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것이다. 2016년에 원장 매뉴얼의 개정
판을 준비하면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가장 꾸준히 나타난 어려움 중
하나는 원장이 살레시오 공동체의 원장이면서 또한 살레시오 사업에
서 수행된 많은 활동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자가 된다는 것이었다. 후
자의 측면은 종종 너무나도 까다로워서 많은 원장이 살레시오 공동체
의 고무와 각 회원의 동반에 마땅한 주의를 기울이기가 어렵다고 생
각한다. 이러한 긴장에 대한 쉬운 해결책은 없으며, 우선 관구 수준에
서 자질 식별, 우수한 통치력 및 원장 양성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 등
이 필요하다. 이번 새로운 원장 매뉴얼의 제2부와 제3부에서 제안하
고 있는 내용은 현명하게 식별하고, 살레시오 공동체와 교육 사목 공
동체의 차원에서 고무와 통치의 두 기둥 사이에서 올바른 균형을 찾
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3.1 공동체의 원장
원장은 제자들을 33. 회헌 55조는 특히 공동체의 원장에 대해 말하고 있다. “원장은 성
일치시키는 그리스
도를 대리한다 부를 섬기도록 당신의 제자들을 한데 일치시키는 그리스도를 대리한
47

5.9 Page 49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다. 그는 공동체의 중심이고 형제 중의 형제이며….”
“원장은 그리스도를 대리한다.” 우리의 전통이 부성에 부여한 모
든 중요성 때문에, 원장이 성부를 대리한다고 말하는 것이 더 자연
스러워 보였을지도 모르겠지만 회헌 55조는 원장이 그리스도를 대
리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선언의 깊은 의미를 해석해 보도록 하겠다.
원장은 “당신의 제자들을 한데 일치시키는” 그리스도를 대리한다.
원장의 임무는 통상적으로 고무와 통치라는 측면에서 설명된다. 어
원학적으로 ‘animazione’는 라틴어 anima에서 온다. 우리는 보통 이
단어를 ‘영혼’으로 번역하고 영적인 용어로 이해하지만 원래 의미로는
‘생명’을 의미한다. anima가 있는 곳에 생명이 있다. 대신에, 육체가
죽어 anima가 분리될 때, 어떤 장기들, 많은 부분의 세포들은 계속
살아 있을 수 있지만, 더는 통일성이 없다. 유기체는 그 구성 요소들
로 분해되어 버린다. anima는 육체와 일치될 때만 생명의 원리가 된
다. anima가 없으면 장기와 세포가 계속 존재하더라도 더는 살아 있
는 존재는 아니다. 이에 대한 응용은 분명하다. 개별 회원이 활력이
넘치고 계속 번성하더라도 일치되지 않은 공동체는 죽은 것이다. 그
러므로 고무는 공동체의 살아 있는 일치를 구축하는 임무이다. 원
장은 그리스도처럼 성부를 섬기는 형제들을 일치시킨다. 그렇다고
해서 원장이 가장 유능하고 가장 똑똑하며 공동체에서 가장 위대한
경험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오늘날 우리는 종
종 원장이 공동체에서 가장 젊은 사람 중 하나인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 그러나 강한 믿음과 희망과 사랑, 그리고 아주 겸손한 자세를
지니고 있다면 그가 젊더라도 여전히 공동체를 일치시키고 활력이
넘치게 할 수 있다.
48

5.10 Page 50

▲back to top
3. 살레시오 정체성의 보호자인 원장
성부를 섬기는 것 34. 원장은 “성부를 섬기는” 형제들을 하나로 일치시킨다. 일치에 정
이 일치에 정체성
을 준다
체성을 부여하는 것은 성부를 섬기는 것이다. 모든 종류의 일치가 진
실하고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원장은 성부의 뜻을 추구한다는 주된
목표를 제쳐 놓으면서까지 무슨 수를 써서라도 일치를 추구하려는 유
혹을 받을 수 있다.25 “권위를 행사하도록 부름받은 이들은, 그들이 먼
저 열심히 올바르게 하느님의 뜻을 추구하도록 이끄는 나그넷길을 밟
을 때 비로소 일관성을 지닐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안티오키아
의 이냐시오 성인이 동료 주교에게 한 다음과 같은 충고가 그들에게
도 유익할 것이다. 당신의 동의 없이는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않지만,
당신은 하느님의 동의 없이 어떤 일도 해서는 안 됩니다.권위자들은
그들의 명령이 오로지 하느님께 순명하려는 것이라는 사실을 형제자
매들이 느낄 수 있도록 행동하여야 한다.”(FT 12)
공동체의 중심이고, 35. 회헌 55조의 첫 문장에 포함된 권위의 개념은 다음과 같은 내용
형제 중의 형제
으로 강화된다. 원장은 “공동체의 중심이고 형제 중의 형제이며, 형제
들은 그의 책임과 권위를 인정한다.”
“그는 공동체의 중심이다.” 분명히 이것은 자아 중심으로의 부르
심이 아니며, 더더구나 자기 기준과 자기 승진으로의 부르심은 아니
다(VN 45). 원장은 그리스도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양식이 성부의 뜻
을 행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요한 4,34 참조). 아들이요
형제인 그리스도처럼, 원장은 온유하게 그리고 겸손하게 권위를 행사
한다. 복음적 근본성에 대한 요구에는 겸손이라는 ‘잊힌 덕목’도 포함
된다. 겸손은 흙(humus)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항상 가난과 굴욕을
동반한 삶을 살았던 소박한 농부였던 소작인(contadino) 돈 보스코를
곧바로 기억나게 한다. 겸손은 영적 가난과 관련이 있으며, 가장 깊
은 의미의 영적 가난은 하느님과 하느님만을 우리의 목표로 삼는 것
49

6 Pages 51-60

▲back to top

6.1 Page 51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이다. 살레시오 원장의 가난은 자신의 부족과 한계뿐만 아니라 공동
체의 한계를 수용하는 겸손과 관련이 있다. 원장은 형제 중의 형제이
며, 불완전한 사람 중의 불완전한 사람이다. 그는 자기의 첫 번째 선
택이 하느님이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러한 선택에서 다른 모든 선
택이 이어진다.
형제 중의 형제.” 권위를 위임받은 사람은 여전히 형제이며 형제
애를 위해 봉사한다. 따라서 축성 생활에 관한 수도회성의 문헌 「새 포
도주는 새 부대에」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축성 생활에 대하여,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때부터 작업해 온 더욱 광범위한 시각으로 보면,
권위의 역할 중심에서 역동적인 형제애 중심으로 이동하였음을 볼 수
있습니다.”(VN 41) 권위는 개인적인 것이지만 사적인 것은 아니다.
권위는 친교와 충실성을 위한 것이며, 더 정확히 표현해서 성부를 섬
기고 우리를 위한 성부의 계획을 받드는 것이다(VN 41, 44).
원장은 공동체의 중심이고 형제 중의 형제이며, 형제들은 그의 책
임과 권위를 인정한다.” 아들이자 형제이시며 동시에 아버지의 얼굴
을 보여 주신 그리스도와 마찬가지로(요한 14,9 참조) 살레시오 원장
은 형제이며 아버지이고 그러한 두 가지 역할 사이에는 모순이 없다.
돈 보스코 안에서 우리는 그리스도교적 권위의 이러한 독특하고 심오
한 삼위일체적인 성격의 놀라운 화신을 발견한다. 리날디 총장이 말
한 것처럼 “우리의 설립자”는 “아버지 외에는 다른 존재가 된 적이 결
코 없었습니다. … 그의 삶 전체는 천상 아버지에게서 나오는 부성에
대한 완전한 논문이며, 복자께서는 이 부성을 이 세상에서 최고로 실
천하셨습니다.”(ACS 12 939-940) 돈 보스코는 항상 출세와 명예를 거
부했지만, 아버지라고 불리는 것에 행복해했다. 그는 자신의 기쁨을
숨기지 않았고, 나중에 자신의 내면을 차지한 온유함까지도 숨기지
50

6.2 Page 52

▲back to top
3. 살레시오 정체성의 보호자인 원장
않았다. “나를 아버지라고 불러 주면 항상 행복할 것입니다.”〔『돈 보스
코 전기Memorie Biografiche』(이하 MB로 표기) 17, 175〕
이러한 모든 요소는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고려 사항에 요약되어
있다. “원장의 첫째 임무는 공동체가 회헌에 충실하게 살고 일치 안에
성장하도록 활성화하는 일이다.”(회헌 55조)
원장의 첫 번째 임무는 공동체를 고무하는 것이다.” 우리의 총회
들과 최근에 개최된 제27차 총회는 원장의 개입 영역이 어떻게 확장
되었고 그들이 공동체의 영적 지도자와 교육 사목 공동체의 고무자가
되는 데 시간과 에너지를 조금밖에 쏟지 않고 어떻게 관리 임무를 항
상 더 많이 맡게 되었는지에 대해 반복적으로 언급해 왔다.26
책임의 축적과
임무 안에서
가치의 위계
36. 2016년에 시행된 설문 조사에 나타난 가장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어려움은 원장이 떠맡게 되는 관리자의 역할이었다. “가중된 책임 때
문에 원장은 자신의 본질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즉 영적인 부
성을 제공하고, 형제 회원에게 우선권을 주며, 평신도를 양성하고 동
반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긴급한 일에 신경을 쓰다 보면
중요한 것에 대한 관심은 뒤로 밀려난다. 많은 원장이 너무 많은 일
로 혹사당하고 있다. 그들은 공동체를 활성화할 시간과 에너지가 없
다.”27 드물지 않게, 행정 및 관리 업무가 지배적이게 된 것은 살레시
오 집의 상황에 의해 실제로 필요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공동체의
영적 지도와 각 회원의 형제적 지지에 부응하는 역할보다 그러한 역
할을 의도적으로 선택하고 선호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이
것은 다른 도전과 관련이 있다. “공동체의 수적 및 질적 일관성과 관
련된 어려움, 오늘날 우리가 필요로 하는 공동체의 유형에 대한 혼란,
원장으로 임명된 많은 회원의 능력과 준비를 능가하여 요구되는 자질
51

6.3 Page 53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들, 즉 동시에 아버지이자, 영적 지도자, 관리자, 경영자, 회원 공동
체와 교육 사목 센터의 사목 고무자… 등이 되는 것.”28 그럼에도 불
구하고 같은 설문 조사는 무엇보다도 카리스마 넘치는 고무자이며 공
동체의 지도자, 돈 보스코의 부성의 아이콘인 원장이 필요하다는 것
을 보여 준다. 우리는 여기서 근본적인 확신과 태도의 중요성을 과소
평가해서는 안 된다. 자신의 첫 번째 임무가 공동체의 고무라는 것을
알고 확신하는 원장과, 그것을 모르거나 확신하지 않는 원장 사이에
는 현저한 차이가 있다.
우리 총회는 임무의 위계 구조를 똑같이 강조해 왔다. 원장은 자신
의 많은 책임을 우선순위를 정하고 위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그의 많은 업무가 모두 똑같이 중요한 것은 아니
며, 모두 같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카리스마적 책임
37. 회헌에 충실하게 살고 일치 안에 성장하도록.” 원장은 살레시오
정신의 수호자이며, 돈 보스코가 우리에게 물려준 삶과 행동의 본래
유형이다. 살레시오 정신의 중심에는 사목적인 사랑이 있다. “우리로
하여금 영혼들을 찾고 하느님만을 섬기도록 하는 것이 사목적 열정이
다.”(회헌 10조) 사목적 사랑은 착한 목자의 사랑이며, 이 사랑은 빵
과 일을 제공하는 데 만족하지 않고 “영혼을 구하는” 데 전념한다. 사
목적 사랑은 청소년들에게 행복의 충만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교육뿐
만 아니라 복음화를 강조한다. 원장은 그러한 사랑을 구현하고 회원
들에게 그런 사랑을 고취시키도록 부름받았다. 무엇보다도, 원장은
새롭고 너그럽고 순수한 마음으로 그리고 진정으로 자신을 끊어 버리
고, 완전하고 끊임없이 충실하게 자신을 바쳐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
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하느님께서 염려하시는 것과 같은 마음으
로” 심지어는 어머니처럼 부드러운 마음으로 “신자들의 마음속에 그
52

6.4 Page 54

▲back to top
3. 살레시오 정체성의 보호자인 원장
리스도가 형성될 때까지(갈라 4,19 참조)”(PDV 22) 사람들, 즉 회원
들과 아울러 교육 사목 공동체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을 사랑하도록
부르심을 받았다.
회헌에 충실하게 살 수 있도록, 원장은 회원들을 위해 회헌에 구체
화된 살레시오 축성 신분의 수호자이다. 그러므로 제27차 총회는 특
별한 방식으로 원장에게 카리스마적 정체성에 대해 더 깊이 탐구하고
돈 보스코의 사도적 계획을 충실하게 생활하라는 성소를 깨닫도록 권
고하고 있다(CG27 89–90).
회헌 55조의 다음 부분에서 총장의 카리스마적 책임이 다시 강조
된다. “각 형제 회원에 대한 직접적 책임을 가지고 개인의 성소를 실
현하도록 돕고 그가 맡은 일에 힘이 되어 준다.
지역 공동체의
첫 번째
양성 담당자
38. 관구장이 관구에서 첫 번째 양성 담당자인 것처럼, 원장은 지역
공동체에서 첫 번째 양성 담당자이다. 회헌에 결정적인 문헌을 제공
한 제22차 총회는 평생 양성의 관점에서 양성 분야 전체의 틀을 짜기
로 했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있어서 양성은 결코 전적으로 초기 양성
만을 의미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양성은 하느님의 부르심에 대한 우
리의 매일의 응답이며, 이를 위해 하느님께서는 매일 당신 은총을 베
풀어 주신다(회헌 96조). 양성은 평생 지속되는 과정이다. 양성은 매
일의 사건 속에서 성령의 음성을 식별하고, 따라서 살레시오 성소의
가치를 체험을 통해 배우는 것이다(회헌 119조와 98조). 그러므로 일
상생활은 양성의 중요한 장소이며, 우리가 이것을 정말로 깨달을 때
원장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또한 깨닫게 된다. 원장의 첫째 임무
는 공동체가 회헌에 충실하게 살고 일치 안에 성장하도록 고무하는
일이며, 원장은 각 형제 회원에 대한 직접적 책임을 지고 개인의 성소
53

6.5 Page 55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를 실현하도록 도와준다.
원장은 모든 회원과 마찬가지로 일치의 은총에 개방되어 있다. 그
는 하느님과 형제자매를 향한 동일한 형태의 사랑 안에서 사도적 헌
신을 살아간다(회헌 3조). 원장은 사목적 사랑의 두 기둥, 즉 하느님
과 이웃 사이에 가장 친밀한 관계가 있음을 알고 있다. “하느님에 대
한 사랑에서 나오지 않는 한 청소년들에 대한 헌신은 진정한 것이 아
니며, 청소년들, 특히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들에 대한 우선적인 사랑
을 고려하지 않는 것은, 하느님에 대한 진정한 사랑이 아니라는 것 또
한 마찬가지로 사실이다.”(ACG 330 27-28) 성령을 통해 우리 마음에
부어진 하느님에 대한 사랑은 우리의 이웃에 대한 사랑의 근거이자
이유이며, 하느님을 사랑하는 방법은 형제자매들에게 봉사하는 것이
다(PV 149). 1986년 판 『살레시오 원장』 서문에서 비가노 총장이 언
급하듯이, 사목적 활동이 사목적 사랑보다 열등한 것이 아니다. 오히
려 그것은 하느님의 사랑에 참여하는 것이다. 심오한 사도적 경험에
서 우리는 내적 생활 양식을 찾는다(MSD 18).
성령의 능동적
현존에서 원장은
충실에 필요한
힘과 희망에 대한
지지를 얻는다
39. 위의 모든 내용은 훌륭하고 고무적이지만, 아무리 용기 있는 원장
이라 하더라도 엄두를 내지 못할 수도 있다. 우리가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번 기억하는 게 도움이 될 것이다. 부르심은 하느님에게
서 나온다. 우리는 성자와 하나 되어 살도록 부름을 받았으며, 성자와
떨어져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으며, 주님께서 매일 우리에게 은총을
주신다는 것을 알고 있다. 우리는 성령의 능동적 현존에서 충실에 필
요한 힘을 얻고 희망에 대한 지지를 얻는다(회헌 1조). 게다가 우리는
십자가가 우리 신앙의 신비의 중심에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어
떤 ‘매뉴얼’도 원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돈 보스코가 그의 어머
니를 초대한 것처럼 십자가에 못 박힌 분에게 시선을 고정하도록 우
54

6.6 Page 56

▲back to top
3. 살레시오 정체성의 보호자인 원장
리를 초대해야 한다.
그래서 원장은 마리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아들을 바라보는
법을 배운다. 마리아는 원장의 모델이다. 마리아는 당신 아들처럼 성
부에게 완벽한 제자요, 완벽한 ‘예’이기 때문이다. 어머니와 아들은 모
두 아버지의 뜻이 빛나는 구름 앞에서, 비록 그 뜻을 완전히 이해하
지 못했을 때조차도 끊임없이 순종하며 걷는 법을 알고 있었다. 마리
아가 예수님에게 사랑을 가르치셨듯이, 돈 보스코에게도 손수 사랑을
가르쳐 주셨기에 마리아는 스승이시며, 원장에게도 사랑하고 희망하
고 믿도록 가르치실 것이다.
3.2 원장의 권위와 권한
명령권이라기보다
는 성장을 촉진하
는 능력으로서의
권위(auctoritas)
40. 예방교육은 교육자와 청소년 사이의 관계에서, 그리고 동일하게
살레시오 공동체 내에서 회원들 사이의 관계에서 신뢰와 믿음이 토
대를 이루는 리더십의 양식을 증진한다. ‘권위의 봉사’를 위임받은 이
들의 지도와 고무의 역할은 절대 줄어들지 않는다. 반대로, 살레시오
정신에 따라 그러한 역할과 봉사를 살 때, 그들은 더 큰 권위를 얻고,
‘냉정한 규칙’(1884년 로마에서 보낸 편지)에만 의존했을 때보다 훨씬
더 효과적인 성취를 이룰 수 있다.
흥미롭게도, 청소년들과 신앙 및 성소 식별에 대한 시노드의 최종
문서에서 ‘권한’에 대한 동일한 호소를 발견하게 된다. “진정한 성장의
여정을 걸으려면 젊은이들에게는 권위 있는 어른이 필요합니다. 권위
(authority)의 어원인 auctoritas는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독단적인 힘의 개념이 아니라 생산적인 힘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 것입니다.”29
55

6.7 Page 57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살레시오 회원이 이런 종류의 권위에서 성숙할 수 있게 하려면, 우
선 청소년에 대해 그리고 지도자 역할을 하는 교육자로서 인간적이며
영적인 성장에 많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돈 보스코가 스물
여섯 살인 루아 신부를 미라벨로의 원장으로 파견하면서, 그를 위해
첫 번째 ‘원장 매뉴얼’을 썼을 때, “Con te stesso” 즉 “당신 자신을 위
하여”라는 어구로 긴 편지를 시작하면서, 젊은 루아 신부에게 자신을
잘 돌보라고 조언한다. 여기서 이 말을 자세하게 설명할 필요는 없지
만 각 회원의 평생 양성과 관련되는 것은 무엇보다도 먼저 원장 자신
과 그의 건강한 성소, 기도, 성찰 및 공부 시간, 영적 동반을 충실하
게 함 등과 관련이 있다. 우리가 다른 사람에 대한 책임이 크면 클수
록 개인적으로 더 많은 지원과 지도를 받아야 한다.30
원장 개인의 삶의 질과 직접 관련이 있는 것은 교육 사목 공동체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상황에 대한 활동, 과제, 계획 및 관리를 위
해 우리의 사명을 공유하는 평신도들과 형제 회원들 간의 공동 책임
을 증진시키는 능력이다(회칙 173조).
권력으로서의
권위
41. 교회법은 교회의 모든 종류의 권위를 권력(potestas)으로 정의한
다는 점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권위를 받는 사람은 교회로부터 그것
을 받는다. 교회의 이름으로만 그리고 그 지침에 따라서만 그러한 권
력을 행사할 수 있다. 베드로의 권위는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와 그분
의 복음에서 나온다. 베드로의 권위는 임의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의 모든 제자를 위한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그리스도께 항상 연
결되어 있다.
이것은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회원들의 생활 계획을 구체화한 살레
시오 회헌에 존재하는 모든 권력 · 권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살
56

6.8 Page 58

▲back to top
3. 살레시오 정체성의 보호자인 원장
레시오 회헌은 교회의 권위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교회는 무엇
보다도 회헌을 인준하고 우리 수도회 창립자를 성인으로 선포함으로
써 그 안에 하느님께서 역사하심을 인정하였다.”(회헌 1조)
권위의 행사는
항상 카리스마적
충실을 증진하고자
함이다
42. 따라서 바로 권위 · 권력이라는 관점에서 교회법은 축성 생활에서
의 권위의 봉사에 대한 기본 개요뿐만 아니라 축성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더욱 구체적인 권리와 의무를 정의하고 있다.31
축성생활회와 사도생활단성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축성 생활 안
에서 권위의 봉사에 대해 고찰하면서, 예를 들어, 하느님께 순명하는
‘장상’ 자신에 대해서, 그리고 봉사의 정신과 사목적 보살핌에 대해 분
명히 강조하였다. 권위의 행사는 항상 다양한 영역의 공동체 생활과
공동체에 맡겨진 사도직 활동에서 카리스마적 충실을 증진하고자 하
는 것이다.32
이 권위의 봉사를 올바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근본적인 성
향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사람의 믿음과 순명의 정신, 경
청, 대화, 공동 책임 의식, 공동체 식별, 사명에 대한 봉사, 각 공동체
와 사업에 있어서 보살핌 등을 강조하였다. 동시에 우리는 권위를 지
닌 사람에게 맡겨진 책임을 등한시하거나 태만한 것과 아울러 권위의
부분적인 남용도 피해야 한다.
각 수도회는 자기 고유의 카리스마와 적절한 법에 따라 권위 행사
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살레시오회의 경우, 회헌과 회칙, 총회 결정
사항 및 관구 지침서에 정의되어 있다.
살레시오 스타일의 43. 회헌 65조와 121조는 가족정신과 사랑으로 살레시오 스타일의
권위의 봉사
57

6.9 Page 59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권위 행사를 종합하고 있다. 회헌 10장에서는 이러한 봉사의 기본 기
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스도처럼 그리고 그분의 이름으로 권위를
행사한다. 지침, 결정, 교정 및 기타 적절한 중재를 통해 사명을 충실
히 완수하도록 모든 사람에게 애덕을 증진시키고, 개인과 구조를 조
정하여 일치와 참여, 책임, 보완성 및 권한 분산 등을 보장한다. “이
봉사는 우리의 사명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사랑을 촉진시키고 모든 이
의 임무를 조정하며 활기를 주고 방향을 제시하며 결정하고, 교정함
을 지향한다.”(회헌 121조)
권위의 봉사에 있어서 이러한 살레시오 스타일과 함께 회헌과 회
칙은 권위의 행사에 대해 더 구체적인 지시를 하고 있으며(회헌 175–
186조, 회칙 170–184조), 원장과 부원장, 지역 공동체 평의회와 전체
회원 모임의 역량과 책임을 고려하고 있다. 원장의 효과적인 직무 수
행을 위해 회원들도 이러한 지침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관구 지침서와 관구 평의회의 결정 사항들은 교육 사목 공동체와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기본적인 책임과 역할을 부여하면서 모든 살레
시오 현존의 고무와 통치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이러한
것이 원장의 책임을 덜어 줄 것이다. 관구가 공식 방문 및 기타 고무와
조정 서비스를 통해 함께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3.3 살레시오 원장의 사제적 성격
살레시오 사제가
공동체를 이끈다
44. 지역 사회에서의 권위의 봉사는 사제 살레시오 회원이 맡는다.
“공동체는 우리의 전통에 따라서 사제 회원이 지도하며 그는 사제직
의 은총과 사목 경험으로 회원들의 정신과 활동을 돕고 방향을 정한
다.”(회헌 121조) 이 문제는 제20차 총회 중 특별한 관심을 끌며 제기
58

6.10 Page 60

▲back to top
3. 살레시오 정체성의 보호자인 원장
되었던 문제이며 제21차 총회에서도 분명히 다뤄졌다. 비가노 총장
은 자신의 개입을 통해 공식적으로 근본적인 질문을 한다. “권위의 봉
사는 사제 직무와 실질적으로 연관이 있는가 또는 없는가?”33 그 후에
충분한 성찰을 통해 돈 보스코에게 충실하고 또한 원장에게 요구되는
봉사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34
회헌 121조의 첫 부분은 우리에게 중요한 증거를 제시한다. “수도
회 내의 권위는 돈 보스코의 정신 안에서 성부의 뜻을 찾고 이루기 위
해 형제들에 대한 봉사로써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그리스도를 본받아
행사된다.” 이것은 교회법적인 범주나 권위의 봉사를 위한 역량과 역
할의 분배에 관한 문제가 아니다. 더구나 살레시오 회원들을 여러 부
류로 분류하는 것은 더욱 아니다. 오히려 돈 보스코가 시작한 살레시
오 공동체의 생활 방식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돈 보스코는 그의 사
제적인 부성으로 우리 살레시오 생활의 원천인 공동 계획에서 아들
들을 지도했다.
돈 보스코가 우리에게 물려준 모범을 따르면서, 살레시오 공동체는
항상 살레시오 사제들이 지도해 왔다. 성사 거행은 돈 보스코가 그의
회원들을 양성하고 지도하였던 영적 고무를 깊이 특징지었다. 이것은
그가 물려준 카리스마적 유산의 일부가 되었으며, 그의 후계자와 공
동체가 이를 계승하였다.
공동체 안에서
그리고 공동체를
위한 말씀과 성화
와 지도의 봉사
45. 결정적인 요소는 원장이 공동체에서 자신에게 맡겨진 권위의 봉
사를 수행함으로써 사제직의 은총을 살아가도록 부름을 받았다는 것
이다. 원장은 그의 사제직의 세 가지 측면, 즉 말씀의 봉사, 성화의 봉
사, 지도의 봉사라는 세 가지 측면을 자신의 공동체 안에서, 그리고
공동체를 위하여 살아간다(ACG 306 14). 베키 총장은 제25차 총회
59

7 Pages 61-70

▲back to top

7.1 Page 61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소집 서한에서 원장들에게 그들의 기능의 우선순위를 정하라고 요구
하며 세 부분에 중점을 둘 것을 지시하였다. 즉 카리스마적 측면(회원
들의 성소를 성장시키는 데 있어 성령과 협력하기), 사목적 측면(살레
시오 사명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사목적 사랑을 강화하기) 그리고 형
제적 측면(관계와 일치, 공동 책임 등을 보살피기)이다. “이 모든 것을
실현하기 위해 원장은 그의 사제 카리스마를 활용합니다. 회헌에 따
르면 원장은 사제여야 합니다. 그것은 단순히 그가 사제 서품이라는
법적 요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수도 공동체와 교육
공동체 내에서 그런 공동체를 위해서 사제직을 행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ACG 372 33)
원장 봉사의 우선
순위는 성소의
충실성, 형제 생활
과 사목적 사랑을
고무하는 것이다
46. 다음은 제25차 총회가 따랐던 노선이다. “돈 보스코의 모범을 따
르는 원장은 ‘부성적이어야 하며 동시에 애정이 넘치고 권위가 있어
야 한다.ʼ … 사제의 특성으로부터 심오하게 드러나는 원장직은 말씀
과 성화와 고무의 직무 안에서 그를 매일같이 변화시킨다. … 그는 일
상적인 직무 수행에서 그가 해야 할 일의 우선순위를 고려해야 한다.
즉 살레시오 회원의 일치와 정체성을 위한 봉사; 스승 및 사목 지도
자, 교육 활동 주관자, 사업 관리자 등….”(CG25 64)
돈 보스코가 원했던 것처럼 살레시오 공동체에서 원장의 사제적 성
격은 그의 봉사의 우선순위가 성소의 충실성, 형제 생활과 사목적 사
랑의 고무라는 것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원장은 그의 사제 직무의 은
총을 나누고, 수도회에서 너무도 필요한 카리스마적인 고무와 영적
부성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집중한다(CG27 12, 14, 51).
60

7.2 Page 62

▲back to top
Note
4 주: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상임위원회는 2019년 12월 2일 회의에서
‘봉헌 생활’(Vita Consecrata)을 ‘축성 생활’로, ‘봉헌 생활의 날’ 역시
‘축성 생활의 날’로 변경하기로 결정하였다. ‘축성 생활’이라는 용어는
이 삶이 단지 깊은 영적 체험을 갈망하는 신자들이 스스로의 봉헌을
통하여 이러한 생활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이 생활로
불러 주시고, 신앙 공동체를 이루게 하며, 참된 형제 · 자매애를 드러내고,
이러한 친교와 사랑의 바탕 위에 교회와 세상을 위해 봉사할 사명을
부여하셨음을 고백하는 것이기도 하다.
5 CG27 pagg. 127-128; ACG 420 12; ACG 421 13-14.
6 XV Assemblea del sinodo dei vescovi, I giovani, la fede e il
discernimento vocazionale, Instrumentum Laboris, (2018) 34 e
57.
7 CG27 pp. 128-129; ACG 427 “Convocation of the CG28” 24-32.
8 E. Viganò, Discorso di apertura del Rettor Maggiore, 14 gennaio
1984, CG22 20.
9 요한 15,1-11; 제27차 총회가 선택한 이콘 참조.
10 CIVCSVA, 「기뻐하십시오」. 프란치스코 교황의 가르침에 따라
남녀 축성 생활자들에게 보내는 회람 서한(2014); 「관상하십시오」.
아름다움의 발자취에 관한 남녀 축성 생활자들에게 보내는 회람 서한
(2015); 「깨어 살펴보십시오」. 하느님의 표징에 관한 여정에 있는 남녀
축성 생활자들에게 보내는 회람 서한(2014); 「선포하십시오」. 사람들
가운데서 복음을 증거하는 남녀 축성 생활자들에게 보내는 회람 서한
(2016).
11 성직자성, 「사제 성소의 선물-사제 양성의 기본 지침」(2017) 61–73,
제자 과정으로 철학 과정(우리의 수련 직후기)과 동화 과정으로서
신학 과정을 언급하는 명확한 선택이 있다.
12 CG25 70 e CG24 172.
61

7.3 Page 63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13 C arta 22.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가족 신원 헌장」 3장과 4장은 사명
공유의 관점에서 살레시오 가족의 영성과 양성에 대한 기준을 소개한다.
14 C 5; C 45 참조. 총장은 살레시오 가족의 “살아 있는 중심”으로 “돈
보스코와 공동 사명과 같은 정신에 대한 실질적인 기준”(Carta 13)이
된다.
15 어에 관한 주: 우리 회헌은 살레시오 수사라는 용어와 평신도
살레시오 회원이라는 용어를 같은 회헌 조항(C 45)에서 사용한다.
우리는 이 단어들 각각이 다른 무게를 지니고 있고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의미의 어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아직
보편적으로 선호해서 받아들여지는 용어에는 도달하지 않았으므로,
여기서는 회헌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양식을 따르기로 한다.
16 지디오 비가노, 살레시오 공동체의 평신도 요소, ACG 298(1980),
5장. ‘평신도성’laicità의 의미를 구분하고 살레시오 수사가 교회 안에
있는 평신도들과 같은 의미의 ‘평신도’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그의
성소는 ‘평신도성’의 처음 두 차원인 사고와 활동의 실질적인 연결과
명백한 일치를 나타낸다는 것에 주목하는 4장도 참조할 것.
17 CG24 154, e Pascual Chavéz, Il Salesiano Coadiutore, San
Benigno Canavese, 19 marzo 2005 (non pubblicato) http: //
www.Coadiutoresalesiano.net/index.php/2002-14-Chavez
것.
18 CIVCSVA, Identità e missione del fratello religioso nella Chiesa
(2015).
19 축성 생활의 해에 모든 축성 생활자에게 보낸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도적 서한(2014년 11월 21일), 3.
20 A. Bozzolo, Salesiano Prete e Salesiano Coadiutore: Spunti per
un’interpretazione teologica, in Sapientiam dedit illi: Studi su
Don Bosco e sul carisma salesiano, ed. Andrea Bozzolo (LAS,
Roma 2015, 357).
62

7.4 Page 64

▲back to top
Note
21 J. E. Vecchi, Spiritualità Salesiana, temi fondamentali, Elledici,
Torino 2001, 171. 본문은 다음과 같이 이어진다. “본당이나 가족이나
기관에 자신을 맡기지 않고 고정된 수입도 없고 인정받지 못하는
길거리의 청소년을 선택한 것은 새롭고 용기 있는 사목적 선택이었다.
돈 보스코는 실제로 토리노 교회에서 태어난 새로운 사목적 흐름
속으로 들어갔다. 그렇게 그는 제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제가 되기보다
교회 공동체 안에서 사람들과 청소년들을 위한 사제가 되는 것을
선호했다. (교구 사제라는) 고정된 역할에 자신을 가두지 않고 그의
주교와 명백한 일치 안에서 특별한 순간에 오라토리오 사업의 원장
또는 책임자가 되는 것을 계획했다.”(같은 책 172–173)
22 CCC 773항. 요한 바오로 2세의 다음도 참조할 것. Giovanni Paolo
II, Discorso di Giovanni Paolo II ai cardinali e ai prelati della
curia romana ricevuti per la presentazione degli auguri natalizi(22
dicembre 1987), L’Osservatore Romano, 23 dicembre 1987.
23 F. Cereda, Consistenza quantitativa e qualitativa della comunità
salesiana, ACG 422 27-38.
24 VC 43, RC 14 e VFC 50, FT 13 e 20, VN 19-21, 41-54. 「원장
매뉴얼」(1986)에 기원을 준 제21차 총회와 ‘오늘날의 살레시오
공동체’에 관한 제25차 총회의 성찰이 특히 중요하다. 최근 몇 년
동안 살레시오 생활에 관해 성찰하고 몇 가지 도전에 주목하면서 제
27차 총회는 원장 매뉴얼을 수정 · 보완할 필요성을 느꼈다. 다음은
제27차 총회가 지시한 몇 가지 내용이다. “지난 몇 년 동안 원장의
개입 영역이 확대되었다. 회원과 교육 사목 공동체 고무자들의 영적
지도자 역할뿐 아니라 관리 업무에 스며들었다. 따라서 원장은 자기
직분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늘 있지 못하며, 회원들의 적절한
협조를 받지 못할 때가 종종 있고, 관구의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동반에서 제외될 수가 있다.”(CG27 14) “원장은 중심인물이다. 그는
관리자라기보다는 구성원들을 친교와 사도적 봉사로 모으는 아버지다.
우리 사업의 복잡성, 중첩된 책임, 적절치 못한 양성 때문에 원장이
형제적인 삶, 식별, 공동체 계획과 교육 사목 계획에 따르는 공동 책임
등을 보살필 수 있는 조건 속에 항상 있지는 못하다. 어떤 경우에는
회원들로부터 낮은 지지를 받기도 한다.”(CG27 51) CG27 69항에서
63

7.5 Page 65

▲back to top
제1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축성의
정체성
향후 가야 할 길에 관한 지시를 찾아볼 수 있다: 살레시오 생활에서
공동 책임 의식, 개인적이며 사목적인 생활에서 모든 형제 회원에
대한 돌봄, 동반, 원장들의 양성 강화, 원장 매뉴얼 수정 및 보완.
25 느님의 뜻에 대한 종교적 권위의 종속은 CIVCSVA 문헌 「권위의
봉사와 순명」의 첫 줄에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다. 수도 공동체에서
일정 임기 동안 권위의 봉사를 위임받은 사람들은 “일치의 표지와
안내자가 되어 개인과 공동체가 하느님 뜻을 공동으로 추구하고
실행하도록 이끄는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도록 부름받는다. 이것이
권위의 봉사이다.”(FT 1)
26 C G27 14, 51, 69. CG25 64.2: 단계적 척도에 따라 원장의 기능을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일치와 살레시오 정체성에 대한 봉사자, 사목
지도자며 교사, 교육 임무의 지도자, 활동의 최종 책임자.
27 장 매뉴얼 개정을 위해 2017년 5월 26일부터 31일까지 로마에서
개최된 국제 세미나에서 발표된 지구의 자료에서.
28 의 책.
29 계주교대의원회의 제15차 정기 총회 최종문서: 젊은이, 신앙과 성소
식별,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61호.
30 사제 양성의 기본 지침」(2017)이 평생 양성 과정에 있는 사람과 초기
양성 중인 사람 모두를 위해서 영성 지도가 필요하다는 주장(107; 88)
을 볼 것.
31 C IC 596, 608, 617-630. 이 교회법 조항들은 교회 안에서 교역과
연관된 수도 장상의 권위를 구성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32 VFC, FT, VN.
33 E . Viganò, Partecipazione alla vita e al governo della
Congregazione, CG21 213. 비가노 총장의 관심사는 이 문제에서
64

7.6 Page 66

▲back to top
Note
카리스마적 요소를 보호하는 것이었다(CG21 212–239 참조). 총회는
“이 시점에서 모든 차이가 우리의 특별한 권리에서 사라지지 않으면
수도회 안에서 형제적 평등은 충만하게 실현되지 않을 것 같다.”라고
말했지만, 즉시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이것은 유일하게 법적이거나
사회학적인 문제가 아니며 교회 안에서 수도 생활에 일반적으로
속하는 것이 아님이 분명하다. 그것은 특별한 교회적이며 수도자적
현실, 즉 ‘살레시오적’인 것이다. 그것은 구체적인 사명 수행을 위해
성령께서 우리의 창립자이며 아버지에게 맡긴 것으로, 교회 안에서
살고 교회로부터 승인을 받은 돈 보스코가 시작하고 체계를 갖춘
살레시오 공동체 생활의 특정한 방식에 관한 것이다.”(CG21 199)
34 번째 요소는 이미 회헌 4조와 45조에서 나온다. 우리는 성직자와
평신도로 구성된 ‘성직 수도회’이다. 성직자와 평신도는 동일한 성소를
살면서 형제로서 서로를 보완하며, 그 상호보완성은 공동체의 일관성과
사도적 완성을 위해 본질적인 요소를 이룬다. 「봉헌 생활」 61항에 따라
제24차 총회 문헌 192항은 ‘혼합회’로 간주될 수 있는지 보기 위해
수도회의 법적 형태에 관해 연구하도록 요청했다. 이 연구는 분명히
「봉헌 생활」 61항이 수도회성에 위임했던 것과 같은 주제에 대한 연구와
관련이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추가 답변이나 조치 없이 (「봉헌 생활」이
출판된 지 몇 년 지나서) 교황청의 권위에 관한 임시 특별위원회에
전달되었다. 최근 몇몇 수도회가 이 문제를 다시 다루어 적절한 응답을
해 달라고 교황청에 요청했다. 총장들과 여러 총회는 원장의 봉사에
관해 계속 성찰했고, 사제 직무가 고무와 지도의 임무를 수행하는 데
긍정적이고 풍성한 공헌을 한다고 강조했다. E. Viganò, L’animazione
del direttore salesiano, ACG 306 (1982) 3-32; E. Viganò, Come
rileggere oggi il carisma del Fondatore, ACG 352 (1995) 3-33; E.
Viganò, Ci sta a cuore il prete del 2000, ACG 335 (1991) 3-40;
CG25 64; ecc.
65

7.7 Page 67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7.8 Page 68

▲back to top
4. 살레시오 축성 신분의 수호자 및 고무자
제2부: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자네는
미라벨로에서
돈 보스코가
될 거라네
67

7.9 Page 69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밀, 이삭, 밀가루, 빵….
씨앗의 비유에서 최후의 만찬 방에서
쪼개진 빵에 이르기까지 그 안에는
하느님 나라의 모든 신비가 있다.
일치의 선물은 무엇보다도 공동체에 봉사하고
공동체를 성장시키도록 부름받은 사람에게
기대되는 것이다(auctoritas에는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제15
차 정기 총회 최종문서: ‘젊은이, 신앙과 성소 식별’ 71).
“원장의 첫째 임무는 공동체가 회헌에 충실하게 살고
일치 안에 성장하도록 활성화하는 일이다.”
(회헌 55조)
“모든 살레시오 공동체가 매일 행하는 중심행위”
(회헌 88조)인 성체성사는 우리의 삶과 우리가 함께
일하는 데 씨앗이고 열매이다.
68

7.10 Page 70

▲back to top
4. 살레시오 축성 신분의 수호자 및 고무자
살레시오 축성
정체성의 수호자
인 원장
47. 살레시오 원장은 지역 공동체에서 살레시오 축성 정체성의 수호
자이다. 그의 임무는 살레시오 카리스마를 특징으로 하는 고무와 통
치의 봉사이다. 제1부에서 우리는 특히 회헌 55조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원장의 봉사를 어느 정도 자세히 살펴보았다. 제2부에서는 제
27차 총회의 세 가지 주제(신비가, 예언자, 봉사자)를 기본 틀로 사용
하면서, 그 봉사의 실천적인 의미를 탐구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그러
나 항상 염두에 둘 것은 이러한 주제들은 우리의 카리스마적 정체성
을 더욱 깊이 우리의 것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되고, 돈 보스코의 사
도적 계획을 충실하게 실천하라는 우리의 성소를 깨닫게 해 주는 방
법이라는 것이다.35
4.1 성령 안에서의 신비가, 공동체의 영적 인도자
개인과 공동체
동반에서 축성의
근본 가치에 대한
관심
48. 제27차 총회에 의해 채택된 “성령 안에서의 신비가”라는 표현은
총회의 개회 연설에서 언급된 두 번째 주제 영역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축성 생활을 강조하고 있다. “강력한 영성적 체험을 하며 순
명하고 가난하고 정결한 예수의 존재 방식과 행동 방식을 받아들이고
하느님을 찾는 자가 되는 것이다.”(CG27 90)
교회는 권위의 봉사를 맡은 사람의 인도를 받아 축성된 신분을 분
명히 증거하도록 축성된 사람들을 초대한다(RdC 20). 권위의 봉사를
하도록 요청을 받은 사람들에게 교회는 먼저 그들의 ‘영성적 권위’로
부터 시작하여 축성의 핵심 가치를 돌보도록 권유한다. “축성 생활에
있어서 권위란 먼저 영성적 권위이다. … 성령께서 수도회의 은사 계
획안에서 공동체의 모든 회원에게 주신 선물들을 통하여 이루고자 바
라시는 것을 위해 일할 때 권위자들은 ‘영성적’이 된다. 영성 생활을
증진하는 위치에서 권위자들은 날마다 기도 안에서 하느님 말씀과 수
도회 규칙이나 다른 생활 규범들에 더 친숙해짐으로써 다른 이들과 시
69

8 Pages 71-80

▲back to top

8.1 Page 71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대의 징표에 귀 기울이는 개방성을 먼저 길러야 한다.”36
우리의 전통에서 원장은 항상 공동체의 영적 지도자이다. 그의 동
반의 임무는 공동체 차원과 개인적 차원을 모두 가지고 있다(회헌 55
조, 70조). 그는 제27차 총회를 통해 회원 각자가 정해진 영적 지도
자(75.2)를 갖도록 권장하고, 자신의 모범을 통해 인도함으로써 지
도를 받는 지도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원장은 살레시오의 사명을 실
현하기 위해 성령께서 주신 카리스마적 은사를 모든 회원이 식별하
고, 발전시키고, 사용하도록 도와준다(회헌 99조, 1코린 12,7, 1베드
4,10, LG 12).
“돈 보스코의 발자취를 따라 그리스도를 닮으라는”(FSDB 47) 부르
심에 응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여정의 동반
자”가 되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공동체 평의회의 지원을 받으며 원
장이 참을성 있게 살레시오 카리스마(공동체 동반)의 근본 가치를 중
심으로, 상호 신뢰와 아낌없는 헌신의 분위기를 조성할수록, 모든 회
원의 충실성을 따르는 개인적 여정은 그의 자유와 개성을 완전히 존
중하면서 더욱 강화될 것이다. 이 비옥한 배경에 대해, 많은 형식과
획일성이 필요 없이, 다른 형태의 개인적 지지도 적절하게 향상될 것
이다(개인적인 동반). 각 형제의 유익을 위해 진지하게 도움이 되겠다
는 마음과 관심이 있을 때, ‘마음과 마음으로 대화’하며 여정을 함께하
는 가장 좋은 방법이 저절로 열릴 것이다.
4.1.1 복음적 권고에 대한 충실
원장의 고무는
복음적 근본성의
증거자가 되도록
우리를 돕는다
49. 축성된 사람으로서 살레시오 사명에 참여한다는 것은 우리가 순
명하시고 가난하시며 정결하신 예수님을 따르며, 그분의 삶의 방식에
대한 살아 있는 기념비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70

8.2 Page 72

▲back to top
4. 살레시오 축성 신분의 수호자 및 고무자
수도 서원을 통해 우리는 복음적인 권고에 따라 생활하겠다는 공
적인 약속을 한다. 영적 · 형제적 · 사목적인 공동체 분위기와 원장의
고무는 우리를 복음적 근본성의 증거자가 되게 하는 삶의 양식을 매
일 충실히 살도록 도움을 준다.
본성상 지배적인 문화를 거스르는 이러한 삶의 방식은 부르심에 맞
지 않는 개인과 공동체의 선택 사항들을 인식하게 하는 특별하고 지속
적인 식별 노력을 필요로 한다.37 우리의 삶의 방식은 프란치스코 교
황의 말씀대로 “세상을 깨우는” 예언이 되어야 한다.
제25차 총회는 상황에 대한 분석과 구체적인 행동 제안을 통해
‘복음적 증거’에 대한 식별을 제공한다. 제26차 총회는 “Da mihi ani-
mas cetera tolle”라는 제목으로 우리의 카리스마적 정체성을 강화하
고자 하는 욕구를 표현하며, 복음적 청빈에 관한 행동 지침을 제공한
다(CG26 79–97). 제27차 총회는 다시 한번 살레시오 카리스마의 실
천을 강화하도록 우리에게 “복음적 근본성의 증거자”가 되라고 권고
하며, “공동체의 친교와 청소년들을 위한 사명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복음적 권고의 풍부한 결실”과 “복음에서 영감을 받은 문화를 제시하
는 예언적 역할”을 확신하도록 촉구한다(CG27 36, 37).
● 원장은 양성 위원회가 제공한 자료를 사용하여 공동체의 연간계획에 복음
적 권고에 관한 각각의 평가를 작성한다.
● 공동체의 영적 독서, 회의와 평생 양성의 다른 순간을 활용하여 복음적 권
고에 관한 성찰과, 개인적이며 공동체적이고 사목적인 생활에 미치는 영향
에 도움이 되는 이니셔티브를 촉진한다.
● “복음적 증거”에 관한 제25차 총회 문헌 17‚36항, ‘복음적 청빈’에 관한 제
26차 총회 문헌 79‚97항과 제27차 총회의 지침을 공동체가 연구하는
71

8.3 Page 73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획을 세운다.
● 복음적 권고와 관련된 구체적인 임무를 공동체 계획안에 통합시킨다.
기도의 질
돌보는 일
4.1.2 개인 기도와 공동체 기도의 고무
50. 기도는 피조물과 창조주 사이의 대화요, 친교요 사랑이신 하느님
과의 친교로서 주어지는 주님의 선물이다(CCC 2559–2565 참조). 자
신의 삶에 있어서 하느님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수도자는 이 기도의
선물을 특별히 관심 있게 관리한다. 교회는 축성 생활에서 권위자들
에게 “공동체에서 기도를 위한 시간과 기도의 질을 보장”38해야 할 의
무에 대해 상기시켜 준다.
공동체는 성소를 응답해야 할 선물로 간주한다(회헌 85조). 살레시
오 생활은 회헌에 제시된 구체적인 약속에 따라 “우리의 카리스마의
특별한 양식”으로 “주님과의 대화”(회헌 85–95조) 속에서 사는 것이
다. 우리 수도회는 각 살레시오 회원과 공동체를 위한 기도 생활의 중
요성에 대해 여러 차례 언급하였다.39
돈 보스코의 개인적인 모범40과 그가 쓴 전기에서 청소년들의 삶,41
그리고 많은 초창기 살레시오 회원들을 보고 판단하건대,42 장시간의
개인 기도는 살레시오 전통에 어울리지 않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전
통과 일치한다.
원장은 자신의 삶
에서 기도의
선물을 돌보고,
‘삶의 기도’를
살도록 공동체를
고무한다
51. 우리 기도의 질은 우리가 “하느님을 찾는 자”와 “가난한 자들 가운
데서 그분의 사랑의 증인”이라는 표징이 되게 한다. 그것은 공동체를
청소년들과 평신도들을 위한 “기도의 학교”로 만든다(CG25 31). 그것
72

8.4 Page 74

▲back to top
4. 살레시오 축성 신분의 수호자 및 고무자
은 또한 교회가 요청한 친교의 영성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43
하느님의 말씀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개하도록 부르심을 받은 회원
들과 공동체는 매일의 묵상을 소중히 여기며, 정기적으로 고해성사를
거행하며, 매일의 성체성사 거행을 중심으로 삼음으로써, 삶 자체가
“하느님 마음에 드는 거룩한 산 제물”(로마 12,1)이 되며, 하느님의 부
르심에 대한 지속적인 마리아의 ‘예’가 된다.
원장은 자신의 삶에서 이 기도의 선물을 잘 보살핌으로써 회원들과
공동체가 “삶의 기도”44를 살도록 활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다. 그는
항상 유리한 상황만을 접하지는 못할 것이기에(CG27 14, 51), 이러한
기본적인 봉사의 측면에서 특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 형제들은 그들의 개인 생활 계획안에 기도의 차원을 통합한다.
● 공동체 계획은 묵상, 성체성사, 성무일도, 월례 피정, 연피정, 고해성사
행, 렉시오 디비나, 묵주 기도와 다양한 형태의 마리아 기도, 살레시오 축
일 등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주님과 대화하는 공동체”가 되면서 성장하게
하는 특권을 갖게 할 것이다.
기도 생활에 대한 평가는 적절한 방법에 따라 수행할 것이며, 그 주제가 요
구하는 개념을 다루어 평범한 표징을 받아들이고 기도의 질을 향상하기 위
한 구체적인 제안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공동체를 평신도들과 청소년들을 위한 “기도의 학교”로 만들기 위해 창의
력을 발휘할 것이다(CG25 31). 공동체 계획은 사명에 참여하는 청소년들
과 평신도들, 살레시오 가족과 다른 교회 단체와 수도 단체들과 기도 순간
을 포함할 것이다.
● 공동체는 제25차 총회 27항과 총장서한 421호 ‘삶의 기도’가 제공하는 자극
을 반영하여 공동체 기도 주제에 대한 평생 양성의 순간을 확립할 것이다.
73

8.5 Page 75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4.1.3 카리스마적 정체성 돌보기
카리스마적
정체성에 집중
52.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요청한 특별총회 이후, 수도회는 살레시
오 카리스마를 쇄신하는 강도 높은 길을 걸어왔다. 그 후의 총회들은
우리의 카리스마적 정체성을 심화시켜 더 큰 충실성을 고무하고 평범
함을 극복하며 더욱 강하게 만들려고 노력했다. 총장들은 “돈 보스코
에게 온전히 충실하며 우리의 카리스마적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발전
시키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ACG 419 13).
모든 살레시오 회원은 살레시오 카리스마를 돌보고, 자신의 성소
를 충실하게 살고, 형제들도 그렇게 살도록 도와야 할 책임이 있다.
이 일을 위해 성직자든 평신도든 각 사람은 풍요로운 자기 자신의 성
소를 통해 이러한 임무에 기여한다.45
원장과 그의
평의회의 역할
53. 교회는 권위의 봉사를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카리스마를 돌봐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권위자들은 자기 수도 가족의 은사를 생
생히 유지시키도록 부름받았다.”46 이것이 바로 수도회가 살레시오 카
리스마를 이해하고 심화시키기 위해 홍보, 모임, 특정 주제에 관한 강
좌, 행사 등 많은 독창적인 활동을 장려하는 이유이다. 이러한 제안들
이 회원의 개인 생활 계획뿐만 아니라 공동체와 교육 사목 공동체의
계획에 포함되는 것이 중요하다. 원장과 그의 평의회는 적절한 독창
적 활동을 통해 회원들과 평신도들과 청소년들에게 카리스마에 대한
이해와 심화에 활력을 불어넣어 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공동체는 살레시오 카리스마의 두 가지 특별한 요소들을 심화하도
록 돌본다. 살레시오 성소의 두 가지 형태의 상호보완성(사제와 수사,
CG26 74‚78, CG27 69.7, ACG 424: 살레시오 수사에 관한 새로운 관
심)과 돈 보스코의 정신과 사명 안에서 친교와 나눔(살레시오 회원과
74

8.6 Page 76

▲back to top
4. 살레시오 축성 신분의 수호자 및 고무자
평신도, CG24, CG27 71.1‚3).
관구 계획과 지침(결정과 지침을 가진 관구 총회, 유기적인 관구 계획,
관구 양성 계획, 교육 사목 계획…), 총회와 총평의회의 결의 사항을 주
의 깊게 연구하여, 그것을 실천할 최선의 방법을 찾는다. 회원 개인과
공동체를 위해 제안된 것을 독창적으로 구현하면서 제26차 총회 1‚22,
‘돈 보스코로부터 다시 시작하기’에 관해 새롭게 연구한다.
●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디지털 세계가 제공하는 수단을 사용하여 살레
시오회와 살레시오 가족의 삶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 공동체 계획을 수립할 때 살레시오 카리스마(영성, 역사, 사목, 수도회
와 살레시오 가족의 생활…)를 심화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마련한다.
즉 영적 독서, 영성 강좌 및 과정, 모임, 출판, 인터넷을 통한 기여 등.
● 공동체는 지역 차원과 관구와 세계 차원에서 살레시오 카리스마(영
성, 역사, 사목적 임무, 살레시오 가족)에 대해, 살레시오 회원과 평신
도 사이에 이루어지는 창의적인 공동 양성에 형제들이 참여할 수 있
도록 격려한다.
● 원장과 형제들은 살레시오 카리스마에 대한 지식을 심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그들의 개인 생활 계획에 통합한다.
4.2 형제애의 예언자, 친교와 공동 책임의 고무자
친교는 사명이다
54. 공동체 내에서 형제 생활은 수도 생활의 본질적 특성 중 하나이
다. 그것은 삶으로 실천하고 증거하며 강화해야 할 하느님의 선물이
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교회는 축성된 사람들에게 “친교의 전문가”(VC
46)가 되고, 교회와 인류 공동체의 삶의 모델로서 형제애를 증거할 것
을 촉구했다.47
75

8.7 Page 77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공동체에서 권위를 행사하는 사람은 형제애의 선물을 삶으로 실천
할 특별한 책임이 있다. “장상들은 그들에게 맡겨진 이들과 일치하여
하느님의 구원 계획을 성취하고자, 무엇보다도 하느님을 찾고 사랑하
는 형제 공동체를 그리스도 안에 건설하도록 부름받았다.”(FT 17) 형
제 생활은 이미 사명의 일부이다.48
우리 수도회는 이러한 축성 생활의 요소에 진지한 관심을 기울여
왔다. 회헌 본문에 나오는 내용 외에도 제25차 총회는 ‘오늘날의 살레
시오 공동체’에 전념했다. 제27차 총회는 나름대로 ‘형제애의 예언자’
로서의 살레시오 회원에 관하여 식별을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행동
방식을 제안했다. 이것들은 우리의 살레시오 생활에서 끊임없이 대면
해야 할 자료들이다.49
원장의 친교와 공동 책임과 고무 봉사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주요
측면은 다음과 같다.
• 일치 증진
• 형제 관계 및 소통에 있어서 성장
• 개방적이고 환대하는 공동체 건설
4.2.1 일치 증진
원장은 당신 제자
들을 일치시키시
는 그리스도를 대
리한다
55. 일치하도록 마음을 움직이시고 “한마음 한뜻을 이루어 하느님을
사랑하고 섬기며 서로 돕도록”(회헌 50조) 도와주시는 분은 성령이시
다. 성령 덕분에 수도 공동체는 일치와 ‘친교의 전문가’의 훌륭한 증
인이 될 수 있다.
공동체를 지도하는 사람에게는 또한 일치를 감독하고 “일치에 도
76

8.8 Page 78

▲back to top
4. 살레시오 축성 신분의 수호자 및 고무자
움이 되는 권위”50로서 일치를 장려해야 할 책임이 있다. 바로 돈 보
스코 시대부터 본 수도회는 항상 이렇게 원장을 생각해 왔으며, “살
레시오 정체성의 수호자며 일치의 종”(CG21 52)이 되는 것을 원장의
첫 번째 임무로 간주하였다. 그러므로 “원장은 성부를 섬기도록 당신
의 제자들을 한데 일치시키는 그리스도를 대리한다. … 원장의 첫째
임무는 공동체가 회헌에 충실하게 살고 일치 안에 성장하도록 활성화
하는 일이다.”(회헌 55조)
“하느님은 우리에게 사랑해야 할 형제들을 맡겨 주시며 공동체에
서 살도록 우리를 부르신다. 형제적 사랑, 사도적 사명 그리고 복음적
권고의 실천은 우리의 일치를 이루어 주며, 우리의 친교를 계속 견고
케 하여 주는 끈이다.”(회헌 50조)라는 의식이 각 살레시오 회원 안에
서 되살아나게 해야 한다.
● 원장과 그의 평의회는 공동체 계획의 작성, 실현과 평가에 동기를 부여하
고 따른다.
● 그들은 공동체 생활에 대한 평가를 공동체와 함께 준비하고 수행하며 ‘친교
의 영성’(CG27 45)을 사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함께 탐구한다.
● 형제적 관계를 증진하고 형제들 간 생활과 성소 체험 나눔을 촉진하면서
매주 공동체의 날을 고무한다(오락, 양성, 기도, 소통, 형제적 나눔의 순간
을 계획한다).
● 형제들은 공동체 생활과 사명에 관해 이야기하기 위해 원장과의 대화
활용한다. 분명하게 하거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 기회를 이용한다.
77

8.9 Page 79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4.2.2 형제 관계와 소통
살레시오 방식의
관계와 소통
56. 형제적 친교는 개인적인 관계를 보살필 것을 요구하며, 필요할 때
인문 과학에서 얻게 되는 도움을 소중히 여긴다. 공동체는 개인뿐만
아니라 공동선을 존중하기 위해 ‘나’를 ‘우리’와 조화시키는 법을 배우
는 곳이다. “이렇게 하여, 수도 공동체는 날마다 우리가 풍요롭고 다
양한 은사들을 통하여 형제적 친교를 이루며 살아갈 수 있게 하고, 동
시에 형제애를 향하여 또 사도직 계획의 공동 책임을 향하여 이 은사
들의 수렴을 강화시켜 주는 새로운 마음을 지니도록 배우는 자리이
다.”(VFC 39)
한편 살레시오 방식의 인간관계는 고유한 특징이 있다. 즉 ‘살레시
오 회원의 친절한 사랑’(회헌 15조)과 ‘가족정신’(회헌 16조), 그리고
공동체 안에서의 ‘형제적 우애’(회헌 51조) 등이 있다. 이것들은 우리
가 지향하고 개인 및 공동체 생활 스타일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작용하는 이상이다. 공동체 내에서 형제 관계의 질은 생활의 친교와
재산 공유에 기여한다. 이것은 교회 안에서 바라고 촉구하는 것이며
(VFC 29-34), 살레시오 형제 관계의 특징이다. “우리는 형제적 우애
의 분위기 안에서 기쁨과 슬픔을 서로 전하며 연대 책임감으로 사도
적 경험과 계획을 함께 나눈다.”(회헌 51조)51
형제 생활에서 이 요소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원장과 지역 공동체
평의회는 이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52 각 공동체의 구체적인 상
황에도 주의를 기울인다. 각 공동체의 관계 현실을 분석하면 빛과 그
림자가 드러날 것이므로, 사실성과 신뢰를 가지고 개입해야 한다. 완
벽한 공동체란 결코 있을 수 없으며, 항상 여정 중에 있다는 사실을
알기에, 우리는 하느님의 은총에 대한 믿음과 인내심, 강한 힘, 희망
78

8.10 Page 80

▲back to top
4. 살레시오 축성 신분의 수호자 및 고무자
을 품어야 하며,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을 다해 노력해야 한다.
원장과 그의 평의회는 또한 공동체 건설을 위해서 적절한 의사소통
이 필수적임을 기억해야 한다. 이를 위해 그들은 ‘저녁말씀’ 및 공동체
모임과 같은 수도 공동체 내의 모든 전통적인 의사소통 수단뿐만 아
니라, 디지털 세계가 제공하는 새로운 수단을 잘 활용한다. 그들은 교
육 사목 공동체 내에서 그리고 관구와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매끄러운
흐름이 필요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CG24 128-137).
● 원장은 형제들의 참여와 관심을 촉진하기 위해 공동체 만남을 잘 준비한다.
의회에서 공동체에서 이뤄지는 관계의 질을 평가하고, 청소년들과 평
신도들이 인식하는 형제애의 증거에 주의를 기울이고 개선할 구체적인
방법을 찾는다.
● 형제들의 가족과 모든 형제에게 관심을 기울인다(R 46).
제들이 그들의 관심사, 염려, 계획, 성소적 경험, 불안과 기쁨을 나눌
수 있는 만남과 기도의 순간을 고무한다.
● 공 동체 내에서 상황을 잘 알고, 개입이 가능한지 신중히 생각하고, 가장
적절한 중재를 찾기 위해 관계로 인한 특별한 어려움에 민감할 것이다.
● 모 든 형제는 형제 생활에서 상호 관계를 촉진하는 모든 것에 관심을 기
울일 것이다. 즉, 원장과의 대화, 모든 형제의 상황에 대한 관심, 존중과
상호 지원, 형제 관계를 약화시킬 수 있는 행동(비건설적인 비판, 불평,
무관심, 질투…)에 대한 평가, 먼저 용서를 청하고 용서하기, 인내, 형제
적 충고, 견해 차이가 있는 것을 분명히 하거나 상황에 빛을 비추기 위한
대화, 형제들을 위한 기도, 식별의 분위기….
● 공 동체는 필요할 때 관계와 소통 분야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형제 관
계 및 소통에 대한 주제를 평생 양성을 위해 조직한다.
79

9 Pages 81-90

▲back to top

9.1 Page 81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 공동체와 교육 사목 공동체는 갈등 해결 분야에서 스스로 양성하는 방
법을 모색한다. 제27차 총회는 갈등 상황은 “부정적으로만 볼 것이 아니
라 성숙의 기회로 봐야 한다. 복음으로 조명해야 하고, 큰 용기와 인간
적 능력 그리고 자비심으로 맞서고 해결해야 한다.” 친교의 정신에서 어
려움을 다루는 지침들은 「권위의 봉사와 순명」 25b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원장은 형제들과 공동체와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
해 자신의 개입에 대해 성찰한다. 또한, 관구장과의 대화를 지속하고 영
적 동반에 의지한다.
4.2.3 개방적이고 환대하는 공동체
생명을 줌으로써
생명을 찾고,
희망을 줌으로써
희망을 찾고
사랑을 줌으로써
사랑을 찾는다
57. 프란치스코 교황은 밖으로 나가는 교회에 대한 요구와 관련하여
수도자들에게 “자기 자신에게서 벗어나 삶의 변두리로 가라는 것입니
다. … 여러분 안에 틀어박혀 있지 말고, 수도회 가족의 사소한 말다
툼으로 질식하지도 마십시오. 여러분 자신의 문제에 갇힌 포로가 되
지 마십시오. 여러분이 밖으로 나아가 다른 이들의 문제 해결에 도움
을 주고 기쁜 소식을 선포한다면 그러한 문제들은 자연히 해결될 것
입니다. 여러분은 생명을 주면서 생명을 찾고, 희망을 주면서 희망을
찾으며, 사랑을 하면서 사랑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53
살레시오 정신은 공동체가 “모든 이들을 살레시오 가족정신에 참
여시키고”(회헌 56조), 지역 교회와 연대하며 살레시오회가 위치하고
있는 환경에서 사회와 연대를 이루고(회헌 57조), 사명에 다른 사람
들을 참여시키도록 격려하며(회헌 47조), 특히 청소년들에게 관심이
있는 사람들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도록 요구한다. 그러한 개방성과
환대의 표징은 교육 사목 활동에 회원이 참여하며 교육 사목 공동체
의 핵심 고무자로서 회원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총회들은 사목 계
80

9.2 Page 82

▲back to top
4. 살레시오 축성 신분의 수호자 및 고무자
획에 청소년들과 그들의 가정을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과 마
찬가지로, 카리스마와 사명을 평신도와 살레시오 가족 안에서 공유하
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제27차 총회와 제28차 총회의
소집 서한은 우리가 형제애의 예언을 실천하기 위해 이 차원에 관심
을 두도록 촉구한다.54
● 지역 평의회와 공동체에서 원장은 더 깊은 친교를 이루기 위해 특별한 이
니셔티브를 제안하면서 살레시오 가족과 공동체의 관계를 평가해야 한다.
총장의 생활지표와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가족 신원 헌장」(2012) 연구, 창
의적인 사목에서의 협력, 가능한 협력을 촉진하면서 다양한 살레시오 가족
단체들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 그는 살레시오 회원들과 살레시안들의 현존 속에서 일하는 평신도들의
속감과 공동 책임 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공동 양성, 계획 수
립과 계획 평가, 나눔의 순간, 기도 만남, 정보 공유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 그는 같은 사명을 공유하는 평신도들과의 관계는 물론 살레시오 활동의
고무와 통치에서 다양한 역할과 임무를 존중하고 가족정신을 증진한다.
● 그는 살레시오 공동체에서 청소년들의 현존을 고무하기 위해 구체적인 방
법을 찾는다(기도, 만남, 평생 양성, 친밀한 관계…).
● 그는 살레시오 현존이 살레시오 회원들과 평신도들과 청소년들 사이에 책
임이 공유되는 “실존적 변두리에 도달하는” 이니셔티브를 격려한다.
● 그는 지역에 현존하는 봉헌 생활 활동과 교구와 지역 교회의 사목 계획
에 참여한다.
● 그는 어떻게 제25차 총회 문헌 46항(환대하는 공동체)과 제27차 총회 문
헌 13‚17, 39‚51, 70‚71항(계획과 나눔에 협조)의 활동 노선을 실현할지
공동체와 성찰한다.
● 그는 환영하고 환대하는 공동체를 인도한다(C 56, R 45).
81

9.3 Page 83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4.3 청소년의 봉사자들: 사도적 사명의 첫 번째 책임자
원장은 사명에
대한 특별한
책임이 있다
58. 형제애의 예언에 따라 공동체는 공동 사명을 받아들이고 다른 사
람들과 단체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열정을 가지고 헌신한다. 축성 생
활에는 공동체와 사명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축
성된 사람들은 항상 사도일 뿐만 아니라 제자여야 한다.
공동체와 교육 사목 공동체가 사목적 사랑 안에서 성장할 수 있도
록 교회는 권위의 봉사를 수행하도록 요청받은 사람에게 사명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한다.55
살레시오 생활에서 사도적 차원은 아주 분명하며, “사명은 우리의
삶 전체를 특징짓는다.”(회헌 3조)는 것을 확신한다. 우리는 또한 “교
회가 우리에게 맡겨 준 사도적 사명은 우선적으로 관구와 지역 공동
체에 위임되며, 거기서 회원들은 각자 중요한 임무를 맡아 상호 보완
적 기능을 행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즉, 단결과 형제적 연대 책
임감이 사목적 목표를 달성케 한다. 관구장과 원장은 대화와 참여의
고무자로서, 공동체가 사목적 계획을 수행하는 데 있어 일치와 충실
을 이룰 수 있도록 공동체의 사목적 식별을 지도한다. 우리 각자는 공
동 사명에 책임을 진다. 회원은 유일한 살레시오 성소를 공유하는 평
신도와 사제로서 각자의 고유한 특징과 풍부한 은사를 가지고 이 사
명에 참여한다.”(회헌 44–45조)
살레시오 공동체의 59. 여러 가지 방식으로 공동체는 살레시오 사업과 관련을 맺고 있다
사목 고무
(아래 3부, 7.2.2 참조). 살레시오 사업은 관구와 함께 조직, 고무와
관리에 대한 성찰을 요구한다. 이 성찰의 결실은 지도 방식과, 공동체
의 참여 및 교육 사목 공동체의 정체성을 특징지을 것이다(CG24 169,
82

9.4 Page 84

▲back to top
4. 살레시오 축성 신분의 수호자 및 고무자
171; CG25 80–81; CG26 81, 112, 120).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의 8장에서는 살레시오 사명을 수행하
는 데 있어, 관련된 다른 모든 사항과 더불어, 살레시오 공동체와 특
히 원장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이것이
본 매뉴얼 제3부의 초점이 될 것이다.
원장은 다음과 같은 요소를 관리한다:
1. 회원의 사목적 사랑을 고무
2. 공동 사명을 위해 공유하는 공동 책임을 조정
3. 사목 식별을 통해 공동체 지도
4. 성소를 고무하고 장려함
4.3.1 회원의 사목적 사랑을 고무함
친교와 사도적 60. 친교와 사도적 봉사에 있어서 회원들을 일치시키는 아버지로서
봉사에 있어서
회원들을 일치시키 원장은 각자 자신의 가능성에 따른 공통적인 사명에 대한 헌신과 회
는 아버지
원들의 사목적 사랑을 격려한다. 그의 공동체는 선교하는 제자들의
공동체이며, 잃어버린 사람들을 찾고 버림받은 자들을 환영하기 위해
나서는 교회에 속하는 공동체이다(EG 24).
원장은 각 회원의 상황과 그의 성공과 어려움, 그의 사목적 능력을
성장시킬 수 있는 양성 요소, 회원이 인식할 수 없는 선택 결과 등에
주의를 기울인다. 원장은 공동 계획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과 줄어드
는 열정, 축성 생활에 잘 들어맞는 사목 활동, 회원이 공동체의 사명
을 공유하는 방식 등에 주목한다. 이 모든 것이 친근한 대화와 공동체
식별의 대상이 될 수 있다.
83

9.5 Page 85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 원장은 모든 회원이 따라야 할 살레시오 현존 모델에 관한 성찰에 참여하
도록 격려한다.
● 그 는 “사명이 하느님께로부터 우리에게 온다는 것을 받아들일 때, 그리고
우리가 봉사를 위한 힘을 하느님께로부터 받을 때, 사명은 진정으로 발전
된다.”(CG27 53)는 것을 알며, 기도와 사목적 헌신의 공동체 분위기를 조
성한다.
● 그 는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의 기준과 각 상황에서 예방교육이 제시
하는 요구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교육 사목 공동체와 함께 공동체를 위한
양성의 순간을 조직한다.
4.3.2 공동 사명에 대한 공동 책임 조정
각 회원의 사목 61. 관구 공동체는 사명의 일부를 지역 공동체에 할당하고 적절한 기
참여와 모든 사람
의 공동 책임
준과 방법을 결정한다. 각 지역 공동체는 제26차 총회 문헌 120항과
제25차 총회 문헌 78–81항에 언급된 바와 같이 공동체와 활동 유형
간의 관계를 특징짓는 특정 상황에 주의를 기울이며, 모든 에너지를
사명을 수행하는 데 쏟는다.
지역 공동체 평의회의 도움을 받아 관구에서 채택한 고무와 통치의
모델에 비추어, 특정 살레시오 사업의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각 회
원의 사목적 참여를 조정하고 모든 사람의 공동 책임을 독려하는 것
은 원장이 할 일이다.
● 공동체는 살레시오 사업의 교육 사목 공동체에서 공동체 역할을 정의하는
공동체 계획을 작성한다.
● 공동체는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PEPS)의 작성과 평가에 참여하며, 이는
우리의 사명을 공유하는 형제들과 평신도들의 책임을 정의한다. 원장과 지역
84

9.6 Page 86

▲back to top
4. 살레시오 축성 신분의 수호자 및 고무자
공동체 평의회는 지역 PEPS 작성에서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를 동반한다.
● 원장은 살레시오 사업의 다양한 분야의 책임자들과 평신도들의 개인적이
고 성소적인 동반을 보장한다.
● 원장은 일치와 단결을 보장하면서 살레시오 사업의 다양한 분야를 조정한다.
4.3.3 사목적 식별 지도
제자의 눈으로
삶과 세상을
바라보다
62. 돈 보스코는 자신의 사업을 하면서 끊임없이 하느님의 영감에 열
려 있는 사람이었다. 돈 보스코로부터 우리는 항상 사목 활동 중 우선
순위 분야와 각각의 구체적인 상황에서 그러한 활동을 위한 최상의 기
준을 식별하는 법을 배운다. 사목적 식별에 대한 이러한 성향은 교회가
모든 살레시오 회원에게 요구하는 ‘사목적 회심’의 표현이다. 그것은
살레시오 공동체의 “순명을 통한 공동 책임”의 일부이다(회헌 66조).
식별은 세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방식이며, 기본적인 태도이고, 동
시에 우리가 몸담고 있는 삶과 세상을 제자의 눈으로 바라보면서 하는
일의 방식이다. 식별에 의해서 우리는 진정으로 순명하며 성령의 활
동을 인식하고 그 활동에 적응한다. 이런 식으로 식별력은 새로운 것
에 대한 열린 마음이고, 자신에서 벗어나려는 용기이며, 새로운 것을
이미 알고 있는 것으로 환원시키려는 유혹에 빠지지 않는 힘이다.56
「복음의 기쁨」 51항은 식별 과정이 인식, 해석 선택으로 이루어진
다고 묘사한다.
가장 가난한
청소년들과 그들
가정을 위한 임무
쇄신
63. 제26차 총회는 가난한 청소년들과 그들의 가족이라는 ‘새로운 영
역’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청소년들을 교육하고 복음을 전하기 위해
헌신하는 각 살레시오 회원과 공동체의 행동 지침을 말하고 있다.57
85

9.7 Page 87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이것들은 공동체 교육 사목 활동의 의미에 대한 식별의 열쇠로 간주
되어야 한다.
또한, 제27차 총회 문헌 73항 1은 모든 관구에 이렇게 요청하고 있
다. “‘구조적 사목적 개혁’과 새로운 형태의 가난으로 방향 전환에 관
련된 총회들과 총장들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관구 안에서 가장 가난
한 청소년을 위한 우리의 사업이 지닌 의의와 현존에 관해 철저히 평
가를 진행한다.”(회칙 1조 참조)
원장은 지역 공동체 평의회의 도움을 받고 관구와 조화를 이루며,
사목적 결정이 살레시오 카리스마에 더 잘 부합하도록, 이런 식별의
정신을 증진시킬 책임이 있다(회헌 44조).
● 지역 공동체 평의회와 공동체는 살레시오 현존의 의의(CG27 73,1)에 대한
평가와 식별에서 적절한 기여를 제공한다.
● 공 동체는 제26차 총회 문헌 34, 38, 43, 48, 106, 109항의 지침에 따라
목적 차원을 평가한다.
● 살레시오 사명과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과 관련하여 살레시오 회원
들과 평신도들을 양성하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촉진한다.
● 살 레시오 현존에서 지역 공동체 계획과 조화를 이루며 지역의 사회 개발을
위해 일하는 기관들 또는 단체들과 협력하여 가난한 청소년들에게 독창적
인 방식으로 주의를 기울인다.
● 제27차 총회 문헌 72‚73항의 요구에 따라 “변두리로 나아감”을 실현하기 위해
모든 살레시오 집에서 특별한 계획을 세워, 가난한 청소년들과 그들의 가정을
돕기 위해 살레시오 회원들과 평신도들의 자격을 갖출 수 있도록 보장한다.
86

9.8 Page 88

▲back to top
4. 살레시오 축성 신분의 수호자 및 고무자
4.3.4 성소 고무를 장려하다
첫 번째 성소 제안 64. 청소년들이 주님께서 그들에게 기대하시는 것을 발견하도록 돕
은 형제적 공동체
의 증거이다
기 위한 성소 고무는 살레시오 사목 활동에서 결정적인 요소이다. 더
욱이 우리 수도회가 시작한 이후로 첫 번째 성소 제안은 주님과 그분
이 주신 사명에 대해 열성적으로 헌신하는 형제 공동체의 증거라는
것이 분명했다.
그러므로 성소 문화의 창출은 각 살레시오 회원과 살레시오 공동
체의 증거로 시작된다(CG26 52b). ‘청소년과 신앙, 성소 식별’에 관한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의안집에 따르면, “공동체 생활의 영적 수준은
청소년들이 신앙과 교회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하고 그들의 성
소 식별에서 그들을 동반할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184; CV 202,
216–217, 242–243에서 다룬 주제)
성소 고무,
우리 사목과
사업의 궁극적인
지평
65.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은 성소 고무를 “우리 사목의 궁극적
인 지평”을 특징짓는 차원으로 그리고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의 핵
심”으로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청소년들이 복음의 가치와 조
화를 이루며, 주님께서 기대하시는 것에 응답하여 삶의 선택을 지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들이 개인 생활 계획을 작성하고 성소 식별을 하
도록 도움을 주는 신앙 교육과 개인적인 동반에 대한 여정을 돌본다.58
교회는 세계주교대의원회의 후속 교황 권고 「그리스도는 살아 계
십니다」에서 성소 고무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CV 8장 및 9장
참조).
돈 보스코 시대 이래로 원장은 성소 고무와 청소년들의 동반, 특히
87

9.9 Page 89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사도적 성소의 기미를 보이는 청소년들의 동반에 특별한 역할을 해 왔
다. 오늘날 이 성소 고무의 살레시오 봉사(회헌 28, 37조)는 관구 및
지역 공동체의 성소 고무 계획에 따라 수행된다. 원장은 살레시오 회
원과 청소년들, 살레시오 교육자들이 자신의 성소적 응답에서 성장하
고(회헌 55조) 성소 고무가 지역 공동체의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
의 일부임을 보장한다.
● 공동체는 살레시오 회원 각자(CG26 62, 66, 70)와 공동체(CG26 63, 67, 71)
를 위한 활동 노선에 시선을 고정시키면서, ‘성소 사목의 필요성’에 관한 주
제를 평생 양성의 순간들에 계획한다.
● 관 구 계획에 따라 성소 고무에 관한 지역 공동체 계획을 작성하고 따른다.
● 공동체 기도 생활 중에 정기적으로 성소를 위한 기도를 포함한다.
● 청소년들, 평신도들, 살레시오 가족과 지역 사회의 사람들과 함께, 또 그들
을 위해서 사명에 최선을 다하면서 일치를 이루고 헌신하는 공동체의 증거
를 보여 준다. 공동체 생활의 특별한 순간(기도, 나눔, 성사 거행, 양성 등)
에 참여하도록 사명을 나누는 청소년들과 평신도들을 초대한다.
성소를 식별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환대하고 자신의 삶에 그들을 위한 공
간을 마련한다.
개인 동반과 성소 동반을 위한 양성 과정과 계획에 참여한다.
● 성소 식별 과정을 동반하면서 특별한 축성 생활에 부르심을 느끼는 청소년
들의 가정에 가까이 다가간다.
살레시오 가족 단체들과 성소 고무에 대한 그들의 제안에 주의를 기울이며,
청소년을 위한 살레시오 사명을 공유하는 평신도들과 성소 성장 여정에서,
살레시오 가족 구성원들을 동반하도록 형제들을 격려한다.
88

9.10 Page 90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살레시오
카리스마와
권위의 봉사
66. 우리는 살레시오 카리스마가 회헌에 규정된 축성 생활의 요소들
을 특정한 방식으로 살게 하는 교회에 주신 하느님의 선물이라는 것
을 알고 있다. 이 카리스마는 또한 권위의 봉사(고무와 통치)의 실행
과 회원과 공동체가 살레시오 성소에 충실하며 성장하도록 격려하기
위해 채택된 수단에 영향을 미친다. 여기에서는 성향과 태도뿐만 아
니라 고무의 수단과 구조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5.1 마음의 준비 상태 및 태도
5.1.1 경청과 대화
원장은 대화를
촉진한다
67. 대화는 인간관계를 촉진하고 공동체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
는 능력이며, 다른 사람을 만나고 공동선을 추구하려는 열망을 전제
로 한다. 대화에는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인정하며, 공동선을 찾
고, 자신의 부를 공유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축성 생활에서, 대화는 형제애의 생활을 구축하고 식별과 공동 책
임을 촉진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조건으로 제안된다. 공동체 생활을
고무하는 사람은 대화를 촉진할 특별한 책임이 있다.59
살레시오 분위기 안에서 개인적이며 사목적으로 관계 맺는 방식
은 대화를 현대의 문화적 가치와 청소년 교육의 목표로 보는 것 외에
도, 그러한 살레시오 방식의 개인적 사목적 관계에 특유하고 적절한
것으로 간주한다(회헌 38, 44, 66, 70조). 대화는 참여와 책임 공유
를 촉진하기 위한 우리의 고무와 통치 스타일의 일부이기도 하다. 제
27차 총회는 그것을 형제애의 예언을 실천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안
한다(CG27 69.1–3).
89

10 Pages 91-100

▲back to top

10.1 Page 91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원장은 개인적으로나 지도자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대화 능력을 점검한다.
형제들과 공동의 관심사를 경청하고 돌보는 능력, 공동 책임 의식이 부족
한 순간에 취하는 인내, 유익한 정보를 촉진하려는 욕구, 자신과 다른 사람
들과 다른 견해에 대한 수용, 대화를 막지 않도록 자신의 성격에 대해 알고
통제함, 원칙과 기준을 제시할 때 애덕과 결합한 명확성 등.
● 공 동체 평의회는 대화 방식과 공동체의 참여 방식에 주의를 기울이며 그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 공동체는 대화(모임, 전체 회원 모임 중에 하는 식별의 순간, 양성 모임…)
가 진행되는 순간들을 잘 돌본다. 알림,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자료 준비,
참가자들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관심, 영적 동기….
● 형제들이 회헌 66조와 제27차 총회 문헌 69항 1‚3의 지침을 공동체에서
실천하는 방식에 대해 성찰한다.
5.1.2 개인의 자유와 공동 책임
개인의 존엄성과
그들의 자유에
대한 존중
68. 축성 생활은 책임 있는 자유 속에 생활하는 성숙한 사람들을 양
성하는 데 이바지한다. 다음은 모든 살레시오 회원이 서원하는 내용
이다. “저는, 저의 모든 힘을 다하여 온전한 자유로 당신께 저를 바치
나이다….”(회헌 24조)
축성 생활에 있어서 권위는 개인의 존엄성과 그들의 자유를 존중
하여 행사된다. 권위의 봉사를 맡은 사람은 참여와 공동 책임의 분위
기를 조성하고, 모든 사람이 공동 계획과 각 사람과 공동체 전체의 요
구에 봉사하는 데 헌신하도록 고무한다.60 마찬가지로, 공동의 사명
과 관련하여, 권위는 자신이 책임을 맡는 법과 공동 책임을 격려하는
법을 알고 있다.61
90

10.2 Page 92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권위자는 권위를 행사하는 데 부적절한 다음과 같은 태도를 극복
한다: 경청을 못함, 권위주의, 성직주의, 개인과 팀에 대한 배려심 부
족, 개인과 그룹에 대한 감수성 부족, 고무와 통치의 유기적 조직체
의 부적절한 기능….
참여와 공동 책임 69. 살레시오회가 장려하는 고무와 통치의 스타일은 참여, 공동 책
임, 보조성, 권한 분산(회헌 123–124조), 자유롭고 책임감 있는 사람
들의 순명(회헌 66–67조)과 같은 특정 근본 원칙을 특징으로 지니고
있다. 이것들은 수도회가 형제적 삶과 교육 사목 공동체에서 공유하
는 사명(CG27 69.3, 71.1)을 위해 총회를 통해 제안해 왔으며, 이러
한 공동 책임을 평신도, 살레시오 가족과 청소년들에게까지 확대했다
(CG27 15, 19, 70.2).62
자유는 오늘날 우리가 파견된 청소년들뿐만 아니라 초기 양성 단
계에 있는 많은 젊은 살레시오 회원들을 위해서도 중대한 가치 중 하
나이다. 그들이 모두 디지털 세대라는 사실은 선택의 자유에 대한 현
대의 문화적 성향을 강조한다. 프란치스코 교황과 함께 우리는 이것
을 “인간적인 나약함을 인정하면서도, 그의 자연적, 초자연적 능력”
(회헌 17조)에 개방된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로부터 물려받은 인본
주의의 정신으로, 교육자를 위한 선물과 기회로 인식하도록 초대받는
다.63 청소년과 신앙, 성소 식별에 관한 시노드와 더불어 우리는 자유가
‘응답’이며(사랑의 행위가 앞서고 사랑의 행위에서 나온다. 그러기에
사랑스러운 대답이라고 한다.) 동시에 ‘책임’이라는 것을 인정한다.64
관구는 지역 살레시오 현존의 고무와 통치의 좋은 모델을 만들어, 모든 사
업이 다양한 사람들과 관련 기관들의 책임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원장이
나 특별한 직책을 맡은 사람들의 관리에만 맡겨선 안 된다. 공동체는 모든
집을 위해 관구가 제안한 고무와 통치 모델을 적용한다.
91

10.3 Page 93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 지역 공동체 평의회와 공동체 전체 회원 모임은 공동 책임, 참여와 소속감
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공동 책임이 약할 때 사람들의 참여
수준을 평가하고 형제적 교정을 위한 적절한 방법을 찾는다.
● 원장은 계획과 활동에 관한 적절한 정보와 소통을 보장한다.
● 공 동체는 팀워크와 살레시오 방식의 공동 책임으로 개인(살레시오 회원과
평신도)을 양성하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촉진한다.
5.1.3 개인 식별과 공동체 식별
식별, 평생 양성의 70. 위에서 말했듯이 식별은 제자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이
근본적인 태도
다. 이것은 교회가 특히 수도자에게 요구하는 것으로 그들은 “하느님
의 뜻을 추구하고 실현하겠다고 고백한 축성된 이들의 공동체”(FT 1)
이기 때문이다.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말씀하셨듯이, “선한 영과 악한
영의 움직임을 알아보고 식별하는 것만이 아니라, 선한 영의 움직임
을 선택하고 악한 영의 움직임을 거부하는 것도 결정적으로 포함됩니
다.”(EG 51; GE 167–175; CV 9장 참조)
식별은 특정한 기본 성향을 요구한다. 모든 사건과 상황에 대한 신
앙의 시선, 영성 생활의 질, 경청하고 대화하는 능력, 식별에 필요한
회개에 대한 열린 마음, 개인적 및 영적 소통 능력.65 “진리를 향한 모
든 이의 여정에서 각자 맡은 책임과 기여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추
구하는 궁극 목적인 하느님 중심성이 특히 분명하게 드러나는 축성
생활 공동체에서, 어떤 경우든 식별은 가장 중요한 일 가운데 하나이
다.”(FT 20c)
살레시오 카리스마에서 식별은 또한 개인의 근본적인 태도이다.
92

10.4 Page 94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즉 개인적이며 동시에 공동체적인 일상생활과 사목적 선택을 결정할
때, 방향을 제시하는 평생 양성의 기본 태도이다(회헌 119조 및 ACG
425 25–37). 식별은 믿음과 우리의 카리스마에 비추어 인생의 경험에
서 배울 수 있는 능력이다(회헌 98조). 모든 회원과 공동체는 이 식별
력에 대해 언제나 열린 마음을 지닐 책임이 있다.
제25차 총회는 공동체가 “공동체 대화와 일관된 의사 결정 및 집
행 과정을 통해 하느님의 뜻을 찾는 태도로서 복음적 식별을 실천함
으로써”(CG25 32) 각 회원이 자신의 삶에 통일성을 제공하도록 도와
줄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하느님의 말씀을 경청하고 성체성사를 거
행하는 가운데 우리는 신적 원의에 대한 우리의 공통된 헌신을 표명
하고 새롭게 한다. 우리는 중대한 일에 있어서 공동 책임을 깊이 느
껴 형제적이며 인내로운 대화를 통하여 주님의 뜻을 함께 찾는다.”
(회헌 66조)는 것을 안다.
원장은 식별을 71. 원장은 “공동체의 도움을 얻어” 각 회원이 받은 선물과 사목적 선
고무하고 장려한다
택(회헌 44조)을 “식별을 하는 데 특별한 책임을 진다.”(회헌 69조) 고
무와 식별은 그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특별한 방법이라기보다는,
형제들과 함께 매일 성장 안에서 항구히 배양해야 할 태도로서 원장
에게 위임된 것이다(CG27 51). 이것은 원장의 사제 직무의 세 가지
측면, 즉 말씀의 봉사, 성화의 봉사, 지도의 봉사를 수행하는 방법이
다(ACG 306 14). 그러나 모든 회원은 원장이 고무할 뿐만 아니라 통
치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그는 “적절한 결정으로”(회헌 66
조) 식별의 순간을 마무리하도록 부름받았다.
● 공동체는 식별을 도와주는 살레시오 생활의 요소들을 배양한다. 기도 생
활의 질, 영성 생활과 사목적 사랑에 대한 배려, 경청과 대화의 의지, 소통
능력, 공동 책임에 대한 나눔, 대화, 공동체 모임에 참석, 렉시오 디비나….
93

10.5 Page 95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 원장은 말씀과 회헌의 빛으로 공동체 식별 수행을 촉진하며(CG25 15, FT
20 ‘e’와 ‘f’ 참조) 공동 기도, 회합, 피정, 생활 반성, 평의회 모임, 오락 시간,
공동체의 날(CG25 15)과 같은 공동생활을 강화하는 순간들을 격려한다.
● 원장은 형제들의 상황을 고려하고 개인 양성과 소통과 친교의 측면들과 살
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CG25 15)에서 나온 임무들의 중요성을 고려하면서
살레시오 공동체 생활 계획을 작성한다.
계획 작성과 평가(공동체 계획, 교육 사목 계획)의 순간에 가족정신으로 모
든 형제가 참여한다. 형제들은 원장과의 개인 면담과 공식 방문 기간에 관
구장과의 개인 면담에 충실히 임한다.
● 원장과 공동체는 월례 피정과 분기 피정 그리고 연피정의 질을 관리한다.
5.2 고무의 도구
5.2.1 원장과의 면담
가족정신을
72. 원장과의 면담은 가족정신을 생성하고 회원이 자기 성소에 대한
생성하고 회원의
충실성이 성장하도 충실에 있어서 성장하도록 돕는 단순한 수단이다. 돈 보스코 시대 이
록 도와주는
단순한 수단
후로, 그것은 공동체 생활의 고무와 각 회원의 고무를 위한 매우 효과
적인 수단이었다.
지난 수십 년간의 수도회를 연구한 결과, 원장과의 면담이 위기에
처해 있으며 수도 생활에 관한 최근의 지침에 따라 그 관행이 쇄신되
고 업데이트되어야 한다.66
2017년에 4000명 이상의 응답자가 참여한 살레시오 개인 동반 설
문 조사에서 분명하게 나타난 점 중 하나는, 특히 수련 직후기와 실
습기 및 개별 양성 중인 회원에 의해, 실제로 그리고 다양한 방식으
94

10.6 Page 96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로 표현된 바람으로, 원장과의 면담과 개인적인 영적 지도의 구별이
었다.67 그러한 구별이 면담의 가치를 반드시 감소시키는 것은 아니
다. 그와는 반대로, 돈 보스코가 분명히 생각한 면담의 특징과 독창적
인 특성에 더 집중하는 것이 도움된다. 즉 면담은 “공동체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회헌 70조) 가장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라는 것이다. 모
든 회원이 정기적으로 면담하기 위해 원장을 만날 때, 그들은 그에게
공동체의 고무와 통치에 매우 귀중한 도움을 주는 것이다. 면담은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Per vino nuovo otri nuovi」(이하 약어 VN으로 표기)라
는 문헌이 권고하는 것처럼 수도 생활의 쇄신 과정의 일부인 참여 리
더십을 실천하는 방법이 된다(VN 19–24).
원장은 첫발을
내디딘다
73. 원장은 겸손과 봉사의 정신으로 회원의 생활과 공동체 생활을 위
한 면담의 이점을 고려하여 살레시오 방식의 고무와 통치에 대한 ‘좋
은 관례’를 장려하기 위한 첫발을 내디딘다. 그 중요성을 인식하기에,
원장은 대화를 위해 회원을 초대하는 것이 그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원장은 모든 회원을 하느님의 자녀요, 축성된 사람, 수도회 회원이
라는 신분으로 받아들인다; 그리고 원장은 착한 목자로서, 그리스도
를 따르는(sequela Christi) 회원의 여정을 기꺼이 동반할 준비가 되어
있다.68 그는 면담이 존중되고 효과적이 되도록 회원의 심리적 · 관계
적 · 성소적 상황을 염두에 둔다.
심리적 · 맥락적 · 문화적 성격의 실제 어려움을 인식한 원장은 대
화에 도움이 되는 태도를 육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회원과 공동체를
진심으로 도우려는 영적 갈망, 각자의 삶에 대한 진정한 관심, 공식 및
비공식적인 만남의 기회 추구, 도움이 되는 태도 및 기술(경청과 대화
하는 능력, 신뢰, 공유하고자 하는 의지, 인간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
95

10.7 Page 97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비밀 유지
라 대화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배려 등의 태도를 키우도록 노력한다.
74. 회헌과 회칙(회헌 70조 및 회칙 49조)은 원장과의 면담에 있어서
기본 요소를 상기시킨다. 면담의 주제는 회원과 원장 측의 대화에 대
한 태도에 따라 다르다. 일부 면담은 기능적(특정 문제 해결을 목적으
로 함)이지만, 다른 면담에서는 개인 문제를 논의한다. 때로는 성소나
영적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나눌 수 있고, 또 때로는 대화의 주제가
공동체와 사도직, 회원들의 개인적인 상황, 그들의 기쁨과 슬픔, 걱정
과 염려 사항 등이 될 수 있다.
원장은 면담이 기밀성에 의해 보호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아
무것도, 절대로,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는다(nihil, nunquam, nulli).69
여기서 제19차 총회에 의해 공식화된 원칙은 여전히 유효하다. “우리
는 은밀한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원장은 직접적으로든 간접적
으로든 자기가 들은 표명된 발언에 관해 비밀 준수 의무는 절대적으
로 엄격하다. 서원이나 서품을 허락할 때 더욱 그렇다.”(CG19 8, 11)
살레시오 개인 동반에 대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기밀성의 결여가
초기 양성의 모든 단계에서 응답자가 비난하는 가장 혼란스러운 요소
중 하나이다. 비밀 보장이 안 된다는 것은 모든 의미 있는 인간관계
의 필수 조건인 상호 신뢰를 손상시키고 파괴하기 때문이며, 회원들
간의 상호 작용 차원에서 더욱 그렇다.70 인간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관계를 개선할 방법을 찾는 것과 더불어 많은 인내가 필요하다.
● 원장과 형제들은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원장과의 면담을 증진시킬 수 있
는지 함께 연구해야 한다.
장은 형제들을 형제적 대화인 면담에 초대하기 위해 주도권을 행사하며,
96

10.8 Page 98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그들을 참여시키기 위해 창의적인 방법을 모색한다.
● 원장은 면담 중에 그에게 표현한 것에 관하여 비밀을 지키기 위해 매우 신
해야 한다.
● 면담은 형제의 부모와 가족에게 관심을 표현할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회
칙 176조).
5.2.2 개인 동반
성장에 필수적인 75. 여기서 ‘개인 동반’은 원장과의 친근한 면담, 영적 지도, 고해성사
개인 동반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축성 생활에서 수도자는 그리스도 예수님을 점진적으로 닮아 가도
록 도와주는 지도가 필요하다.71
개인적인 동반에 대한 열망은 돈 보스코에게 있어서 핵심 요소이
다. 그의 개인적인 삶과 청소년들 그리고 그의 살레시오 회원들과 함
께하는 사업에 있어서 개인 동반은 핵심 요소였다. 청소년 사목은 사
목적인 관계에서 개인적인 동반을 제안한다(CV 242–247, 291–298;
QdR 114–115 참조). 회칙 99조는 각 회원의 필요에 따라 살레시오
생활을 위해서도 그것을 제안한다. 제27차 총회는 개인 동반을 모든
살레시오 회원들을 위한 분명한 목표로 제안했다. “안정적인 영적 지
도자를 갖고 정기적으로 영적 지도자를 만난다.”(CG27 67.2, CG26
20이 이미 요청했던 것)72 이것은 우선 원장 자신에게 해당한다.
개인 동반은 살레시오 회원이 자신의 성소에 충실하고 영적으로,
사목적으로, 형제애에 있어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별한 상황
97

10.9 Page 99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에서 개인적인 동반은 또한 식별에 도움이 된다.
공동체 영적 동반 76. 문화적 맥락(개인주의 경향, 개인 복리, 자기만족, 다른 사람에 대
과 개인적인 영적
동반
한 불신 등)과 부정적인 경험(존중과 기밀성 부족, 개인화 과정과 맞
지 않는 동반 방법, 영적 체험에 대한 부적절한 관심…) 때문에 특별
한 준비를 통해 동반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원장은 ‘공동체 영적 동반’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다(회헌 55조).
그는 친근한 면담을 위해 모든 회원에게 시간을 내주고, 또한 회원이
원하는 경우 개인적인 영적 동반을 제공한다(회헌 70조, 회칙 78조).
예방교육이 자유의 교육학임을 인식하고, 「젊은 살레시오 회원과 동
반 – 지침과 지도」의 5.2.5에서 제시하고 있듯이 『양성 지침서』(FSDB
233, 417)의 수정에 따라, 원장은 모든 회원이 초기 양성의 초기 단계
에서도 자신의 영적 지도자를 선택할 수 있는 회원의 자유를 완전히 존
중하고 장려하면서, 자기를 영적 지도의 도움으로 활용하도록 권한다.
“사랑받도록 힘쓰십시오.”라고 돈 보스코가 루아 신부에게 건넨 말씀
을 기억하면서, 원장은 법적인 권위에 의존하기보다는 형제들의 신뢰
를 얻어야 한다는 것을 안다. 원장은 또한 상황, 인간관계 스타일 및
관련된 사람들의 영적 경험에 따라 다른 형태의 개인적인 동반이 많
이 있음을 알고 있다. 그 예는 공동체에서의 영성 생활과 성소 체험의
나눔, 면담, 화해성사, 특정 주제나 문제에 대한 형제적 상담 등이다.
『양성 지침서』는 초기 양성 단계에서 영적 지도자는 살레시오 회원
이 되어야 한다고 요구한다. 젊은 살레시오 회원과 동반에 관한 지침
과 지도는 외적 규범을 따르라고 강요하기보다는, 양질의 살레시오
양성 담당자와 공동체에 투자하는 게 낫다고 말한다. 그러기 위해서
는 다음 두 요소가 보장되어야 한다. 1. 선택한 지도자가 우리의 카
98

10.10 Page 100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리스마와 영성을 잘 알고 있어야 할 것. 2. 지도자를 정기적으로 만
날 수 있어야 할 것. 상호 신뢰와 믿음으로 특징지어진 관계에서 원장
은 영적 지도자 선택에 관해서도 양성 중인 형제와 대화할 줄 안다.73
원장이 초기 양성 과정에서 일부 회원의 영적 지도자로 선택된다
면, 특히 서원, 직 수여 또는 서품 등을 수락할 때, 기밀 문제에 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원장은 모든 형제의 충실한 성소 여정의 고무자로 자신의 봉사를 인식하고
있으며, 지도받은 지도자가 되기를 원하므로, 자신의 개인 생활 계획의 일
부로 개인 동반을 받기 위해 자신을 동반해 줄 사람을 찾는다.
● 월례 피정과 분기 피정 때 외부에서 온 고해 사제의 현존을 보장한다.
● 공동체는 제26차 총회 문헌 70항의 제안을 연구한다.(“살레시오 회원은 …
영적 동반을 위해 준비되어야 하며, 스스로 이를 위해 준비해야 한다.”) 그
것은 동반 기술에서 살레시오 회원과 평신도들의 준비에 관한 제27차 총회
문헌 75항 1의 제안에서 연속성을 찾는다.
● 원장과 공동체는 「젊은 살레시오 회원과 동반 – 지침과 지도」(2019)를 연
구하고 실현한다.
5.2.3 저녁말씀
공동체 영적 지도 77. “살레시오의 전통에 따라 원장이나 그를 대신하는 누군가가 ‘저
의 특별한 순간
녁말씀’이라는 방식으로 공동체에 이야기해야 한다.”(회칙 48조) 저
녁말씀은 하루 또는 일주일의 사건을 신앙의 눈으로 해석하여, 공동
체의 카리스마적 정체성을 강화하는 공동체 영적 지도의 특별한 순
간이다. 필요한 경우, 청소년들과 교육 사목 공동체에게 ‘아침말씀’
99

11 Pages 101-110

▲back to top

11.1 Page 101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의 형태로 할 때, 그것도 동일하게 교육적 · 사목적 · 카리스마적 가
치가 있다.
우리 공동체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저녁말씀을 나누는 방법에는 여
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을 유지하는 것은 그 단순함 속에
대단한 양성적 가치가 있기 때문에 훌륭한 일이 될 것이다.
• 저녁말씀은 마음의 일치와 관심사, 즉 뉴스, 사건에 관한 정보,
공동체와 관구, 수도회의 사목 교육 계획 발표를 공유하는 가족
적인 순간이다.
• 저녁말씀은 하루를 끝마치면서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우리 삶
의 중심과 의미를 상기시켜 줌으로써 심리적 피로, 영적 피로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고요한 격려의 말씀이다.
• 저녁말씀은 단순한 정보를 교환하는 순간일 뿐 아니라, 매일의 사
건과 행사에 대한 신앙적인 해석, 즉 참된 공동체 식별 훈련이다.
• 저녁말씀은 삶과 그 사건에 대한 살레시오적 감성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 원장은 ‘저녁말씀’을 책임지고 준비하며 공동체를 위해 의미 있는 영적 지
도 순간이 되게 한다.
● 원장과 그 평의회는 ‘저녁말씀’의 양식과 효과를 평가하고, 또 형제들의 의
견을 경청하여 살레시오 커뮤니케이션 본래 수단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필
요한 것을 수정한다.
● 원 장은 ‘아침말씀’ 또는 ‘저녁말씀’의 생각을 형제들과 청소년, 교육자, 살
100

11.2 Page 102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레시오 가족 구성원들을 포함한 다른 이들에게도 소개할 기회를 제공하여,
다양한 사업 분야나 살레시오 생활, 교회와 사회 생활의 다른 차원에서 수
행하는 것에 의미 있는 요소들을 공유하도록 격려한다.
5.2.4 개인 생활 계획
생활의 통일과
성소의 충실성
안에서 성장을
위한 도움
78. ‘살레시오 개인 생활 계획’은 돈 보스코가 연례 피정을 하는 동안,
또는 인생의 새로운 단계를 시작하려고 할 때, 영적 생활과 성소에 있어
서 성장을 확실히 하기 위해 만들곤 했던 ‘결심’의 현대적인 형태이다.
제25차 총회 문헌 14항은 수도회 전체에 대한 지침으로 개인 생활
계획을 제안하고, 회원들에게 구체적인 지시 사항을 제공하도록 요청
했다. 제27차 총회 문헌 5항과 67항 1은 성소의 충실성을 증진시키
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각 살레시오 회원들에게 다시 한번 개인 생활
계획을 제안했다.74
개인 생활 계획은 영적 식별의 열매이며, 충실한 성소 여정에서 그
가 직면하는 문제와 자신이 처한 상황의 맥락에서 자신의 삶을 통합하
는 데 도움이 된다. 중요한 것은 형식적인 계획 작성이라기보다는, 개
인의 영적 동반 과정에서 해결되는 구체적인 조치를 취함으로써, 각
회원이 충실하게 성장하려는 확고한 의지이다. 계획은 자신의 미래를
지배하고 성공을 계획하는 방식이라기보다는, 매일 주님의 부르심에
응답하고(회헌 96조), 일상생활의 사건 속에서 성령의 제안에 유순함
을 유지하는 방법이다(회헌 64, 119조).
따라서 돈 보스코와 마찬가지로 각 살레시오 회원은 자신의 개인
생활 계획이 본인의 신앙 여정에서 나오도록 하고, 그것이 자신의 성
101

11.3 Page 103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소를 성숙시키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 원장은 그에게 맡겨진 사목을 개선하고 성장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차원을
포함하여 자신의 개인 생활 계획을 매년 작성하고 검토한다.
● 고무의 다양한 순간을 통해 개인 생활 계획의 작성과 개정을 고무한다: 면
담, 저녁말씀, 모임, 월례 피정과 연피정, 개인 동반 등.
● 원 장은 그에게 맡겨진 실습 중인 형제들의 개인 생활 계획에 특별한 관심
을 기울인다. 개인 동반이 개인 생활 계획과 관련하여 진행될 때 더욱 의
미 있고 유용하다.
청소년들을 동반하면서 개인 생활 계획의 수용을 장려하고 이용한다.
5.2.5 공동체 계획
공동체의 일치와
지도에 매우
유용한 도구
79. 공동체 계획은 살레시오 공동체의 고무를 위한 또 다른 유용한 도
구이다. 공동체로서의 모든 노력을 일치시키고 격려해 주면서 성소에
충실하도록 해 준다. 공동체를 동반하기 위해 원장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 중, 이것은 가장 관련성이 있고 효과적이며, 일 년 내내
그 유익한 효과를 느낄 수 있다.
매년 공동체 계획을 정성 들여 작성하는 과정은 공동체 구성원 간
의 대화와 성소 체험 나누기, 그들의 기대와 관심과 목표를 장려하고,
공동 책임과 소속감을 고무한다. 공동체 계획은 수도회의 일부 지역
에서는 잘 확립되어 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그렇지 않다. 회헌과 회
칙은 매년 “공동체의 생활, 활동, 쇄신에 대한” 연간 계획을 수립하는
공동체에 대해 언급하고 있음을(회칙 184조, 회헌 181조 참조) 주목
해야 한다. 제25차 총회 문헌(72–74)은 공동체가 단순한 프로그램이
102

11.4 Page 104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아닌 계획을 세우도록 권유했다. “살레시오 공동체에 관한 주제를 다
루면서 제25차 총회는 공동체 생활 계획에서 ‘함께 살고 함께 일하며’
점점 늘어나는 각 개인의 업무 단절을 극복하고, 분열되어 가는 사목
활동의 위험을 피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수단을 알아
보았다. 이런 이유로 제25차 총회는 모든 공동체에 ‘공동체 계획에 따
라 일하라고’ 요청했다.”(CG25 72)75
교육 사목 계획과
구별되는 공동체
계획
80. 공동체 계획은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과 다르다. 교육 사목 계
획은 교육 사목 공동체를 포함하고, 우리의 공동 사명에 관심을 가지
며, 지역에서 살레시오 교육 사목 참여를 위한 체계를 제공하며, 몇 년
동안 ‘기본 틀ʼ로 기능하게 된다. 대신에 공동체 계획은 내년도의 목표
와 그에 따른 전략과 함께, 그들의 공동생활과 성소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면서, 회원들이 매년 작성한다. 공동체 계획의 주요 강점은, 매
우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는 기록된 문서보다는, 이 문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공동체의 비전과 나아갈 방향을 공유하는 데 있다.
제25차 총회가 요청한 내용에 대한 후속 조치로, 양성부는 「살레시
오 공동체 계획, 식별 및 공유 과정」(2002)이라는 문서를 발표했다.76
이 문서는 동기를 부여하고, 작성 방법, 참여 및 평가에 관한 제안을
하고, 유용성을 높이는 데 필요한 조건, 함축된 공동 책임 및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에 관해 이야기했다.
각 공동체의 다양한 정황과 상황은 이 도구의 정교함과 유용성의
조건이 된다. 원장과 그의 평의회는 공동체 생활을 고무할 때 이 점
을 명심해야 한다.
● 공동체는 공동체 계획에 관한 제25차 총회 문헌 72‚74항의 지침과 양성부
103

11.5 Page 105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의 지침들에 대해 논의한다.
● 원장은 양성부와 관구가 제시한 지침의 빛으로 공동체 계획을 작성하기 위
해 매년 공동체에 동기를 부여하고 준비한다. 그는 공동체 계획의 실현과
평가 방식도 함께 연구한다.
● 원장은 공동체 계획이 공동체의 실제 상황에 응답하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 그 는 공동체 계획과 지역 공동체의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의 요소들
에 협력과 조율을 고무한다.
5.2.6 형제적 교정
형제애와 성소의 81. 형제적 교정은 신자들이 그들의 삶을 주님과 그분의 계획에 집
충실성에서 성장하
기 위한 수단
중시켜, 복음과 일치시키기 위해 태도와 생활 방식을 수정하도록 돕
는 그리스도교 생활의 한 부분이다(마태 18,15–20, 갈라 6,1–5). 축
성 생활에서, 형제적 교정은 의사소통과 양성의 수단으로서, 그리고
성소적 충실에서 개인과 공동체를 성장시키는 도움으로 제안된다.77
우리의 생활 규칙은 형제애가 성장하기 위해(회헌 52조), 지속적
인 회개에 대한 도움으로서(회헌 90조), 성소적 충실에서 성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회헌 121조) 형제적 교정을 받아들이는 형제 회원
에 대해 말한다.
형제적 교정의 실행은 쉽지 않다. 제25차 총회 문헌 14, 15, 54항
및 제27차 총회 문헌 48, 68항 2는 형제적 교정이 개인 회원과 공동
체에 관한 질문을 제기하기 때문에, 살레시오 생활에서 직면하는 도
전이라고 한다. 우리의 성소적 충실을 촉진하는 이러한 방법의 효과
는 주로 유익한 공동체 분위기에 달려 있다.
104

11.6 Page 106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다양한 교정 방법 82. 형제적 교정을 실행하는 방법은 일상생활의 작은 관찰에서부터
중요한 주제에 대한 공동체 모임 중에 행해지는 식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다르다. 때때로 좋은 모범은 그 회원이 자신의 책임을 인식
하고 변화하도록 격려하기에 충분하다. 때로는 개선이 필요한 생활
측면을 평가하기 위해 공동체 모임이 필요할 것이다. 때로는 공동체
에 공통 기준을 상기시키기 위해 공개적으로 개입해야 하지만, 때때
로 회원과 직접 대화하거나 다른 사람이 개입하도록 요구해야 할 수
도 있다.
그러나 항상 형제적 교정은 다음과 같은 특정 조건을 전제로 한다.
• 교정을 제시하는 이의 신앙심, 기도 그리고 더욱 깊은 사랑
• 식별력, 개방성, 겸손함
• 경청하고,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도와주고, 용서하는 능력
• 무례, 부정적인 판단, 비난, 상처를 주고자 하는 마음 등을 피하기
• 사랑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고 사랑으로 제시된 교정
● 원장은 좋은 결실을 맺는 형제적 교정에 필요한 능력을 얻기 위한 양성을
장려한다(대화, 경청, 용서, 원활한 의사소통…).
공동체 생활의 다양한 측면을 면밀히 평가한다. 복음적 권고, 형제애, 기
도 생활, 사목 직무….
● 견해차나 갈등을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의 중재를 이용한다.
105

11.7 Page 107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5.2.7 수도원 일지와 문서고
공동체 가족사와
훌륭한 행정을
소중히 하기
83. 원장과 그의 평의회에 우리 회칙이 위임한 임무 중 하나는 “문서
고를 정리하고 보관 문서를 정비하며, 지역 공동체의 일지를 자신이
쓰든지, 아니면 다른 사람에게 쓰게 하는 것”이다(회칙 178조). 그것
은 관료적인 요구 사항 이상으로, 공동체가 가족 역사를 소중히 여기
고 항상 정확한 기록으로 요구와 도전에 직면할 수 있도록 하는 문제
이다. 정돈된 문서고는 적절한 문서가 필요한 상황에 대해 시기적절
하고 타당한 대응을 보장한다. 그것은 훌륭한 행정 및 통치를 위한 현
명한 예방 조치이다.
5.3 고무 구조
5.3.1 지역 공동체 평의회
공동체의 효과적인 84. 지역 공동체 평의회(지역 공동체 평의회와 공동체의 의견이 일치
고무와 통치에 필
수적이다
하지 않을 때 전체 회원 모임 역시)는 당연히 더 가치 있고 존중되어
야 할 단순하지만 귀중한 식별, 양성 및 공유의 소중한 모임이다. 평
의회는 교회법과 회헌 및 회칙에 의해 설립되며, 공동체의 효과적인
고무와 통치에 필수적이다.
원장 봉사의 열쇠 중 하나는 평의회의 역량을 존중하고 고무하며,
공동체의 성장을 촉진하는 능력을 이용하면서 팀으로 일하는 능력이
다. 그러므로 평의회와 전체 회원 모임은 단지 충족되어야 할 요건으
로만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그들의 적극적인 기능에는 공동체의 삶
과 사명의 결실을 배가시킬 수 있는 귀중한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수도 생활의 쇄신 과정에 대해 교회가 촉구하는 분명한 나아갈 길이
106

11.8 Page 108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다.78 ‘함께 걸어감, 즉 공동합의성Sinodalità’은 교회가 모든 수준에서
따라야 할 방식이 되었다.79
평의회의 역량은 회헌 178–186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회칙 180조
에는 평의회 회의에 대한 구체적인 지시가 포함되어 있다. 자세한 내
용은 관구가 정한 각 살레시오 사업의 고무와 통치 모델에 규명되어
있어야 하며, 공동체와 살레시오 사업의 관계가 고려된 다양한 방법
들을 생각해야 한다(아래, 3부 7.2.2 참조).
일부 회원은 지역 사회에서 담당하는 역할 때문에 평의회에 속하
지만, 다른 회원의 경우 그가 임명된 것은 공동체의 특정 상황과 관
련이 있다.80
다수로 이루어진 소규모 공동체의 경우, 모든 회원이 평의회 일부
를 구성해, 지역 공동체 평의회와 전체 회원 모임 간에 실제 차이가
없음을 인정해야 한다. 이 경우 회헌은 공동체의 생활과 활동의 원활
한 운영을 위해, 역할과 구조를 관리하는 데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사정에 의해 어떤 예외를 필요로 할 때 관구장은 원장의 직분을
존중하면서 해당 공동체의 의견을 청취한 후 관구 평의회의 동의
를 얻어, 특히 공동체의 인원이 적은 경우, 그 공동체 내의 일반
구조나 역할을 변경할 수 있다(회헌 182조).
평의원의 책임은
본질적으로
카리스마적이다
85. 평의원들 사이에서 팀워크 능력(경청, 대화, 의사소통, 계획 수
립, 공동 책임감…)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의회는 관리 기능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돈 보스코의 정신과 수도회의 지침에 따라
공동체와 살레시오 사명에 봉사하도록 부름을 받았으므로, 평의원들
의 책임은 본질적으로 카리스마적이다.
107

11.9 Page 109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평의회와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 또는 살레시오 사업 평의회의
관계는 관구가 정의한다.
교장, 기술학교 원장, 오라토리오 원장 등 각기 다른 부문을 담당하
는 평신도들은 살레시오 사명과 사업에 다른 방식으로 참여한다. 제
27차 총회의 정신과 지침81및 제28차 총회 소집 서한의 정신과 지침82
에 따라, 의사 결정 과정에 대한 참여는 활동의 정상적인 운영의 일부
여야 한다. 매우 다양한 지역 공동체의 사정과 상황을 고려할 때, 이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관구 차원에서 정해야 하며, 관구장 공
식 방문 중에 다른 기준들을 확정한다.
제26차 총회의 결의에 따라 평신도 경리들은 투표권 없이 지역
공동체 평의회에 참여하도록 초대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CG26
121 참조).
양성 공동체의 원장은 모든 양성 지도자들이 지역 평의회의 회원
이 아니라는 점을 고려하여 양성 팀의 회의를 정기적으로 소집해야
한다.
● 원장은 좋은 팀워크를 보장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들의 현존과 상호작
용을 보장한다. 모임을 준비하고 소집하는 것, 사전 정보 제공, 회의의 질
과 효율성, 명확한 논의와 회의록, 의사 결정에 대한 공동 책임 의식, 논의
사항에 대한 알림….
● 사 전에 그들이 성찰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모임 후에 공통의 관심사와
결정 사항에 의견을 표현할 수 있도록 평의회 회의에 관해 공동체 형제들
에게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한다.
● 원장은 평의원들 사이의 나눔, 양성과 기도의 독창성을 장려한다.
108

11.10 Page 110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 그는 평의회 운영 방식에 대해 주기적으로 평가하는 계획을 세운다.
● 적절하다고 판단하면, 원장은 평신도 경리로서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
특별한 책임을 지닌 평신도들을 공동체 평의회에 참석하도록 초대한다.
5.3.2 부원장
원장의 첫 조력자 86. 원장의 봉사는 다양한 사람과 조직의 지원과 조언으로 수행된다.
이 중 부원장은 “원장의 첫 번째 조력자”(회헌 183조, 회칙 182조)인
주요한 인물이다.
부원장은 (특수 임무로 받은 사항과 관구장의 다른 조치가 있을 때
까지 원장 부재 시나 유고 시 통상 통치에 관한 제반 사항에 있어서)
‘일반적인 대리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교회법상 부원장은 ‘수도회의
원장’이 아니다. 경험에 따르면 부원장의 역할은 원장이 부원장에게
맡긴 일에 달려 있고, 그 일들을 수행할 수 있고, 공동체 계획을 지원
할 수 있는 부원장 자신의 능력에 달려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두
사람 사이의 어느 정도 수준의 상호 이해와 심지어 우정에 달려 있다.
부원장과의 상호 이해, 신뢰, 공동 책임 정신, 공동체의 삶과 회원
의 성소에 관한 관심을 확고히 하는 것은 원장에게 달려 있다. 원장
은 부원장과의 만남과 대화의 시간을 마련하고, 공동체 생활의 문제
와 회원들의 문제, 그리고 개선책과 계획, 제안 및 그가 할 수 있는 가
능한 임무를 공유한다.
부원장은 그의 입장에서 솔선하여 원장을 지원하고 조언하고, 교정
하며, 다른 의견을 내고, 제안하고 건의한다.
109

12 Pages 111-120

▲back to top

12.1 Page 111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원장을 아버지라고 부르는 우리의 전통은 부원장이 특별하게 규율
과 조직 문제를 관리하며, 이런 방식으로 원장을 적극적으로 지지한
다는 것을 시사한다.
부원장에게는 “일반적인 대리 권한” 외에도 원장이 그에게 맡긴 특수 임
가 있다.
● 원 장은 공동체 안에서 부원장의 역할과 임무를 명확하게 함으로써, 형제
들이 그에게 맡겨진 임무와 특별한 책임과 이 임무와 관련된 권한을 분명
히 알 수 있도록 한다.
5.3.3 전체 회원 모임
공동체 식별 활동 87. “지역 공동체의 모든 형제 회원이 모이는 지역 공동체 전체 회원
모임은 공동체의 생활과 활동에 관한 주요 문제들을 자문하고 심의하
기 위해 원장에 의해 소집 주관된다.”(회헌 186조) 그것은 참여와 공
동 책임의 가치를 표현한 것이며(회헌 123조), 무엇보다도 공동체 식
별 활동이다.
그러나 이미 언급했듯이 오늘날 많은 공동체가 소수의 회원으로 이
루어짐을 고려할 때, 전체 회원 모임과 지역 공동체 평의회 사이에 실
질적인 차이가 없다.
합법적으로 요구되는 조직일 뿐만 아니라 가족정신을 통해, 이 모
임은 생활과 공동의 사명에 있어서 나눔과 식별, 계획 수립, 평가 그
리고 양성과 공동 책임 등에 대한 형제적 만남이다.
110

12.2 Page 112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전체 회원 모임의 책임은 회칙 184조에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책
임들은 형제적 삶의 질과 회원의 참여에 따라 발전될 수 있다.
● 원장은 공동체의 전체 회원 모임을 잘 준비한다(안내, 의제, 환경, 회의록).
공동 책임의 분위기, 소속감, 식별과 가족 분위기를 형성한다.
● 공동체 평의회와 함께 전체 회원 모임의 마침을 진심으로 환영하고, 결정
사항을 전달하고, 합의된 내용을 완성하기 위해 형제들을 참여시키고, 실
현한 결과를 보고한다.
5.4. 회원에 대한 개별화된 관심
각 회원의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관심
88. 원장은 “각 형제 회원에 대한 직접적 책임을 가지고 개인의 성소
를 실현하도록 돕고 그가 맡은 일에 힘이 되어 준다.”(회헌 55조) 원장
의 이러한 임무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항상
각 회원의 구체적인 상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양성 과정, 개성, 가족 상황, 살레시오 생활의 여정, 공동체 및 사
목 체험, 영적 체험, 계획, 어려움, 은사 및 자질 등 많은 여건이 회원
의 개인적인 상황을 초래한다. 가정 안에서처럼 형제를 환대하고 사
랑하며 공동체와 하나가 되게 해야 한다(회헌 52조).
5.4.1 사제 살레시오 회원과 수사 살레시오 회원
두 가지 양식의
상호 보완성,
카리스마적 보물
89. 우리 수도회의 특별한 특징 중 하나는 살레시오 공동체의 생활과
활동에 있어서 성직자와 평신도 수도자 사이의 상호 보완성이다. 우
리는 두 가지 형태의 살레시오 성소의 상호 보완성을 귀중한 카리스
마적 보물로 평가한다.83
111

12.3 Page 113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제26차 총회와 제27차 총회는 우리 성소의 공통 요소를 강조하였
으며, 수도회는 두 가지 형태에 대해 폭넓게 고찰하면서, 수사 살레시
오 회원의 정체성에 대한 지식, 특정 능력에 대한 성찰, 모든 회원에
대한 기본적이며 동등한 양성, 성직자 회원과 평신도 회원의 특별 양
성에 대한 제안, 좋은 형제 관계 등을, 상호 보완성을 실천하고 촉진
시키기 위한 지시 사항으로 제시했다.84 상호 보완성은 권위의 봉사
에 관해 회헌에 명시된 기본 원칙에 따라 의사 결정 과정에서도 소중
히 여겨야 할 자원이다.
공동 소명은 모든 회원들이 지역 공동체와 관구 및 세계 공동체의
생활과 활동에 있어서 실시뿐 아니라, 계획하고 조직하고 검증하
는 데에도 자신의 역할과 소관에 의거하여 책임 있고 효과 있는
참여를 하도록 요청한다.
이 공동 책임으로 인해 회원들은 여러 차원의 통솔 책임자들을 선
임할 때, 그리고 통솔 책임자들이 보다 중대한 결정을 내릴 때 가
장 적절한 방법으로 참여한다.
권위를 행사하는 이는 적절한 정보 제공과 개인적 대화 및 공동
체적 숙고를 통해 이러한 협력을 촉진시키고 인도하여야 한다
(회헌 123조).
● 원장은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 공동체에 평신도 수사가 없을 때도 특별히
살레시오 성소의 두 형태를 드러내고 촉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두 가지 형태의 독특한 성소에 관한 연구와 성찰의 순간을 위해 기회를 마
련한다.
모든 차별적인 언어(예를 들면, “살레시오 신부들”)를 피하도록 주의를 기
울인다.
112

12.4 Page 114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5.4.2 초기 양성 중에 있는 회원
실습기,
90. 『양성 지침서』(FSDB) 및 관구 지침서의 양성편에 따라 모든 양성
초기 양성의 가장
특징적인 단계 소는 고유한 양성 계획이 있다.
살레시오의 관점에서 실습기는 초기 양성의 가장 특징적인 단계이
다(FSDB 428). 실습기의 주요 목표는 살레시오 생활의 기본 요소를
“생활 계획안에 강력히 하나로”(회헌 21조) 통합하는 것이며, 원장의
양성 역할은 살레시오 성소의 가치들을 경험하도록 그의 실습자들이
경험을 통해 체득하도록 돕는 것이 가장 주된 역할이다(회헌 98조).
이것은 원장의 가장 중요하고 섬세한 책임 중 하나이다.85
5년 차Quinquennio,
사목 생활에
능동적이고
충만히 참여하도록
동반하기
91. 교육 사목 공동체 내에서 고유 양성 단계에서 활동적인 삶으로
의 전환을 동반하기 위해 5년 기간에 있는 회원에 대한 특별한 관심
이 필요하며, 살레시오 생활의 기본 기준에 비추어 새로운 임무를 맡
도록 도와준다.
관구 지침서는 『양성 지침서』에 명시된 내용에 따라 실습기와 5년
차에 대해 공동체가 장려하는 계획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회원 자신
이 이러한 양성 단계의 중요성과 동반 및 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개인 생활 계획에 이러한 단계의 목표를 포함하고 관구가 제
시하는 양성 계획에 참여하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원장은 젊은 살레시오 회원들과 가까이 지내며, 풍부한 양성 경험
(친근한 면담, 개인적인 영적 동반, 구체적인 양성 제안, 우정, 지원,
분기별 평가 및 서원 갱신을 고려한 평가 등)을 얻을 수 있는 조건을
보장한다.
113

12.5 Page 115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5.4.3 다문화
하느님 나라에서
드러난 형제애의
표징
92. 축성 생활은 다양한 장소와 문화적 상황에서 우리의 성소를 생
활하는 가능성과 관련이 있다. 개별 수도자의 경우에는 적응과 통합
을 위한 능력이 필요하지만, 공동체의 경우 다양성을 환영하고 축하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VN 13, 40). 그러므로 우리는 하느님 나
라의 형제애에 대한 표징이 되고 다양성 안에 일치의 표징이 된다. 다
문화 간 경험은 우리에게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최초의 선교 공동체
시대부터 그것은 수도회의 현실이었으며, 이미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전에 다문화 양성 공동체가 여러 나라에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우리 수도회는 교회와 더불어 지역의 문화적
맥락에 대해, 새로운 감수성의 시대를 살아왔다. 제27차 총회와 앙헬
페르난데스 아르티메 총장의 반복되는 호소는 이제 우리가 일치와 사
목적 사랑을 증거하는 다문화 경험을 가진 국제 공동체를 조성하도록
초대한다(CG27 29, 75.5).
공동체는 원활한
통합을 촉진한다
93. 다른 문화권 출신 살레시오 회원을 받아들이는 공동체는 다양한
수준에서 원활한 융합을 촉진한다. 물질적 통합(의류, 음식, 재무 관
리, 공식 문서, 언어 및 문화 학습 기회…), 관계 통합(공동체 내외 모
두), 영적 통합(고해성사와 영적 동반의 가능성 보장), 사목적 통합.
관구에 편입된 형제들을 소개하고 교육 사목 공동체를 포함한 공동
체와 회원들과 새로운 관구 생활을 그들에게 알려 준다. 원장은 이러
한 회원들이 점진적으로 공동체에 편입할 수 있도록 동반해 주며, 관
구와의 관계와 회원 가족과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도와줘야 할 특별
한 책임이 있다.
공동체는 회원들의 다양한 문화의 풍요로움을 소중히 여기며, 통
114

12.6 Page 116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합 과정을 동반하고 생활과 공동 사명에 대한 각자의 기여를 받아들
인다. 그것은 모든 회원이 대화하고 환영하며, 다양성을 이해하고 상
대방을 소중히 여기며, 도움이 되지 않는 태도를 극복하는 능력을 발
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그것은 모든 차별을 피하면서, 다른 인종
집단이나 다른 문화적 사회적 배경 출신의 회원들 사이에서 형제적
평등을 장려한다.
5.4.4 어려운 순간을 겪고 있는 회원
원장과 공동체는
시의적절하고
형편에 맞는 방법
으로 개입한다
94. 회원의 삶에서 의심과 나약함 및 동기 결여 등의 순간이 발생
할 수 있다. 회원 자신의 개방성과 투명성 외에도 원장과 공동체는
섬세하게 상황을 감지하고, 적당한 순간 적절한 방식으로 개입해
야 한다.
기도, 양성, 형제적 교정, 다양한 모임 및 전체적으로 제공되는 지
원의 순간과 더불어 형제 생활의 질은 형제 회원에게 가장 도움이 되
는 방법이지만, 그것으로 충분하지는 않다. 원장은 또한 개인적인 동
반 및 전문 센터들이 제공하는 적절한 양성, 특정 회원과의 긴밀한 만
남 및 업무 조정과 같은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러나 초반 개입이 항상 즉각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않기 때문에,
많은 인내와 항구함, 은총의 작용에 대한 신뢰와 믿음이 필요하다.
5.4.5 연로한 회원
노년기는
환영해야 할 선물
95. 「봉헌 생활」은 축성 생활에서 환영받고 소중히 여겨야 할 선물로
서 노년기에 대해 말한다. 이것은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종종 반복해
말씀하셨던 생각이다.86 살레시오의 전통은 공동체가 노인들을 관심
과 애정을 가지고 보살핀다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 주며(회헌 53조),
115

12.7 Page 117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그들이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으로 공동체와 사명에 봉사하며 기쁘게
자신의 성소를 계속 생활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87 공동 사명에 대한
그들의 기여는 신앙 정신으로 생활할 때 분명히 관련성이 많고 풍성
한 결과가 나올 것이다. “고통과 십자가는 항상 삶 속에 자리하고 있
으며,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신비에 비추어 살게 되면, 병과 한계
의 시간이 또한 특정 활동의 시간과 마찬가지로 많은 열매를 맺게 된
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88
성소 여정의 차이와 영적 · 사목적 경험과 건강 상태는, 공동체 안
에서의 통합이 각 회원에게 유일하고도 구분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다. 품위 있게 나이를 먹도록 도와주는 평생 양성 계획은 언제나 유용
하다. 연로한 살레시오 회원과의 대화와 면담은 그들이 가족의 일원
임을 느끼게 하고, 그들의 가능성과 한계를 인식하게 하며, 살레시안
의 현존 속에 있는 청소년들과 교육자들에 대한 기도와 친밀감을 통
하여, 공동체 생활과 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 분야와 방
법을 제시해 준다. 물론 이런 대화가 항상 쉬운 것은 아니다: 그것은
인내와 명확성을 요구하며, 또한 공동체의 사목 계획과 상충될 수 있
는 개인적인 욕구를 단호하게 다룰 것을 요구한다.
살레시오 세계의
다양한 상황
96. 연로한 회원들의 건강과 심리적이고 영적인 복지에 세심한 주의
를 기울여야 한다. 원장은 이런 종류의 동반에 책임이 있다. 그는 노
인 회원들이 사랑하고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공동체의 다
른 회원들에게 관심과 배려를 표현해 주도록 권하면서, 또한 방문을
통해 관심을 표현해 줄 것을 권한다. 반면에 노인 회원들은 종종 더 젊
은 회원들에게 다양한 종류의 지원과 도움을 줄 수 있다.
우리는 연로한 회원들에 관한 한, 수도회의 상황이 지구마다 매우
116

12.8 Page 118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우리 성소의
일부인 병
다르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연로한 회원이 거의 없는 관구는 노년
기 회원이 가져다줄 수 있는 경험과 지혜가 없다. 공동체에 연로한 회
원이 많은 다른 관구는 원장에게 또 다른 도전을 제시하며, 여기서 관
구장들은 공동체의 질적 · 양적 일관성과 다른 해결책을 찾아야 할 책
임이 있다.
5.4.6 병든 회원
97. 질병의 경험은 우리의 성소를 더 큰 열정으로 살게 하는 특별한
기간이 될 수 있다. 물론 각기 상황은 다르며 각 사람은 다르게 그 상
황을 받아들인다. 특히 어떻게 도움을 요청해야 할지 모르는 회원이
있을 때, 형제적 친교를 따르는 원장과 회원들이 먼저 물어보고 경청
하고 도움을 주겠다고 요구한다. 병든 회원에 대한 그러한 감수성과
관심은 형제애의 훌륭한 표현 중 하나이다.
어쨌든, 병든 회원이 자신의 상황을 받아들이고, 신앙의 정신으로
그 상황을 살도록 도와줌으로써(회헌 53조), 그는 기도와 그리스도의
고통과 함께 자신의 고통을 바치는 봉헌의 사목적인 열매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병든 회원에게는 의료적 · 심리적 · 영적 차원 등 다양한 관심이 필
요하다. 그가 계속 공동체에 살 때, 그것은 형제애와 가족정신을 증거
하는 기회가 된다. 어느 가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이것은 다른 회원들
의 특별한 헌신을 요구한다. 다른 경우에는 노인과 병자를 돌보기 위
한 집(공동체)으로 회원을 옮긴다. 그 집의 원장과 다른 회원들은 형
제적 관심을 가지고 이 형제들을 꾸준히 돌보며, 지역 및 관구 공동체
의 친밀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117

12.9 Page 119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자신의 한계를 98. 어떤 회원은 때때로 자신의 한계와 간병인과 의사의 지시를 받
받아들이기 어려워
하는 회원
아들이기가 어렵다는 것을 안다. 그럴 때는 친절하고 단호해야 한
다. 의료진을 포함하여 그가 신뢰하는 사람들은, 그 회원이 좋아하
고 바라는 것에 반하는 경우에도, 그가 어려운 결정을 받아들이도록
도울 수 있다.
우리는 관구와 환자 회원의 가족과 지속적으로 소통을 유지하고,
다른 회원들과 공동체가 계속 방문하고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또한, 관구가 환자 회원이 특별한 시련의 순간
을 받아들이고 살도록 돕기 위한 양성 계획을 제공할 수 있다면 좋
을 것이다.
5.4.7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회원
문제가 있고, 중독
이나 또는 온전한
삶에 특정한
어려움이 있는
회원
99. 다양한 문제나 중독(알코올, 재산, 도박, 인터넷 등)으로 심리치
료나 정신 치료를 받고 있거나 온전한 삶에 특별한 어려움을 겪고 있
는 회원들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환자 회원에 대한 내용은 이들에게
도 적용되지만, 원장과 공동체의 입장에서는 더 큰 요령과 민감성이
필요하다.
원장과 공동체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이들 환자 회원들에 대한 구체
적인 지침과 함께, 이들이 따라야 할 치료 조건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문제가 있는 상황의 증상을 가능한 한 빨리 감지하는 것이 이상
적이다. 공동체의 가족적인 분위기, 솔직하고 진실한 관계, 형제적 교
정, 친근한 면담, 이러한 것들은 예방과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회원의
동반을 위해 일반적이지만 효과적인 일부 수단이다.
특별한 치료를 받는 회원이 있을 때, 공동체 생활의 리듬과 상호 작
118

12.10 Page 120

▲back to top
5. 카리스마적 봉사
용에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모든 일반 가족은 누군가가 아플 때 진
지하게 적응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 진정한 형제애라면 우리
도 똑같이 해야 할 것이다.
제한 또는 특수한
상황에 놓인 회원
100. 원장은 아동 보호에 관한 수도회와 관구의 지침과 정책에 대한
지식을 확보하고 예측 가능한 저항을 극복하면서, 그러한 지침과 정
책을 명확하고 확실히 준수하게 한다.89 원장은 법적인 측면과 소통
영역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관구 차원에서 합법적인 권위가
개입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공동체는 수도회와 교회의 방향과 다른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을 가
지고 있는 회원, 그리고 여러 가지 이유로 교회법 절차를 밟고 있거
나 비정상적인 상황에 놓인 회원들에게도 동일한 관심을 기울인다.
원장과 공동체는 항상 관구가 지지하고 동반하며, 관구는 배려심
을 가지고 해당 회원의 가족들도 동반한다. 이미 언급했듯이, 각기 다
른 수준에서 취해야 할 역량과 행동을 명시한 관구의 성문화된 정책
이 가장 중요하다. 잦은 원장 모임은 이 분야에서 원장들의 평생 양성
을 위한 소중한 기회이다.
5.5 재정과 행정
원장, 행정에 대한 101. 카리스마와 영적인 사항의 우선순위는 경제적 차원과 효율성에
‘첫째가는 책임자’
대한 관심을 포함한다.90 행정은 “소관 장상 및 평의회의 지도와 감독
하에”(회헌 190조, 회칙 198조) 있으므로, 교회와 수도회의 지침에 따
라, 여기서도 원장은 그 책임이 있다. 원장은 회칙 198조의 내용을 명
심하면서, 사실상 지역 공동체의 재화를 관리하는 데 “첫째가는 책임”
119

13 Pages 121-130

▲back to top

13.1 Page 121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회헌 176조 참조)이 있다.
지역 공동체 경리는 집의 물적 재산 관리를 맡으며 원장과 그의
평의회에 속하여 행동할 것이다.
지역 공동체의 여러 부문의 모든 경제 및 재정 행위 그리고 원장
의 재정 행위까지 경리 사무실을 거쳐야 하며 이는 지역 공동체의
중요성과 복합성에 비례하여 조직될 것이다(회칙 198조).
관구장은 새 원장이 취임할 때, 그리고 공식 방문을 할 때, 회원들
에게 그리고 고무와 리더십 역할에 관련된 교육 사목 공동체의 형제
회원들과 구성원들에게 법적인 측면을 포함한 원장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제시한다.
권위의 봉사는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관리의 질과 투명성을 감독
할 책임이 있다. “감독과 적절한 통제는 실체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수
단으로 쓰려는 것이 아니며, 신뢰 부족의 표시도 아니다. 오히려 그
것들은 친교와 투명의 봉사를 표명할 뿐만 아니라, 섬세한 관리 업무
를 맡은 사람들을 보호해 준다.”91 제26차 총회는 “연대의 정신으로
책임 있는 자원 관리”에 우리를 초대했다. “지역, 관구 그리고 세계
차원에서 재화 사용의 통제와 균형을 통해, 사명의 목적에 맞게 책
임 의식을 가지고, 투명하고 일관성 있는 방식으로 자원을 관리한
다.”(CG26 94)
원장의 감독하에 102. 원장과 그의 평의회의 감독하에 있는 주요 행정적 측면은 다음
있는 측면들
과 같다.
• 관리 서비스의 올바른 기능 평가
120

13.2 Page 122

▲back to top
• 사업의 타당성과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자원 계획
• 예산 승인 및 결산 평가
• 살레시오 사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후속 관리(직원 선정 및 업
무 능력 평가)
• 지역 공동체 문서고 보존, 기밀 유지 및 데이터 보호, 공동체 일
지 작성
• 수도회 본부의 사무국과 관구 사무국 또는 관구 지침서의 지시
에 따라 역사 및 예술 유산 보관(회칙 62조)
자산 관리와 관련된 이러한 일반적인 원칙은 회칙 198–202조에 의
해 규제되며, 관구 지침서의 ‘청빈과 재화 관리’ 부분에 자세히 설명되
어 있다(회헌 190조).
원장은 관구장에게 보고할 의무가 있고, 모든 관구 지침을 따르며,
이러한 지침을 알리고 질서 있고 효과적인 교육 사목 서비스를 고려
하여 지침이 이행되도록 확인한다.
관구 지침서의 규정에 따라, 원장은 평신도 경리들과 사업 분야의
평신도 책임자도 필요할 때면, 언제나 투표권 없이 지역 공동체 평의
회에 참석하도록 초대한다(CG26 121 참조).
● 원장은 그의 평의회와 함께 재정 관리와 관련된 규칙뿐만 아니라, 관구 지
침과 관련된 부분을 정기적으로 연구한다(CG26 88).
121

13.3 Page 123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 공동체는 연간 예산과 재정 보고서를 작성한다(CG26 88).
‘잉여금’(R 197, CG26 88)을 관구에 보낸다.
● 공동체는 매년 청빈 상태를 점검한다(회칙 65조, CG26 88).
● 살레시오 회원이 경리직을 수행하는 곳에서, 원장은 자신이 사용한 월말
결산을 그에게 보낸다.
122

13.4 Page 124

▲back to top
6. 평생 양성
성소의 충실성을
위해 필수적
103. 축성 생활에서의 평생 양성은 각 회원과 공동체의 성소의 충실
성을 위해 필수적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평생 양성과 그와 관련된
양성적 이니셔티브에 대한 성찰이 강화되었다.92 이 분야에서 권위의
봉사를 맡은 사람은 분명한 책임이 있다.
권위자들은 계속 교육의 여정에 함께하도록 부름받았다. 오늘날
권위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임무는 그들의 온 생애를 통해 보살피
도록 부름받은 사람들의 동반자가 되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
제들을 해결하거나 위기에 대처하는 데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각자 삶의 모든 단계와 시기에 정상적으로 성숙할 수 있도록 주의
를 기울여, “세월이 흘러도 살아 있는 젊음의 정신”(VC 70)을 보
장하고, 봉헌된 이들이 “예수님께서 지니셨던 바로 그 마음을”(필
리 2,5) 더 닮을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각자의 마음속에 배움에 대한 열린 자세와 삶에서 배울
수 있는 자질을 높이는 것은 권위자의 책임이다. 특히, 다른 사람
들에게서 기꺼이 배우려는 자유로운 마음을 존중하고, 각자 다른
이의 성숙에 책임이 있음을 자각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동
체 안에서 전통적으로 이어져 오고, 오늘날 영성 교육 분야에 경
험이 풍부한 이들이 특별히 권장하는 성숙의 수단을 활용하는 것
이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수단에는 말씀의 나눔, 개인과 공
동체의 계획, 공동체적 식별, 생활의 반성, 형제적 교정 등이 있
다(FT 13 사).
6.1 공동체 안에서
‘양성’은 주로
‘평생 양성’을
의미하며 원장은
첫 번째 고무자
104. 이 주제에 관한 회헌의 두 장에서 말하는 ‘양성’은 주로 ‘평생 양
성’을 의미한다. 그것은 하느님의 부르심에 대한 우리의 매일의 응답
(회헌 96조)이며 평생 지속되는 것이다(회헌 98조). 그것은 성령의 목
소리를 식별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이며, 이런 식으로 삶의 모든 경험
으로부터 선과 악을 배울 수 있다(회헌 98, 119조). 그러므로 평생 양
성은 모든 삶의 상황에서 개인적인 식별의 태도이며, 지역 공동체에
서 가장 먼저 시작된다(CG25 49–62).93
123

13.5 Page 125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또한, 교회와 마찬가지로 수도회가 원장에게 공동체의 양성에 활
력을 불어넣어 주고 지도할 책임이 있음을 상기시켜 주듯이, 교육 사
목 공동체의 살레시오 회원과 평신도 구성원의 공동 양성에도 활력을
불어넣어 주고 지도할 책임이 있음을 상기시켜 준다.
원장은 그의 공동체에서 평생 양성 경험의 일차적인 고무자이다.
자신의 역할에 대한 준비를 잘 갖춘 원장은,
- 공동체의 일상생활을 고양시킬 내적 외적 관계 양식과 분위
기(“공동체의 영적 지도, 강화, 저녁말씀, 만남”, 회칙 175조)
를 조성한다.
- 회원들에게 살레시오적인 생활 및 활동 원칙들을 전달한다. 이
를 위해 교회 및 살레시오 문헌들을 자주 인용하는 원전으로 알
리고 활용하며, 관구 및 수도회와의 친교를 발전시킨다.
- 지역 공동체 전체 회원 모임과 지역 공동체 평의회가 책임을 다
하도록 하며, 형제애와 쇄신 및 긴장 완화를 장려하는 만남들을
격려함으로써 살레시오 사명을 고무시킨다.
- 살레시오 가족 및 교육 사목 공동체와 함께 인간관계 및 양성 과
정을 진행시키며,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에서 살레시오 카리
스마를 수호하고, 고유의 고무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살레시오
공동체를 격려한다. 살레시오 소식지나 구체적인 경험 나눔과
같은 고무의 수단들을 현명하게 활용한다(FSDB 544).
평생 양성을 위한 105. 수도회는 평생 양성 영역에서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동시에 이
공동체 계획
러한 성소적 책임을 떠맡는 데 어려움을 인정했다.94 각 관구는 양성
위원회와 관구 지침서 및 관구 양성 계획 등을 통하여 개별 회원과 공
동체와 교육 사목 공동체를 위해 양성 수단과 제안을 제공한다.
이 관구 구조는 원장과 공동체가 평생 양성을 위한 의미 있는 제안
을 포함하는 공동체 계획95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된다. 그들은 회원들이
그들의 정체성과 성소에 있어 성장하도록 독려하고 독서, 성찰 및 쓰기
의 문화를 장려할 것이다. 계획에 포함될 수 있는 영역(인간적 · 영적 ·
124

13.6 Page 126

▲back to top
6. 평생 양성
지적 · 사목적)은 맥락과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구체화된다. 가능한 주
제로서 제25차 총회 문헌 57항은 인간적 · 관계적 및 정서적 성숙, 그
리스도교인이자 살레시안으로서의 정체성, 예방교육의 심화, 팀워크
및 계획적인 사고방식 양성, 문화적 맥락 및 청소년 현실에 대한 지식,
복음과 살레시오 카리스마의 토착화 등을 말하고 있다.
이외에도 사회 홍보 및 인문 과학, 사목 업데이트, 축성 생활, 영성
및 당연히 각 공동체의 특정 요구와 같은 다른 많은 주제가 있다. 회
원들은 오늘날 청소년들을 동반하고 새로운 복음화의 수단으로 인터
넷과 디지털 기술을 충분히, 제대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디지털 세계
에 대한 이해를 심화해야 한다.96
살레시오 회원과 106.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 살레시오 사명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평신도의 공동 양성
양성은 절대 우선순위이다. 그것이 회원들과 평신도 사이의 공통된
관심과 헌신의 결과일수록, 우리 현존의 첫 번째 수혜자인 우리의 파
견 대상자인 청소년들로부터 시작하여 모두에게 더욱 건설적이게 될
것이다. 이것은 지난 총회의 명백한 요구 사항이다.97
원장이 살레시오 공동체 평의회 및 교육 사목 공동체와 함께 추구
하는 첫 번째 목표 중 하나는, 살레시오 사명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을
위한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 및 살레시오 공동체 연간 계획과 조화
를 이루는 현실적인 양성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98
또한, 가정생활에 초점을 맞춘 두 개의 시노드 총회와 그에 따른
사도적 권고인 「사랑의 기쁨」이 사회와 교회 안에서 촉발한 가족의 근
본적인 역할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따라, 교육 사목 공동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모의 양성이 필요하다. 교육 영역에서 부모보다 더 중요
125

13.7 Page 127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99 이것은 공동체, 관구 차원
의 고무 팀 그리고 기타 교회와 사회 현실 사이의 네트워킹이 크게 도
움이 되는 분야이다. 많은 곳에서 부모는 유례 없는 도전에 직면해야
하며, 지역 공동체는 스스로 적절한 대응책을 생각해 내고, 수준 높은
양성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양성 집의 원장과 그들의 양성 팀은 살레시오 회원과 평신도의 공
동 양성과 관련하여 특별한 역할을 수행한다. 카리스마의 핵심 가치
에 있어 의미 있는 성장 경험을 통해, 관련된 모든 사람이 함께 걷고
일할 수 있는 관심과 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 예방교육과 같이 우리가
공통으로 공유하는 선물 이외에도, 평신도들은 젊은 살레시오 회원들
에게 제공할 수 있는 특별한 선물과 능력을 가지고 있는 분야가 많으
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과정을 효과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관구 양성 대리
와 관구 양성 위원회의 지도하에 관구 차원에서 훌륭한 계획이 필요
하다.
● 원장은 공동체 계획을 현실에 맞게 작성하고 정기적으로 평가하며, 관구의
노선을 따르도록 공동체를 지도한다.
● 공 동체는 파스콸 차베스 총장의 서한 ‘성소와 양성, 선물이며 과제’(ACG
416)와 ‘양성은 평생에 걸쳐 이루어진다’(ACG 425)는 총평의원의 지침과
『양성 지침서』 제12장을 성찰한다.
● 공동체 평의회와 원장은 평생 양성에 이바지하는 공동체 생활 요소들
질을 보장한다. 즉, 개인기도, 렉시오 디비나, 사목 경험과 교회 경험, 사회
적 임무 경험에 대한 성찰 나눔, 저녁말씀, 공동체의 영적 독서를 위해 선
택한 좋은 자료들과 주제들을 심화하기 위한 방식에 대해 지속적인 정보
126

13.8 Page 128

▲back to top
6. 평생 양성
제공(회칙 71조).
● 공동체는 도서관을 관리하여 지속적인 양성 태도를 배양하여, 교회 문헌과
살레시오와 사목 문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 평신도들과 관계 맺는 것을 배울 필요성을 인식한 형제 회원들은 그들과
함께 공동 양성의 순간에 참여한다.
● 양성 공동체의 원장들은 살레시오 회원들과 평신도들이 함께하는 양성이
이미 초기 양성 기간에 이루어지도록 보장한다.
● 원장과 그의 평의회는 다양한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양성에 능동적
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고무한다. 초기 양성기, 5년 차 양성, 성숙 안에서
성소적 충실성의 쇄신, ‘제3기 인생’terza età을 잘 살기 위한 준비, 노인 회
원들을 위한 독창적인 일, 서원과 서품 기념에 맞춘 특별한 이니셔티브, 창
의적인 사목을 위한 특별한 준비.
127

13.9 Page 129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6.2 원장 자신을 위하여
원장 또한 평생
양성과 동반이
필요하다
107. 성부를 섬기는 형제들 가운데 한 명의 형제로서 원장 또한 성소
적 충실을 강화하기 위해 평생 양성이 필요하다. 원장은 자신에게 맡
겨진 봉사를 수행하기 위해 자신의 양성을 돌보고, 개인적인 동반을
찾으며, ‘소경을 이끄는 소경’(루카 6,39 참조)이 되지 않고, 지도를
받는 지도자가 되기 위해 개인 생활 계획을 작성한다. 원장은 관구와
수도회에 대한 강한 소속감을 지니고 있으며, 유기적 관구 계획 및 관
구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에 따라 항상 일하며, 격려와 지지와 지도
를 받기 위해 관구장과 여러 대리에게 의지할 수 있음을 알고 있다.
원장들이 공유하는 가장 일반적인 어려움 중 하나는 과도한 업무량
과 책임으로 인한 시간 부족이다. 이것은 많은 원장에게 심각한 도전
이며 때때로 극도로 무거운 짐이 되고 있다. 원장직과 관련된 식별 능
력에서 두 가지 기술이 특히 중요하며, 이를 개발하고 강화시킬 필요
가 있다: 책임과 임무를 위임하고 공유할 수 있는 능력, 중요하고 소
홀히 할 수 없는 것과, 긴급하지만 중요한 것에 해를 끼치지 않는 방
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 사이의 적절한 구분으로 우선순위를 정하
는 능력 등의 기술을 말한다. 흥미롭게 생각할 만한 것은 이러한 조언
은 돈 보스코 자신이 수도회의 첫 번째 총회에서 원장들에게 이야기
할 때 나왔다는 것이다:
과거 두 가지 상황이 우리 수도회의 원활한 운영을 방해했다. 첫
번째가 인력 부족이었다. 이 때문에 업무량이 너무 과도한 나머지
원장은 수도원을 원활하게 운영할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은 점
차 개선됐지만, 아직 운영은 원만한 수준까지는 도달하지 못했다.
우리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원장은 관리자가 되어
야 한다. 즉 다른 사람들이 일하는 것을 지도하는 자이다. 원장은
직접 일에 관여하지 않고 감독하고 계획해야 한다. 그가 어떤 특
정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적임자를 찾을 수 없다면, 차선의 자격
128

13.10 Page 130

▲back to top
6. 평생 양성
을 가진 자로 만족할 것이며, 일이 잘되게 하려고 자기가 직접 뛰
어들려는 욕구을 억제해야 할 것이다. 원장은 모든 사람이 자신의
의무를 수행하도록 보살펴야 하지만, 그런 일에 절대 개입해서는
안 된다. 그렇게 할 때, 무언가 터득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믿
었던 것을 해낼 시간을 얻게 될 것이다(MB XIII 259).
원장 양성을 위한 108. 원장은 또한 많은 평신도와 살레시오 가족의 구성원들과 살레
관구 계획
시오 정신과 사명을 공유하고 있으며, 그 사명의 주체는 교육 사목 공
동체라는 것과, 이 공동체 안에서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가 활력을 주
는 핵심을 이룬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고 있다. 교육과 복음화는 청소
년들이 교회와 사회에서 자신의 자리를 차지하고, 사랑에 대한 성소
로 인생을 살도록 그들을 준비시키는 문제라는 것도 알고 있다. 그는
또한 오늘날 교육의 주체들이 많다는 것과, 그중에서 으뜸가는 것이
사회 홍보 수단과 디지털 세계라는 것을 너무도 잘 알고 있다. 이러
한 각 요인은 교육 공동체의 양성뿐만 아니라 자신의 양성에도 영향
을 미친다.
그러나 우리의 총회들은 원장들이 종종 봉사를 위한 사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며, 관구가 체계적으로 동반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인
정한다.100 제25차 총회 문헌 65항이 요청하고, 제27차 총회 문헌 69
항 10이 반복해서 요청한 바와 같이, 이것은 각 관구의 진지한 반성과
관구 또는 지구 차원에서 원장 양성에 관한 계획을 요구한다.
관구 차원에서 훌륭한 원장 양성 계획은, 주로 조직과 사업 문제에
만 집중되었던 원장 모임의 위험을 극복할 때, 질 높은 양성을 보장
한다. 원장 양성을 위한 소중한 도움은 지구 평생 양성 센터에서 얻을
수 있다. 네트워킹 및 자료 공유를 선호하는 디지털 기술은 원장 양성
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129

14 Pages 131-140

▲back to top

14.1 Page 131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원장 선임에
이르는 자문 및
식별 향상
109. 원장 임명을 위해 규칙에서 요청하는 자문(회헌 177조, 회칙
170조)은 관구장과 그의 평의회가 필요로 하는, 그 집의 필요와 새 원
장에 대한 기대에 관한 정보의 원천이다. 또한, 자문은 원장이 각 공
동체와 수도원의 우선순위와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채택할 수 있도
록 도와준다.
원장 매뉴얼의 개정을 고려하여 원장과 관구 평의회, 지역 공동체
및 개인 회원들 사이에서 2016년에 공유한 사항은, 원장을 임명하는
자문 방식과 아울러 식별을 개선하려는 욕구를 드러냈다. “원장을 임
명하기 전에, 좋은 공통 기준과 공동체의 상황 및 회원의 상황에 대한
더 깊은 인식을 기반으로 한 자문에 있어서, 더 나은 방법론이 필요하
다. 다른 사람들과 책임을 공유하고 위임할 수 있는 잠재적 후보자들
의 능력과, 그들의 지도 능력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101
찬가지로, 새로운 원장을 더욱 잘 준비시킬 것을 강조하면서, 지구 차
원에서 계획을 잘 수립하고, 특히 “회원과 협력자의 동반, 공동체 활
성화, 적극적인 경청, 영적 부성애, 변화와 과도기의 관리”102 등에 특
별히 집중하는 양성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측면들은 행정과 관리의
성격을 띤 다른 이슈들과 비교하여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모든
지구에서 원장에게 강력히 바라는 것은, 교육 사목 공동체와 협력하
며 일할 수 있는 능력이었다. “원장은 협력하며 공동체를 조정하고 활
력을 불어넣어야 하기 때문이다.”103
원장 양성, 주요
분야
110. 원장의 양성에 대한 관구 계획과 원장 자신의 개인 양성 계획을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주요 분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영성 생활: 원장의 수도 생활(살레시오 공동체 안에서 그리고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 봉헌된 살레시오 회원이요 교육자, 사
130

14.2 Page 132

▲back to top
6. 평생 양성
목자, 사제로서).
인간적 성숙: 자아 인식, 개인과 그룹, 팀, 공동체의 역동성을 이
해하고 지도하기 위한 심리적 요소, 인간관계의 요소와 관계 기
술, 강한 정신, 인내, 고독과 비난을 견딤, 까다로운 회원과 사
람들을 대하기 위한 양성, 회원들이 지적하는 특정 단점(권위주
의, 성직주의, 냉담한 관계, 편애, 개인적 관심사, 권력욕, 우유
부단, 리더십 부족)을 극복하기.
• 회원, 평신도와 청소년들의 영적 고무, 동반과 식별력 양성.
청소년 문화에 대한 일반적인 문화적 준비 및 지식.
축성 생활, 살레시오 정신, 사목, 신학.
살레시오 방식으로 권위를 행사하도록 양성: 친교, 공동 책임,
네트워킹, 협력, 계획적인 사고방식, 관구 계획과 조화, 신앙 교
육을 기본 목적으로 하는 사목적 차원의 고무.
고무와 통치의 방법론: 리더십, 팀워크, 소통을 위한 양성, 경청
(공동체, 사업, 교육 사목 공동체, 살레시오 가족 안에서), 단체
의 지도, 계획적인 사고방식, 친교와 공동 책임, 갈등 관리.104
• 지역 공동체와 관구 공동체에서 직면하게 될 문제와 상황에 따
른 특정 주제.
경제적 · 행정적 · 법적 문제.
131

14.3 Page 133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시 당국, 대중 매체 및 상호 작용을 해야 할 다양한 사회단체
올바른 관계.
• 형제 회원들, 평의회, 교육자들, 청소년들의 양성에서 지도자
가 되기 위한 준비.
• 행정 당국과 관련하여 관구가 지시한 프로토콜에 따라 특수한
상황(미성년자 보호, 정의 문제, 교회법상 절차, 불법적인 상
황에 직면하거나 축성 생활에 부적절한 태도를 지닌 회원…)
에 개입할 줄 알기.
관구 평의회의 111. 원장의 양성 및 동반에 대해 관구장과 그의 평의회에서 명심해
원장 양성과 동반
야 할 몇 가지 사항:
• 베키 총장이 제안하고 차베스 총장이 반복해서 언급한 세 가
지 중점 사항을 염두에 두고 원장을 임명할 때 자문에 대한
신중한 검토.105
• 적절하게 계획된 방문, 회의, 대화 등을 통해 관구장과 그의 평
의회의 동반과 친밀감.
원장 양성에 관한 관구 계획 세우기, 이와 관련하여 관구 간의
계획을 활용하기.
• 다양한 접근 방법(이론적 · 경험적…)을 이용하여 새로 임명된
원장 양성.
132

14.4 Page 134

▲back to top
6. 평생 양성
수도회
차원에서
• 관구 계획에 대한 참여 의식을 공유하고 강화하며, 일치와 공동
책임을 심화하고, 특정 문제에 직면하며, 함께 성찰하고 공동
방향을 확인하는 것 등을 위한 원장들의 정기 모임. 동시에 원
장들의 양성을 계획한다. 따라서 관구장은 이러한 모임이 업무
회의일 뿐만 아니라, 진정한 양성의 시간이 되도록 해야 한다.
• 원 장들을 위한 특별한 영적 양성 계획: 연례 피정, 피정, 살
레시오 영성의 날, 돈 보스코 성지순례, 이스라엘 성지에서
의 양성 경험.
• 매년 미성년자 보호를 위한 관구 지침을 알림.
온라인 자료의 홍보 및 원장과 관구 평의회 간 공유 시스템 구
축(이메일, 디지털 잡지, 메시지, 원장들의 SNS 그룹, 묵상 자
료 등).
원격 양성: 리더십, 계획적인 사고방식, 팀워크, 살레시오 사명
을 공유하는 평신도들과 공동 책임 등의 공동체적이며 사목적
인 고무 분야에서 초기 양성 중인 회원들, 특히 사제 지망자들
의 준비.
112. 수도회 차원에서 양성부는 www.sdb.org에서 원장 양성을 위한
온라인 자료(텍스트, 시청각, 하이퍼 링크 등)를 제공한다. 지구와 관
구 차원에서도 유사한 것을 제공할 수 있다.
133

14.5 Page 135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14.6 Page 136

▲back to top
Note
35 영적 체험, 형제애와 사명. 이 세 가지 차원은 축성 생활에 관한 교회
문헌들(「봉헌 생활」, 「권위의 봉사와 순명」)과 또한 제27차 총회의 성
찰을 구성한다. 우리는 이미 그것을 회헌에서 찾을 수 있다. “사도적
사명, 형제적 공동체 그리고 복음적 권고의 실천이 우리 축성 생활의
분리될 수 없는 요소들이며, 이들은 하느님과 형제들을 향한 동일한
형태의 사랑 안에서 나타난다.”(회헌 3조) 어쨌든 우리는 우리 삶의 강
력한 일치를 고려한다. 우리의 축성은 사명과 축성이 전부이고, 그것
이 서로를 정의하며 살레시오 생활 안에서 분리된 영역으로 축소될 수
없는 사도적 축성이다(CG22 20 참조).
36 F T 13항 가와 VFC 50항은 같은 것을 말한다. “축성된 사람들이 하느
님을 위한 전적인 봉사에 자신을 봉헌하였다면, 권위는 그들의 축성
을 증진하고 뒷받침해 준다. 어떤 의미에서, 권위는 ‘하느님의 종들의
종’으로 인식될 수 있다. 권위는 형제자매들과 일치하여 ‘무엇보다도
하느님을 찾고 사랑하는 형제적 공동체’(교회법 제619조)를 건설하는
것을 그 주요 임무로 삼는다. 그러므로 장상은 개인 생활과 관련하여
또 형제 생활의 발전을 위하여 언제나 영성의 수위성을 확신하는 사
람, 그 무엇보다도 영성적인 사람이어야 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장상은 각 개인의 마음속에서 하느님에 대한 사랑이 더 많이 증가하
면 할수록 그 마음들의 일치도 더 많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
다. 따라서 장상의 주요 임무는 영성적이어야 하며, 공동체와 그 공동
체의 사도직이 활성화가 되어야 할 것이다.”
37 CG27 2-3, 35-36; RdC 12.13.
38 FT 13항 나: “권위자들은 공동체에게 기도를 위한 시간과 기도의 질을
보장하도록 부름받았다. 조금씩 꾸준히 날마다 모든 사람의 노력으로
공동체가 하느님께 나아가고 있으며 축성된 이들이 하느님과 결합되
어 있으므로 서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공동체가 날마
다 기도에 충실한지 살펴야 한다.”
39 수도회는 살레시오 기도 생활에 대한 성찰을 제공하고 고무하기 위해
많은 힘을 쏟았다. 최근의 예를 들면, 양성 총평의원이 제공한 성찰,
‘기도로서의 삶’, ACG 421 32-42을 볼 것. 예를 들어 제25차 총회 문
135

14.7 Page 137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헌 26, 30–31항과 같은 문헌과 많은 분석은 우리 삶의 근본적 차원을
언급한다. 제27차 총회 문헌 1항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우리는 살레
시오 성덕으로부터 그리고 진실을 갈망하는 청소년의 갈증으로부터
자극받아 개인적으로 공동체적으로 우리 삶 속에서 하느님을 최우선
으로 모시기를 바란다. 우리는 그분의 말씀, 성사 그리고 이웃을 통한
하느님과 개인적인 만남만이 우리를 교회와 사회 안에서 의미 있고 진
정한 증거자가 되게 한다는 것을 더 깊이 인식하고 있다.” 동시에 한
계와 약점을 솔직하게 인정한다. “동시에, 우리의 신원과 활동이 항상
믿음 · 소망 · 사랑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으며, 모든 시
도가 하느님으로부터 시작해서 하느님께로 모두 돌아간다는 것을 분
명하게 드러내지 않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성체성사를 친교의 원천
이요 버팀목으로 여기지 않거나 그리 살지 않으며, 형제애를 조성하
고 강화하는 공동 기도를 너무도 쉽게 간과해 버린다. 축성 생활자라
는 우리 신원과 교육 사목적 사명을 다시 일깨워 주면서, 우리의 영적
뿌리에 관해 그리고 성소 동기에 관해 질문을 제기하는 이들은 다름
아니라 특히 아이들과 그 가정들이다.”(CG27 3)
40 돈 보스코의 시성 조사 과정에서 필립보 리날디 신부는 선서한 후에
오후 2시에서 3시 사이에 자주 깊은 기도에 잠겨 있는 돈 보스코를 발
견했다고 증언했다(MB XIX 400. MB III 31 e MB IV 187도 볼 것).
41 Fonti Salesiane, 1001; 1055-1058; 1070-1073; 1101-1103; 1144-
1146.
42 학생 조반니 아라타(1858–1878)는 다음을 볼 것.
http://www.donboscosanto.eu/oe/biografie_dei_salesiani_
defunti_negli_anni_1883_e_1884.php.
신학생 체사레 펠로소(1860–1878)는 다음을 볼 것.
http://www.donboscosanto.eu/oe/societa_di_san_francesco_
di_sales._anno_1879.php#_Toc228457543 {71} [39]}).
신학생 카를로 베키오(1844–1877)는 다음을 볼 것.
http://www.donboscosanto.eu/oe/societa_di_san_francesco_
di_sales._anno_1879.php#_Toc228457543 {37[5]}).
136

14.8 Page 138

▲back to top
Note
43 RdC 28-29; FT 19; CG27 45.
44 C 95, ACG 421 34-44.
45 C 45, CG26 55, 74-76; Ivo Coelho, Una rinnovata attenzione al
Salesiano Coadiutore, ACG 424.
46 F T 13항 마: “권위자들은 자기 수도 가족의 은사를 생생히 유지시키
도록 부름받았다. 권위의 행사는 또한 소속 수도회의 고유 은사를 위
해 헌신적으로 봉사하고 이 은사를 신중히 유지시키며 특히 총회(또
는 유사한 모임들)에서 제시된 계획과 방침에 따라 지역 공동체와 관
구나 수도회 전체에서 이를 실현시키는 일도 포함된다. 권위자들에게
요청되는 것은 수도회 은사에 대한 적절한 이해이다. 권위자들은 이
러한 이해를 통해 공동체 생활과 관련하여 또 교회와 사회 상황 안에
차지하는 공동체의 위치와 관련하여 이 은사를 더 잘 바라볼 수 있어
야 한다.”
47 “공동체를 빼앗기지 않도록 합시다!”(EG 92)라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외침은 다양한 문헌에서 표현된 교회의 깊은 갈망을 반영한다: 「공동체
의 형제 생활」, 「그리스도로부터 다시 시작하기」, 「권위의 봉사와 순명」,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공동체의 형제 생활」 54–57항, 「권위의 봉
사와 순명」 22항의 본문은 형제애를 쌓으려는 노력이 증거와 선교적
헌신으로 변모하도록 이런 형태의 삶을 신뢰할 수 있게 한다고 주장
하면서 형제 생활을 표현하는 구체적 방식을 언급한다.
48 FT 22; VFC 54-57을 볼 것.
49 제27차 총회 문헌(8–21, 39–51)은 우리의 형제 생활의 빛과 어둠에
대해서 말하고 적절한 활동 노선을 제안한다. 형제애의 예언을 실현
하기 위해 원장에게 다음의 특별한 지침이 제공된다. “원장은 중심이
되는 인물이다. 그는 관리자라기보다는 구성원들을 친교와 사도적 봉
사로 모으는 아버지다.”(CG27 51)
파스콸 차베스 총장은 제27차 총회 소집 서한에서 분명한 종합을 다
137

14.9 Page 139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음과 같이 제안한다. “우리 수도 생활과 살레시오 삶의 깊은 쇄신은
공동체 삶에서 형제애를 철저하게 쇄신하는 것으로 성취할 수 있습니
다. 여기에서 원장의 생동감 있고 현명한 공동체적 고무 그리고 개인
적인 동반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통해 형제 회원들의 성소 여정을
돕는 영적 권위자 역할을 지닌 원장의 고무와 통치 방식에 대한 각별
한 중요성이 등장합니다. 원장은 형제적 나눔과 공동 책임을 증진하
기 위한 가족적 분위기를 형성하는 일치의 실천적 권위, 우리 사명에
특성을 부여하는 교육과 복음화의 목표들을 향해 모든 사람 · 활동 ·
자원을 인도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사목적 권위, 필요한 결단을 내릴
줄 알고 그 실행을 보장할 줄 아는 권위의 역할을 수행합니다.”(ACG
413 36)
50 「공동체의 형제 생활」 50항, “일치에 이바지하는 권위는 참여와 공동
책임에 도움이 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모든 이가 모두의 일에 기여
하도록 권장하며, 회원들이 책임을 받아들이고 그 책임을 존중하도
록 격려하고, 그들의 인격을 존중함으로써 자발적 순명을 장려하며
(교회법 제618조), 그들의 의견을 기꺼이 듣고 수도회와 교회의 선
익을 위한 그들의 협동을 조장하여야 하며, 대화를 나누고 시의적절
한 만남의 기회를 마련하여야 하며, 어려울 때에는 용기와 희망을 주
어야 하고, 앞을 내다보며 사명의 새로운 지평을 가리켜 주어야 한
다. 더 나아가서, 그러한 권위는 공동체 생활의 여러 측면들 사이에
서, 곧 기도와 활동, 사도직과 양성, 노동과 휴식 사이에서 균형이
유지되도록 추구하는 권위이다. 장상의 권위는 수도원이 단순히 각
자 개인의 역사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모인 집단이나 그 거주지가 아
니라 참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적 공동체’(교회법 제619조)가 되
도록 노력한다.”
51 25차 총회 문헌 15항에서 제시하는 것이 여기서 유용할 수 있다.
“공동체는 공동 기도, 회합, 피정, 생활 성찰, 평의회, 오락 시
간, 공동체의 날과 같은 공동체 생활의 특별한 순간들을 배려
한다. 이들 안에서, 또한 적당한 방법을 통해서, 형제들이 다음
과 같은 것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 내적인 삶의 감각들이 가지고 있는 풍요로움을 드러낸다.
138

14.10 Page 140

▲back to top
Note
- 걱정거리와 문제들, 교육적이며 사목적인 계획과 활동들을
함께 나눈다.
- 경 청하고 대화하며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형제적
인 충고를 실천한다.”
파스콸 차베스 총장은 제27차 총회 소집 서한에서 공동체 안에서 형
제 관계를 조절하는 몇 가지 상황과 수도자로서 우리의 신원과 일치하
며 성숙한 방식으로 그것에 응답할 필요성에 대해서 말한다.
“공동체 삶과 공동 사명을 통해 실현되는 이러한 친교가 없는
살레시오 수도 생활은 상상할 수 없습니다. 형제애의 요구는 우
리가 같은 아버지의 아들들이며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라는 사
실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수도 생활은 똑같은 신앙과 동일한 삶
의 계획을 공유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진정한 가족을 만들어 냅
니다. 전형적인 살레시오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는 돈 보스코
께서 원하셨고 사셨던 것과 같은 가족정신을 만들어 내고 살도
록 부름을 받은 것입니다.
분명 다른 수도 생활의 영역과 마찬가지로, 공동체 생활에서도
몇 가지 위험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단순히 기능적
이거나 혹은 위계적이거나 또는 잘못된 민주적인 관계 양식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오히려 우리의 관계는 모든 것을 서로 나
눌 만큼 사랑하게 하는 형제적이며 우호적인 것이어야 합니다.
이러한 기준은 공동체가 친교로 자양분을 얻고 친교를 지향할
때 이것이 바르게 이해되고 살아간다는 것을 우리에게 보여 줍
니다. 친교가 받아들임, 인정과 존중 상호, 지원과 사랑에 대해
의미하는 모든 것임을 감안할 때, 친교가 없는 공동체는 사람
들이 맞붙어 있지만 사실 외톨이로 고립된 집단으로 격하되어
버립니다. 다른 한편, 수도 생활에 있어서, 공동체가 없는 친교
는 교활한 개인주의의 한 형태이기 때문에 자기도취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이며 따라서 모순입니다. 오늘날 수도자들은 영적
인 풍요로움, 인간적 자질, 각 구성원들의 사도적 임무 등이 삶
을 정말로 좋고 아름답고 행복하게 만드는 공동체를 이루기 위
하여 공동의 노력을 크게 기울여야 합니다. 다른 말로 해서 인
139

15 Pages 141-150

▲back to top

15.1 Page 141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간적 자질, 살아가는 영성, 사도적 헌신이 없다면 진정한 형제
애는 없는 것입니다.”(ACG 413, 2012, 34-35)
52 회칙 176조의 지침은 단순하고 분명하다. 교회는 권위의 봉사는 경
청, 대화를 위한 바람직한 분위기 조성, 공동의 임무에 공동 책임 의
식을 지닌 참여, 각각의 형제와 공동체 전체에 대한 관심, 공동체 식
별을 촉진하는 능력을 고무하도록 부름받았다고 말한다(FT 20 참조).
소통과 삶의 친교를 위해 중요한 차원을 덧붙인다. “물질적 재
화의 공동 사용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더 중요한 것은 재화
뿐만 아니라 개인의 타고난 재능과 역량, 직관, 영감을 공유하
는 것이고, 또 더 기본적으로 장려해야 하는 것은 영적 재화,
하느님 말씀, 믿음을 나누는 일이다. ‘우리가 핵심적이고 중요
한 것들을 더 많이 나눌수록 형제적 유대는 더욱더 굳건해진
다.ʼ(VFC 32)”(FT 20)
53 봉헌 생활의 해를 맞이하여 모든 봉헌 생활자에게 보내는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교서 4항(2014년 11월 21일).
54 G C27 13-17, 39-51, 70-71.
55 F T 25: “이 모든 것은 권위를 각자의 고유한 은사에 충실한 가운데
사명을 수행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일로 인정하여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단순한 일도 아니고, 어려움이나 모호함이 없지도
않다. 과거에 권위의 위기는, 주로 사람을 배려하지 않고 일 처리를
중시하는 권위자들에게서 비롯되곤 하였다. 오늘날의 위기는 오히려
다른 이들의 감정을 다치게 하는 데에 대한 지나친 두려움이나, 공동
목표를 향한 단합된 움직임을 약하게 하고 권위의 역할을 방해하는
단편적인 권한과 책임에서 비롯될 수 있다. 그러나 권위자들은
공동체를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사명과 관련된 여러 권한들을 조정할
책임이 있다. 따라서 그들은 역할들을 존중하고 수도회 내부 규범을
따른다.”
이 문헌은 권위를 행사하는 사람들이 염두에 두어야 할 다른 측면들을
140

15.2 Page 142

▲back to top
Note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가) 권위자들은 회원들이 책임을 맡도록 격려
하고 책임을 맡은 이들을 존중하여야 한다. 나) 우리가 친교의 정신으
로 다양성을 보도록 권유하여야 한다. 다) 축성 생활의 여러 차원들 사
이에 조화를 유지하여야 한다. 라) 자비로운 마음을 지녀야 한다. 마)
정의감이 있어야 한다. 바) 평신도와 협력을 촉진하여야 한다.
56 XV Assemblea del sinodo ordinario dei vescovi, I giovani, la fede
e il discernimento vocazionale, Instrumentum Laboris, (2018) 2;
cfr. CV capitolo 9.
57 CG26 34, 38, 43, 48, 106, 109.
58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 160–162. 제26차 총회는 “성소 사목의
필요성”에 대한 제안과 그에 대한 성찰 주제 중 하나를 할애했다. 그리
고 제27차 총회 문헌 75항 1은 우리가 모든 청소년에게 중요한 봉사
를 하도록 부름받았음을 상기시킨다. “동반의 기술을 배양하며, 살레
시오 회원과 평신도가 청소년의 영적 지도자로서 자질을 기르며, 성소
문화를 발전시키고 살레시오 봉헌 생활의 성소를 돌본다.”
59 FT 20항 나: 권위자들은 신뢰의 환경을 조성하고 개개인의 능력과
감수성을 인정하는 데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나아가 권위자들은
공동체가 참여와 이에 따른 정보를 필요로 한다는 신념을 자신의 말과
행동을 통해 조성하여야 한다.
권위자들은 경청뿐만 아니라 생각과 관점과 계획을 나누는 진솔하고
자유로운 대화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각자가 자신
의 참된 신원을 깨닫게 되고, 관계적 측면에서 자신의 자질을 향상시
킬 수 있다. 권위자들은, 풍성한 협력을 위한 최선의 방법을 모색하고
결정하며 실천하고, 함께 추진하는 과정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문
제들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기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이와 반대로,
걱정거리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요인들을 살피고, 될 수 있는
대로 더 많은 것을 공유하여 해결책을 제시할 줄 알아야 한다. 나아가
온갖 미숙한 모습을 극복하는 법을 찾고자 노력하고, 책임을 회피하
거나 중대한 임무를 기피하고, 자기만의 세계나 관심사에 스스로 갇혀
141

15.3 Page 143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버리거나, 고립된 자세로 일하려는 모든 시도를 지양하여야 한다.
60 「권위의 봉사와 순명」 20항에서 제시된 근본 지침은 다음과 같다. 대화
와 나눔과 공동 책임을 위해 바람직한 분위기 조성, 모든 이의 관심사
에 모두 이바지하도록 권장하기, 개인과 공동체를 위한 봉사.
61 V N 19-21, 41-45; VFC 47-53. 사명에 관해서 「권위의 봉사와 순명」
25항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오늘날 사명에 필요한 역량을 조정하는 임무에서 권위자들은
많은 도전에 맞닥뜨리게 된다. 이제 권위의 봉사에서 중요한 몇
가지 과제를 열거해 보고자 한다.
가) 권위자들은 회원들이 책임을 맡도록 격려하고 책임을 맡은
이들을 존중하여야 한다.
여러모로 책임감은 두려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권
위자들은 자기 협력자들에게 두려움과 포기하고 싶은 마음을
극복하고 어려움에 맞서는 그리스도인의 힘과 용기를 줄 필요
가 있다.
권위자들은 각자의 정당한 자율을 존중하면서 정보뿐만 아니라
책임도 함께 공유하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권위자
들은 인내를 가지고 조정하여야 하고, 축성된 이들은 성실하게
열린 마음으로 협력하려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권위자들은 필요할 때 ‘현존’하여 공동체의 회원들에게 미성숙
한 의존이나 자만이 아니라, 상호 의존하는 마음을 키워 주어
야 한다. 이러한 상호 의존은 각자 일하고 협력하며 서로의 일
을 대신할 수 있고, 누군가 나서지 않더라도 능동적으로 참여
하고 나름대로 기여할 수 있게 하는 내적 자유의 열매이다.
권위의 봉사를 실행하는 사람은 누구나 개인적 자만의 유혹에
빠지거나, 모든 것이 자신에게 달려 있다고 믿는다거나, 공동
142

15.4 Page 144

▲back to top
Note
체의 참여를 장려하는 일이 중요하지도 유용하지도 않다고 생
각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혼자서 두 걸음 이상을 가는
것보다 함께 한 걸음 내딛는 것이 더 중요하다.
62 이 원칙은 「살레시오 원장」 50–53(대화 속에서 참여를 촉진하고 책임
을 공유하는 권위), 163–167(참다운 공동 책임의 분위기)와 133–156
(공동 책임과 사목 조정)에 설명되어 있다. 제24차 총회 문헌 106–148
항은 임무 영역으로서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영입의 확대, 공동 책임
의 증진, 커뮤니케이션 활용.
63 이와 관련하여 특히 「사랑의 기쁨」 제7장에서 소개하는 교육 전망을
보는 것은 중요하다. 그것은 모든 형태의 리더십, 특히 권위의 봉사를
수행하는 방식에서도 교육자이며 사목자가 되도록 부름받은 우리 살
레시오 회원에게도 영감의 원천이 된다. “만약 성숙이 단지 우리 유전
자 정보에 이미 담겨 있는 것의 발전을 의미한다면, 우리가 할 수 있
는 것이 별로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신중함과 올바른 판단과 올바른
지각은 단지 양적인 성장 요소들에만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인격적 내면 안에서, 더 정확하게는 그 자유의 핵심에서 종합을 이루
는 요소들의 전체적인 연결 고리에 달려 있습니다. 모든 자녀가, 이
러한 자유에서 생겨난 상상을 초월하는 계획으로 우리를 놀라게 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바람직합
니다. 교육에는 올바른 감각과 지성으로 문제들에 대처할 수 있도록,
책임 있는 자유를 증진시키는 것도 포함됩니다. 여기에는 또한 자신
의 삶과 공동체의 삶이 자신의 손에 달려 있고, 자유는 그 자체로 위
대한 선물이라는 것을 기꺼이 이해하는 사람을 양성하는 것도 포함됩
니다.”(AL 262)
64 XV Assemblea del sinodo ordinario dei vescovi, I giovani, la fede
e il discernimento vocazionale, Documento finale(2018) 73-76.
65 F T 20항 마 참조: 참되고 적절한 식별은 가장 중요한 결정들을 내릴
때 필요하지만, 식별의 정신은 공동체의 모든 결정 단계에 특징이 되
어야 한다. 무엇이 옳고 무엇이 하느님 마음에 드는 것인지를 함께 식
별하는 일련의 중요한 선별 과정과 더불어 개인 기도와 성찰의 시간
143

15.5 Page 145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이 모든 결정에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식별을 위해서는 다
음과 같은 마음가짐들이 필요하다.
- 성경에서 그리고 수도회 은사의 역사 속에서 드러나는 하느
님의 활동 방식에 자신을 내어 맡기고, 복음의 논리는 흔히 성
공과 효율성을 추구하고 인정받고자 하는 인간의 논리와는 ‘정
반대’라는 인식을 가지고, 하느님의 뜻만을 찾겠다는 결심.
- 각 형제자매 안에 부분적이나마 진리를 발견하는 역량이 있
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리하여 하느님의 뜻을 함께 발견하는 길
로서 각 형제자매의 의견을 환영하는 개방성, 곧 자신의 생각보
다 더 나은 다른 이들의 생각을 인정할 줄 아는 개방성.
- 시대의 징표, 사람들의 기대, 가난한 이들의 요구, 복음화에
대한 강한 필요성, 보편 교회와 개별 교회의 우선 과제, 총회 대
의원들과 상급 장상들의 지시들에 주의하는 자세.
- 편견, 지나친 고집, 완고하거나 왜곡된 인식의 틀, 다양한 견
해를 묵살하는 강한 입장들에서 벗어난 자유.
- 새로운 관점에 언제나 열려 있고, 자기 자신의 견해를 바꿀
수 있는 자세를 지니고, 자기 생각의 기반을 확고히 다지려는
용기.
- 어떤 경우든 최종 결정이 무엇이든 일치를 유지하려는 확고
한 의지.
66 「살레시오 원장」 247–265는 수도회의 시작부터 살레시오 생활에서
면담의 역사를 소개하고 있고 면담에 관한 위기 상황과 쇄신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많은 구체적인 지침들을 제공한다. 제25차 총회 문헌 65
항과 제27차 총회 문헌 42항은 살레시오 고무 수단을 재발견하도록
우리를 초대한다. 이 주제에 관한 유효한 연구는 피에트로 브라이도
신부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피에트로 브라이도, Maturare in dialogo
fraterno. Dal rendiconto di don Bosco al colloquio fraterno, LAS,
144

15.6 Page 146

▲back to top
Note
Roma 2000.
67 Marco Bay, Giovani salesiani e accompagnamento – risultati di
una ricerca internazionale, LAS, Roma 2018.
68 경청의 태도에 관한 「권위의 봉사와 순명」 20항 가)의 제안은 원장과
의 면담에 적용될 수 있다.
경청은 특히 소외되어 있다고 느끼거나 관심이 필요한 이들을
위해 언제든 준비되어 있어야 하는 장상의 기본 직무 가운데 하
나이다. 사실, 경청은 상대방을 조건 없이 받아들이고 자기 마
음속에 그를 위한 자리를 마련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경청은
애정과 이해를 전달하고, 상대방을 인정하고 그의 존재와 견해
를 존중한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 준다.
모든 지도자는, 자신의 형제자매에게 귀를 기울이지 않는 사람
이라면 하느님께 귀 기울이는 법도 모른다는 것을 기억하여야
하고, 주의 깊은 경청을 통해 성령께서 공동체에 주신 힘과 선
물들을 더 잘 조정할 수 있고 결정을 내릴 때 회원들의 한계와
어려움을 참작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여야 한다. 경청을 위
한 시간은 결코 낭비하는 시간이 아니다. 경청을 통해 흔히 개
인과 공동체 차원의 위기와 힘든 시기를 예방할 수 있다.
69 「살레시오 원장」(1986) 264: 원장과의 다정한 대화는 그 본질상 엄
중한 비밀과 기밀을 요구한다. “원장은 어떤 회원이 가지고 있을 수
도 있는 결점을 절대 다른 이들에게 말해서는 안 되며, 설사 다른 이
들이 다른 경로를 통해 이미 알고 있더라도 말해서는 안 된다. 원
장은 자신에게 아랫사람이 털어놓은 내용에 대해 비밀을 지킬 것
임을 분명히 밝히라. 사소한 비밀 누설 때문에 그들이 원장에게 보
여 주었던 신뢰가 약화되거나 심지어는 완전히 파괴될 수도 있다.”
(알베라 총장의 원장 매뉴얼, 131)
원장 고유의 직무상 관구장에게서 어느 회원에 대한 의견을 요구받을
수도 있는데, 그런 경우 여러분은 필요한 정보를 객관적이며 책임 있
145

15.7 Page 147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게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그것은 오로지 해당 회원의 외적 행동에 관
한 것이라야 하며, 다른 사람들이 그에 관해 말하는 내용에 관한 것이
라야 한다. 개인적 대화에서 알게 된 속 이야기에 대해서는 철저히 비
밀을 지켜야 한다. “아무것도, 절대로,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nihil,
nunquam, nulli).”
70 Marco Bay, ibid., 63, 98, 146, 201, 297, 319, 408.
71 「권위의 봉사와 순명」(FT) 13항 사: 권위자들은 계속 교육의 여정에
함께하도록 부름받았다. 오늘날 권위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임무는 그
들의 온 생애를 통해 보살피도록 부름받은 사람들의 동반자가 되는 일
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제들을 해결하거나 위기에 대처하는 데에 도움
을 줄 뿐만 아니라, 각자 삶의 모든 단계와 시기에 정상적으로 성숙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 “세월이 흘러도 살아 있는 젊음의 정신”(VC
70)을 보장하고, 봉헌된 이들이 “예수 그리스도께서 지니셨던 바로 그
마음을”(필리 2,5) 더 닮을 수 있게 하여야 한다.
72 이것은 살레시오회 여러 문헌에서 다루어진 문제이다: 『살레시오 원
장: 지역 공동체 고무 및 통치 직무』 265–278항에서는 돈 보스코와
살레시오 전통의 경험을 기억하면서 초기 양성과 평생 양성 모두에 필
요한 영적 동반과 영적 지도를 위한 몇몇 예시를 제공한다. 『돈 보스코
의 살레시오 회원들의 양성』 260–263항에서는 살레시안의 삶에서 영
적 동반과 영적 지도의 특징들을 제시한다.
73 ACS 244 97의 참고사항과 FSDB 292 그리고 Young Salesians and
Accompaniment: Orientations and Guidelines(2019) 197을 보라.
74 개인 생활 계획, 성덕을 향한 창조적 충실성의 여정(2003)에 관한 양
성부의 미출판 서적 해설을 볼 것. Roggia의 기고는 매우 유용하다.
Giuseppe M. Roggia, Il progetto di vita personale, in Formazi-
one affettivo-sessuale. Itinerario per i seminaristi e giovani con-
sacrati e consacrate, ed. P. Gambini, M.L. Llanos e G. M. Rog-
gia, EDB, Bologna 2017, 341-347.
146

15.8 Page 148

▲back to top
Note
75 F . Cereda, Il progetto della comunità salesiana. Processo di dis-
cernimento e di condivisione, Lettera agli Ispettori e ai loro Con-
siglieri e Delegati per la Formazione, Roma 13/10/2002. 제25차
총회 문헌 72–74항은 공동체가 일정과 연중 행사 계획표 작성에 제
한된 계획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공통의 전망과 같은 목표를 공유
하도록 초대한다.
공동체는 계획적인 사고에 따라서 일하는 능력을 기른다:
● 형제들 사이에서 공동체 계획에 대한 비전 공유를 발전시키
고 받은 선물과 특성을 발견하고 가치를 인정하도록 각자를
도와준다. 공동체는 그의 풍요로움과 한계들을 인정하면서
모든 형제를 받아들이고 그들 각각에 대한 상호 책임의 역
할을 결정한다.
● 형제들의 삶으로부터 출발하는 공동체 과정으로서의 계획을
충실히 산다. 목표는 계획의 최종 문서가 아니라 전망, 가치,
형제들을 함께 살고 함께 일하게 하는 열망들에 대한 지속적
인 평가에 특히 영향을 준다.
● 대화(형제들의 회합, 지역 평의회), 하느님의 뜻(기도의 순
간, 렉시오 디비나를 통한 하느님 말씀을 경청하고, 교회의
가르침과 수도회의 가르침을 비교하면서)을 식별하는 순간
들을 증진시키면서, 유기적인 관구 계획(Progetto Organico
Ispettoriale)의 조화 속에서 모든 공동체는 매년 계획의 여
정을 공유하고, 계획을 수립하고 검증한다.
● 특히 다음 차원에 대해서 질문한다. 오늘 우리는 지역 공동
체로서 어떤 사람들이 되기를 원하는가? 지역 공동체로서
우리는 어떻게 살레시오적이고 수도자적인 방식으로 현존
할 수 있으며, 어떻게 교육 사목 공동체를 고무할 수 있으
며, 복음적으로 증거할 수 있는가? 공동체를 위해서 어떤 구
체적인 결과들이 도출되는가? 우리는 지금 무엇을 선택해
야 하는가? 우리에게 어떤 개인 양성과 공동체적 양성이 필
요한가?(CG25 73)
147

15.9 Page 149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76 위의 책.
77 「공동체의 형제 생활」(VFC) 32항: 영적인 선물을 주고받고 함께 나
눌 수 있는 길은 많이 있다. 이미 언급한 것들(하느님의 말씀, 하느님
체험, 공동체적 식별, 공동체 계획 등) 이외에도, 우리는 형제적 교정,
생활의 반성과 다른 형태의 전통들을 상기하여야 한다. 이는 세상 안
에서 공동체의 건설과 그 사명을 위하여 성령께서 그토록 풍부하게 내
려 주시는 선물들을 공동체 안에 쏟아붓고 또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하
고자 그 선물들을 내놓는 구체적인 방법이다.
「권위의 봉사와 순명」(FT) 13항 사(권위의 봉사를 하도록 불린 사람
은 평생 양성의 여정을 동반하도록 부름받았다.): 따라서 각자의 마음
속에 배움에 대한 열린 자세와 삶에서 배울 수 있는 자질을 높이는 것
은 권위자의 책임이다. 특히, 다른 사람들에게서 기꺼이 배우려는 자
유로운 마음을 존중하고, 각자 다른 이의 성숙에 책임이 있음을 자각
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동체 안에서 전통적으로 이어져 오고, 오
늘날 영성 교육 분야에 경험이 풍부한 이들이 특별히 권장하는 성숙의
수단을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수단에는 말씀의 나
눔, 개인과 공동체의 계획, 공동체적 식별, 생활의 반성, 형제적 교정
등이 있다.
78 “권위는 친교 · 일치의 봉사가 되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형제자매
들이 의식적으로 책임감 있게 충실하도록 동반하는 참된 직무가 되어
야 합니다. 사실 형제자매들 사이의 토론과 각 개인에 대한 경청은 권
위의 봉사를 복음적이게 하는 필수 요소입니다.”(VN 41)
79 젊은이를 위한 세계주교대위원회 15차 일반총회, ‘젊은이, 신앙과 성
소 식별’(2018) 118과 교황청 국제신학위원회, 「교회의 삶과 사명에서
의 공동합의성」(2018. 3. 2.) 9, 64.
80 회헌 179,180,186조를 볼 것.
81 C G27 15, 70.2, 88c.
148

15.10 Page 150

▲back to top
Note
82 앙헬 페르난데스 아르티메 총장이 제28차 총회 소집 서한의 세 번째
부분에서 평신도들과의 사명 공유에 관해 강조한 부분을 참조할 것
(ACG 427).
83 C 45, CG26 76, ACG 424.
84 수도회 여정에 대한 보고와 제27차 총회 문헌 28, 69항 7과 먼저 제
21차 총회와 제26차 총회에서 요청한 주제에 관한 성찰에 대한 총장
서한을 볼 것. Ivo Coelho, Una rinnovata attenzione al salesiano
coadiutore, ACG 424 65-75. 유일한 살레시오 성소를 사는 두 가지
방식과 있는 그대로 자신의 성소를 사는 각 형제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원장이 염두에 두어야 할 기본 지침에 대해서는 『살레시오 원장』
169–171을 참조할 것.
85 “초기 양성의 전 과정에서는 면학과 함께 우리 사명의 사목 활동에 비
중을 둔다. 교육적이며 사목적인 경험을 통하여 살레시오 활동을 실제
적이며 본격적으로 접해 보는 기간이 실습기이다. 이 기간에 젊은 회
원은 예방교육의 실천, 특히 살레시오회의 아시스텐자를 익힌다. 실습
중에 있는 회원은 원장과 공동체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활동과 성소의
가치를 자신 안에서 종합한다.”(C 115; R 86, 96 참조)
86 V C 44, VFC 63, VN 47을 볼 것.
87 C G26 34, CG27 69.4.
88 ACG 377 8. 수도회의 노인과 질병을 앓는 형제들에게 특별히 헌정된
G. Basañes 신부의 편지도 참조할 것.
89 F. Cereda, Indagine preliminare: note per il discernimento, ACG
425 (2017) 22-24. 관구장들에게 보낼 안내 자료에 언급된 체레다 신
부의 문헌을 볼 것.
90 CIVCSVA, Linee orientative per la gestione dei beni negli Istituti
149

16 Pages 151-160

▲back to top

16.1 Page 151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di vita consacrata e nelle Società di vita apostolica, LEV, Città del
Vaticano 2014, 12.
91 C IVCSVA, Ibid. 10.
92 V C 69-71, VN 16-35; RdC 15: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는 남녀 축
성 생활자들의 양성 문제를 전반적으로 재고해 보도록 요구한다. 양성
은 인생의 어느 한 시기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다. 그것은 축성 생활자
들이 흔히 일정한 틀이 없이 변화하는 현실 안에 더욱 잘 통합되도록
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더 중요하게는 축성 생활 자체가 본질상 그
러한 삶에 부름받은 이들의 꾸준한 개방성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사실
축성 생활 자체가 “그리스도의 자세에 점차 동화되어 가는 도정”(VC
65)이므로, 그러한 길은 일생 동안 지속되며 온 마음과 목숨과 정신
을 다하도록 요구한다(마태 22,37 참조). 그렇게 함으로써, 축성 생활
자들은 인류를 위하여 성부께 자신을 내어 놓으신 성자를 닮게 된다.
이렇게 이해될 때 양성은 단순히 서원을 준비하는 교육 기간이 아니
라 축성 생활에 대한 신학적 사고방식을 뜻한다. 축성 생활은 그 자체
로 “성령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마음속에 성자의 내적 자세를 형성시
켜 주시는 성부의 일에 동참하는”(VC 66) 끝없는 양식이다. 따라서
모든 축성 생활자는 일생을 통하여 자유롭게 배울 수 있도록 양성되
는 것이 중요하다. 곧, 그들은 나이와 시기에 상관없이 모든 인간 환
경과 배경에서, 모든 사람과 문화에서, 그들을 둘러싼 진리와 미의 요
소들에서 기꺼이 배움을 얻을 수 있도록 마음을 열어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축성 생활자들은 죽을 때까지 일상생활에서, 그들의 공동
체와 형제자매들에게서, 평범하거나 특별한 일상사들에서, 기도와 사
도직 활동에서, 그리고 기쁨과 고통에서 배움을 얻을 줄 알아야 한다.
93 『양성 지침서』 12장 외에도, 총장서한 416호 3–56과 총장서한 425호
25–37에서 제공한 지침을 참고할 것.
94 C G25 49-54, CG27 7-8, 36, ACG 425 25-38.
95 F SDB 543, 553. FSDB 543항은 지역 공동체에서 평생 양성을 돕기
150

16.2 Page 152

▲back to top
Note
위한 몇 가지 제안을 제공한다.
공동체를 진정으로 평생 양성의 장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방편들 몇 가지가 여기 있다.
- 공동체 안에 개인과 공동체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생활 및 활
동 양식과 분위기를 조성한다. 가족정신은 다른 사람들을 만날
마음을 갖게 하고, 기꺼이 경청하고 대화하게 하며, 모든 사람
들의 경험에서 끌어내어 함께 추구하고 식별하는 의식을 조성
하며, 일상의 경험을 통해 배우게 한다. 신앙과 기도의 분위기
는 내적 동기들을 강화시켜 철저한 복음적 방식으로 사도적 관
대함을 지니고 신앙과 기도를 실천하게 한다. 활동 자체, 공동
체와 사목 계획, 평가를 잘 편성하면 살레시오 회원 스스로가
자신의 수도 생활 태도 및 활동 방법을 수정할 수 있도록 고무
하며, 또한 자신의 생활과 사명에 있어서도 질을 추구하도록 그
를 고무시킨다.
- 평생 양성을 장려하기 위해 공동체 생활이 제공하는 모든 순
간 · 수단 · 측면들을 활용한다. 묵상, 영적 독서, 저녁말씀, 월
례 피정과 분기 피정과 같은 공동체 기도의 순간들, 평가와 참
여와 공동 책임의 순간들(특히 공동체의 날을 비롯한). 관구 공
동체와 수도회와의 커뮤니케이션과 관구 공동체 및 수도회에서
오는 권고와 지침에 대한 수용. 정보, 잡지, 최신 도서.
- 평생 양성 연간 프로그램 마련.
-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 반성, 계획과 평가, 다른 살레시오
가족 구성원들과 함께하는 활동을 통해 양성이 이뤄지게 한다.
- 어려움에 처한 이들에게 쇄신과 시대 적응을 위한 특별한 순
간들이나 프로그램(창의적 활동, 경험, 강좌 등)에 참석할 기회
를 제공한다.
96 XXV assemblea ordinaria del sinodo dei vescovi, I giovani,
la fede e il discernimento vocazionale, Instrumentum Laboris
151

16.3 Page 153

▲back to top
제2부
살레시오 원장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내에서의 원장
(2018) 34-35; 57-58.
97 C G24 13, 55, 101, 103, 136-148, CG25 26, 31, 39, 46, 50, 57, 60,
70, 80, CG26 10, 11, 24, 38, 39, 49, 68, 101, 111, CG27 15, 67,
71, 제28차 총회 소집 서한 2.3.3 살레시오 회원과 평신도의 공동 양
성, ACG 427 27-28. 제27차 총회에 관한 성찰을 해석하는 일곱 번
째 키워드인 ‘사명 공유의 절박함을 평신도와 함께’에 관한 제27차 총
회 폐막식에서 앙헬 페르난데스 아르티메 총장이 한 연설을 참조할 것
(ACG 418 129-130).
98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 125: 내용이라든가 기술이나 기교를 습
득하는 데만 초점을 맞추는 양성 프로그램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드
러났다. 교육자가 자신의 전 인격체로 교육 사명에 몰두하는 것이 중
요하다는 것을 점점 더 확신하게 된다. 소통 능력과 교육은 교육자 자
신의 정체성에 확고히 뿌리를 두고 있어야 하고, 진정한 개인적인 여
정에 속해야 한다. 모든 정보를 소유하고, 가장 현대적인 방법론과 교
수 계획을 모두 통달하고 모든 자료와 전문적인 접근 방법을 갖는 것
은 가능하지만, 그것으로는 충분하지가 않다. 살레시오 교육자의 전문
적인 훈련 과정은 궁극적으로 교육자 자신의 정체성과 증거의 은사가
제 역할을 하게 만든다. 교육자는 청소년들이 교육자의 개인적인 성장
과정을 모방함으로써 동일시하는 모델이다. 교육 봉사로 부르는 성소
는 자신의 확고한 신념과 동기, 기대 등에 관해 자신에게 질문을 던질
수 있는 능력과 남의 질문을 허용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자기 인
식은 두려움을 없애 주고 자신의 정체성을 강화해 준다.
99 「사랑의 기쁨」 제7장 “자녀 교육의 강화”를 참조할 것.
100 C G25 54, 64, 65 e CG27 14, 51.
101 2017년 5월 26일부터 31일까지 원장 매뉴얼 개정 작업을 위해 로마
에서 개최된 두 번째 국제 세미나에서 소개된, 지구에서 수집한 자
료에서 인용.
152

16.4 Page 154

▲back to top
Note
102 위의 자료.
103 위의 자료.
104 이러한 맥락에서 『돈 보스코 전기』(MB XIII 258)는 유익하다. 제9차
총회(1902) 동안 돈 루아가 원장들에게 했던 권고, 미켈레 루아 신
부가 회원들에게 보낸 회람 서한, Direzione Generale delle Opere
Salesiane, Torino 1965, 323-325; 제21차 총회 문헌(1978) 원장에
관한 부분(46–57)과 CEP(63–67)에 관한 부분 참조,
105 A CG 372 30-31; CG27 80.
153

16.5 Page 155

▲back to top
살레시오 원장

16.6 Page 156

▲back to top
머리글
제3부: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거대한 마음은
마치 바닷가
백사장의
모래알 같다.
155

16.7 Page 157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바다, 배, 그물…. 베드로의 고기잡이는
그의 부르심 초반에 일어난 일이고,
같은 갈릴래아 호수에서 부활하신 예수님이
수많은 양 떼를 돌보라고 그에게 요청하신
그 일도 새로운 시작이 되었고,
그때부터 우리도 그 양 떼에 포함되었다
(요한 21장 참조).
살레시오 사명의 공유는 계속해서 성장하는
하느님 나라에서 폭넓은 지평과 신뢰를
지니라고 요구한다.
원장이 고무하는 살레시오 공동체는
다른 많은 이들과 청소년들로부터 시작한
하느님 나라의 단순한 도구이다.
하느님의 성령께서는 살레시오 공동체 안에서,
교회의 안팎에서 현존하시며 활동하신다.
156

16.8 Page 158

▲back to top
7. 교육 사목 공동체
교육 사목 공동체와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성찰
의 결과
113. 교육 사목 공동체와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은 『살레시오 청소
년 사목 기틀』에서 광범위하게 제시되고 논의되었다. 거기에 언급된
모든 것을 되풀이하지 않고, 우리의 목표는 오늘날 원장과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가 교육 사목 공동체 내에서, 살레시오 사도적 계획을 수
행하도록 부름받았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이다.106
7.1 교육 사목 공동체와 교육 사목 계획
7.1.1 오늘날 예방교육의 이해
살레시오 사명의 114. 살레시오 사명의 주체는 교육 사목 공동체이다. 회헌 47조는 다
주체는 교육 사목
공동체이다
음과 같이 말한다. “우리는 우리의 사업 안에 교육적이며 사목적인 공
동체를 구현한다. 이 공동체는 가족적인 분위기 안에 청소년들과 성
인들, 부모와 교육자들로 이루어지며, 하느님의 계획이 계시되는 교
회를 체험하게 한다. 우리 일에 참여하는 평신도들은 이러한 공동체
안에서 그들의 경험과 생활양식을 바탕으로 독특한 공헌을 한다. 우
리는 그들의 협조를 받아들이고 격려하며 그들에게 살레시오 정신을
알고 연구하며 예방교육을 보다 긴밀히 나누도록 초대한다. 우리는
그들 각자의 영적 성장을 촉진한다….”
관구의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과 일치하는 지역 살레시오 교육 사
목계획을 작성하는 것은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이다(회칙 4조).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과 교육 사목 공동체는, 특히 제2차 바티
칸 공의회 이후로 수도회가 수행해 온 쇄신에 따라, 오늘날 예방교육
을 이해하고 생활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제21차 총회에서 최초로
제안된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과 교육 사목 공동체는, 제22차 총회
에서 회헌과 회칙의 승인에 의해 인가되었으며, 제24차 총회에서 더
157

16.9 Page 159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자세히 설명되고 이해되었다.
제24차 총회, 제2
차 바티칸 공의회
후 살레시오 가르
침의 핵심인 ‘친교
의 교회론’에 대한
우리의 카리스마
적 응답
115. 살레시오 회원과 평신도, 돈 보스코의 정신과 사명 안에서 일치
와 나눔이라는 제목 자체가 전체 프로그램을 담고 있는 제24차 총회
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친교의 교회론’에 대한 우리의 카리스마
적 응답인 공의회 이후 살레시오 가르침의 핵심이다. 이 총회는 과거
까지 거슬러 가 그동안 이루어졌던 것 중 최선의 것을 수집하고, 미래
로 확대하여 사도적이고 공동체적인 사고와 행동의 새로운 모델을 제
공한다. 이러한 새로운 스타일의 두 가지 주요 요소는 사명에 참여하
는 사람들(CEP)과, 그들이 공유한 계획(PEPS)이다. 이것들에 대해,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은 매우 흥미 있는 두 장을 할애한다. 즉
교육 사목 공동체에 관한 5장과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에 관한 6장
이다. 영적이며 교육적인 경험으로서 예방교육에 관한 4장과 함께, 이
장들은 오늘날 우리의 카리스마의 근간을 형성한다.
쇄신의 뿌리는 이미 모두 돈 보스코 안에 있다. 돈 보스코는 청소
년들을 교육하고 복음화할 사명을 지닌 사람들의 거대한 운동을 시작
했다. 동시에 이 총회는 또한 새로운 출발점이자 뒤돌아갈 수 없는 지
점이지만, “현재 조건에서 실행 가능한”(CG24 39) 유일한 활동 모델
이다. 안타깝게도 앙헬 페르난데스 아르티메 총장이 제28차 총회 소
집 서한에서 언급한 것처럼, 제24차 총회는 수도회 안에서 고르게 받
아들여지지 않았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제안한 친교로서의 교회
의 모델에 상당한 저항이 있었다(ACG 427 23-31).
7.1.2 예방교육의 토착화 필요성
다양한 상황에서 116. 예방교육의 현대적 이해와 실현은 그것의 토착화로 이루어진다.
실현된 하나의 사명
수도회는 점차 다양한 상황을 인식하기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인식이
158

16.10 Page 160

▲back to top
7. 교육 사목 공동체
항상 그 사고방식과 결과로 즉시 전환되지는 못했지만, 이러한 환경
아래 전 세계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제24차 총회 최종 문헌의 시작 부분의 멋진 본문으로 시작해 보자.
사명은 유일한 것이지만, 그것의 실현은 청소년들이 살아가고 있
는 상황, 역사적·지리적·종파적·문화적인 맥락만큼이나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실현된다.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은 모든 지
역과 문화적 상황 아래서 동일한 사명의 역사적인 매개체이고 실
질적인 도구이다. 그러므로 이 계획은 기술적인 차원의 것이 아니
라, 끊임없이 자신을 소환하는 문화적인 지평이고 카리스마의 토
착화를 위한 필수 조건으로서 요구된다. 이 계획은 모든 살레시오
사업 안에서 교육 사목 공동체라고 부르는 공동체에 의해서 작성
되고 실현된다. 이 공동체는 청소년들, 특히 더 가난한 청소년들
을 위해 교육하고 복음화 하는 사람들(청소년과 성인, 부모와 교
육자, 수도자와 평신도, 교회와 사회의 다른 단체들의 대표, 다른
종교를 믿는 이들, 선의의 남녀)의 총체이다(CG24 5).
세상을 위해 교회 안에 일어난 살레시오 카리스마는 청소년들과
서민들을 위한 봉사의 가능성을 표출하기 위해 다양한 문화 상황
안에서 육화되어야 한다. 이것이 다양한 문화들과 만나면서 활력
을 보여 주고 새롭고 풍부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CG24 6).
예방교육의 토착화 117. 제24차 총회에 의해 열린 이 창은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
에 대한 기틀
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채택되고 확인된다:
레시오의 사명은 하나이다. 이 사명은 복음화와 교육으로 이
뤄지며, 삶의 충만함과 인간의 행복은 모든 사람을 위한 하느님
의 계획이며, 모든 인간의 소명은 사랑하고 자신을 내주는 것임
을 확신한다(QdR 51–53, 2018 시노드 의안집 참조).
이 사명은 다양한 문화와 종교적 전통에 뿌리를 내릴 수 있다.
159

17 Pages 161-170

▲back to top

17.1 Page 161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실제로 예방교육은 다문화 및 다종교 상황에서 여러 대륙에 뿌
리를 내렸다(QdR 79).
육 사목 공동체는 교육 사목 활동의 주체이자 대상이다(QdR
108).
교육 사목 공동체는 새로운 구조나 단순히 우리의 사업을 조직
하는 하나의 방식이 아니라 살레시오의 고무 방식이다. 이것은
교육이 공동체 내에서, 중요한 관계의 네트워크 내에서 이루어
진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한다(QdR 109).
교육 사목 공동체는 동심원으로 이뤄진 공동체로서, 청소년들이
중심을 차지하고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가족, 다양한 역량을 지닌
평신도, 살레시오 가족 구성원들이 동심원을 이룬다(QdR 110).
교육 사목 공동체는 살아 있는 교회 체험이다. 예방교육은 개인
적인 것이며 동시에 교육 사목 공동체의 교육 모델을 언급하지
않고서는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예방교육 그 자체도 친교의 심오
한 표현이 된다. 그렇지 않으면 교육 효과를 잃어버리게 될 것이
다(회헌 44–48조, 회칙 5조, QdR 108).
살레시오 교육 사 118. 분명히, 교육 사목 공동체는 특정 환경에서 살아 있는 교회 체험
목 계획: 살레시오
카리스마와 사명의 이 된다. 이 공동체는 모든 사람에게 개방된 공동체며, 지역 교회와 청
토착화를 구현하기
위한 도구
소년의 선익을 위해 일하는 이웃의 모든 단체와 협력하는 공동체이다.
이 공동체는 그리스도교가 우세한 상황, 그리스도교 이후의 상황, 그
리고 다종교적이고 다문화적인 상황 속에 존재한다. 어떤 곳에서 이
공동체는 그리스도교인인 평신도 협력자들로 주로 이뤄져 있으며, 반
160

17.2 Page 162

▲back to top
7. 교육 사목 공동체
면 다른 곳에서는 다른 문화와 신앙에 속한 많은 사람이 존재할 것이
다(QdR 113).
제24차 총회 문헌 184항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다양한 상황과 문화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계획안에서 우
리와 다른 신앙을 가진 평신도들을 우리와 협력하도록 초대할 수
있다. “돈 보스코의 교육학적 방법의 초석인 종교의 초월적인 측
면은 모든 문화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교가 아
닌 종교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청소년의 아버지Iuvenum
Patris」 11) 최초의 복음화가 이루어지는 그 지역에서는 돈 보스코
의 경험을 온전히 살 수 있고, 그의 예방교육과 사도적 정신을 온
전히 제시할 수 있다면, 가톨릭 교회에 속하지 않은 평신도들과도
함께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을 것이다.”(제24차 총회에 보낸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메시지)
모든 특별한 상황에서, 교육 사목 공동체는 복되신 삼위일체인 사
랑의 공동체를 반영하는 친교의 체험인 교회의 현존을 드러낸다.
제21차 총회는 “우리가 일하고 있는 다양한 상황 속에서 그 운영
자, 내용, 목표, 스타일 및 수단과 더불어” 예방교육을 재고하고 업데
이트하도록 요구했다(CG21 14). 그것은 1986년도의 원장 매뉴얼이
“예방교육을 시대에 맞게 개선함으로써” 사명을 달성하라는 요구 속
에 반영되어 있었다(MSD 109ss). 제24차 총회는 위에서 본 바와 같
이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이 살레시오 카리스마와 사명의 토착화와
맥락화를 위한 역사적 중재 및 실질적 수단이라고 선언하였다(CG24
5). 이는 다양한 구성원들로 이뤄진 각각의 특정 교육 사목 공동체에
서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이 잘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관
구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의 경우에도 해당하지만, 지역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의 경우 더욱 그렇다.
161

17.3 Page 163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토착화와 디지털 119. 오늘날 가장 시급한 형태의 토착화는 전 세계적이며, 어디든 존
세계
재하고, 어디든 파고드는 디지털 문화와 관련된 것이다.
제27차 총회는 이 분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강력히 권유한
다.107 이러한 권유는 청소년들, 신앙 및 성소 식별에 관한 시노드에
서 반복되었다.108
효과적인 대응은 원활한 네트워킹을 요구한다. 교육 사목 공동체
는 분명히 디지털 세계가 제공하는 엄청난 잠재력을 평가하면서, 초
연결 시대의 도전에 대한 의미 있는 교육적이고 복음적인 대응을 위
한 장소 중 하나이다.
교육 사목 공동체 자체는 관구 공동체 내에서, EAO 지구 및 지구
간 차원에서, 살레시오 가족 안에서, 다양한 교회 현실 및 교회 일치
운동의 현실과 더불어, 청소년의 교육 및 복지에 헌신하는 다른 단체
와 활발하고 풍부한 경험의 교환을 통해 도움을 찾을 수 있다. 돈 보
스코는 ‘최대한 많이 구원’하기 위해 모든 종류의 긍정적인 힘을 모아
들이는 데 훌륭한 대가였다. 그의 모범은 우리에게 “창립자의 균형 잡
힌 창의력으로 시대에 부응”하도록 촉구한다(회헌 19조).
7.1.3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와 사업 평의회
교육 사목 공동체 120. 여러 분야의 활동(본당, 학교, 대학생 기숙사, 어려움에 처한 청
와 사업 평의회
소년)이 있는 복잡한 사업에서는 다양한 교육 사목 공동체를 가질 수
있다. 교육 사목 공동체가 하나만 있으면 교육 사목 평의회가 하나 있
을 것이고, 교육 사목 공동체가 여러 개인 경우는 각 공동체에 자체
평의회가 있을 것이며, 여러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의 대표들로 구
성된 사업 평의회가 있을 것이다.
162

17.4 Page 164

▲back to top
7. 교육 사목 공동체
원장의 역할은 복잡한 사업에 비례하여 더욱 복잡해짐을 쉽게 상
상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부문의 책임자인 평신도 동역자들이 있다
면, 그 평신도가 종종 훌륭한 능력과 전문성을 가진 사람일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중요하게 여기지만, 원장의 인격과 권위에 대한 지
배적인 문화 모델을 포함하는 참된 책임 공유는 많은 다른 요인 중 하
나의 기능이다.
개인적 · 문화적 요인의 위험 발생률을 줄이기 위해, 살레시오 회
원과 평신도 사명 파트너의 공동 양성을 포함하여 양성에 대한 진지
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제24차 총회가 현명하게 요청한 대로, 교
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와 사업 평의회 내에서 원장의 구체적 임무를
정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CG24 161). 관구장과 그의 평
의회는 살레시오 지역 공동체와 대화하며, 그러한 역할에 대한 명료
하고 정확한 정의를 내릴 책임이 있다(CG24 169).
● 원장은 원장들의 양성을 위한 관구 차원에서 추진하는 프로그램에 참여
한다.
● 공동체 평의회와 교육 사목 공동체와 함께 예방교육의 통합과 환경 적응을
위한 도구로 교육 사목 공동체와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을 더 잘 이해하
기 위해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을 연구한다.
●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 이후 또는 다종교 상황과 관계없이, 원장과 그의
평의회는 개방과 대화와 창의성의 정신으로 교육 사목 공동체를 활성화
한다.
● 오늘날의 토착화는 청소년들을 동반하고 복음화를 위한 비옥한 토양으로
삶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이용하면서 디지털 세계에 사는 법을 배운다
인식을 교육 사목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장려한다.
163

17.5 Page 165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7.2 교육 사목 공동체 내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7.2.1 핵심 고무자
핵심 고무자는
우리 영성과 사명
을 공유하는 사람
들로 구성된다
121. 회칙 5조는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가 교육 사목 공동체의 핵심
고무자라고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25차 총회는 “우리의 영성과 사
명을 공유하는 다른 주체들(청소년, 평신도, 살레시오 가족 구성원,
지역 교회와 지역의 대표)도 고무의 임무를 맡으면서 교육 사목 공동
체의 핵심 고무자로 참여한다.”(CG25 70)고 강조한다. 제25차 총회
는 계속해서, 살레시오 공동체는 핵심 고무자와 동일하지는 않지만,
교육 사목 공동체의 핵심 고무자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카리스마적 기
준점이라고 말한다.109 이것의 발전은 1998년 “친교의 전문가며 증인
이요 장인. 살레시오 공동체, 핵심 고무자”(ACG 363)라는 총장 서한
에서 베키 신부가 핵심 고무자에 대한 개념을 확장함으로써 준비되
었다.
‘핵심 고무자’란 무슨 뜻인가? 그것은 살레시오 사명, 교육 제도
및 영성에 완전히 동화되고, 사업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을 모
으고 동기를 부여하고 참여시키는 임무를 함께 수행하여, 교육 공
동체를 만들고 청소년들의 복음화와 교육을 위한 계획을 수행하
는 사람들의 집단이다.110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은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 있는 모든
사람, 즉 살레시오 회원과 청소년들과 그 부모를 포함한 평신도들이
이 공동체의 고무에 참여한다는 것을 분명히 말하고 있지만, 일부는
모든 사람의 기여를 촉진하고, 고무의 수준과 조정을 관리하며, 교육
과 복음화의 살레시오 정체성과 우수성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이는 구
체적인 임무를 가지고 있음을 분명히 말하고 있다. 이런 사람들이 교
육 사목 공동체의 핵심 고무자를 구성한다(QdR 117).
164

17.6 Page 166

▲back to top
7. 교육 사목 공동체
교육 사목 공동체
를 올바로 작동하
게 하는 중요한
요소, 핵심 고무자
122. 핵심 고무자, 혹은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는 교육 사목 공동체
가 올바로 작동하기 위한 열쇠이다. 그러므로 이 핵심 고무자의 영적
수준, 교육 능력과 사목적 열정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핵심 고무
자의 자질 변화는 무엇이든 교육 사목 공동체 전체의 변화를 가져오
며, 결국 그 지역과 지역 교회의 변화를 가져온다.111
다양한 상황
다양한 종류의 난관에 직면했을 때에도, 훌륭한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에 필요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사업을 잘 운영하는 데 실제
로 결정적일 수 있다. 전체 교육 사목 공동체와 계획을 수립할 수 없
는 경우, 핵심 고무자 또는 가능한 사람만으로 그러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을 전반적인 사업 차원에서 구현할
수 없는 경우는, 소규모 그룹의 성장에 유리한 교육 과정을 항상 만
들 수 있다.112 마지막으로, 양성은 활동을 통해서도 이루어진다는 점
을 기억하는 것이 좋다. “사명 공유와 공동 책임으로 자신을 양성하고
다른 사람을 양성하는 최우선이자 최고의 방법은 교육 사목 공동체의
올바른 작동이다.”(CG24 43) 요컨대, 일과 모임을 좋은 리듬으로 사
고하고 평가하며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안정적이고 잘 구성된 핵심 고
무자가 교육 사목 공동체의 올바른 기능의 열쇠이다.
7.2.2 살레시오 공동체와 사업의 다양한 관계
123. 오늘날 수도회는 ‘공동체와 사업의 관계’에 관한 한두 가지 양식
만 인정한다.
A. 살레시오 공동체와 평신도들에게 공동으로 위탁된 사업.
B. 관구의 지시를 받는 평신도들에게 위탁된 사업.113
165

17.7 Page 167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살레시오 회원만”으로 형성된 제3의 모델은 없다는 점에 주목하
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모델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나 가능
했을 뿐이다.
가. 살레시오 공동체와 평신도들에게 공동으로 위탁된 사업
핵심 고무자로서
살레시오 공동체
의 역할
124. 살레시오 공동체와 평신도에게 공동으로 위탁된 사업에서, 살
레시오 공동체는 교육 사목 공동체의 핵심 고무자로서 중요한 부분이
며, 이 핵심 고무자의 사목적 정체성을 위한 안내 모델이다. 살레시오
공동체는 수도 생활의 증거를 제공하고, 청소년들 사이에 현존하고,
가족의 정신을 증진시키며,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 작성에 참여함
으로써, 살레시오 카리스마적 정체성을 보호한다. 살레시오 공동체는
일치와 참여와 협력을 고무한다. 영적 · 살레시오적 · 성소적 양성에
대한 주요한 책임이 있다(CG24 159).
평신도들과 돈 보스코의 정신과 사명을 공유하는 것은 우리의 카리
스마 발전에 있어서 새로운 단계를 나타낸다. 그로부터 살레시오 공
동체가 교육 사목 공동체 내에서 상대적으로 새로운 역할을 숙고하고
완전히 떠맡을 필요성이 뒤따른다. 특히 교육 사목 공동체가 여전히
뿌리내려야 할 상황에서, 살레시오 공동체는 살레시오 사명을 공유하
는 평신도들과 효과적으로 책임을 나누고 도움을 받아야 한다. 또한
살레시오 공동체는 거의 독점적으로 사업의 책임을 떠맡는 것에서 전
환하며, 사목적이며 영적으로 평신도들을 양성하는 임무를 중심에 두
도록 한다(QdR 266-267). 여기에는 피라미드식의 권위 구조에서 개
인적인 관계와 과정이 가장 중요시되는, 더욱 참여적인 방식으로의
중대한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회헌 124조에 잘 표현된 보조성과 권
한 분산의 원칙에 따라,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와 사업 평의회의 자
율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166

17.8 Page 168

▲back to top
7. 교육 사목 공동체
그 어떤 종류의 권위이든 계층의 권위든 간에 하급기관이나 개인
이 그 소관 능력에 따라 결정하고 실현할 수 있는 것은 그들의 주
도권에 맡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인과 공동체의 가치를 인정하
고 더욱 실제적인 의무감을 조장한다. 보조성의 원칙은 일치의 묘
를 살리면서 적절한 자율을 인정하고 다양한 통치기구 사이의 공
평한 권한 분배를 인정하는 권한의 분산을 요구한다.114
관구는 살레시오
공동체와 교육 사목
공동체 사이의 관계
를 정의한다
125. 살레시오 공동체와 사업 또는 그 사업과 여러 분야와 맺는 관계
형태를 하나의 구체적인 단일 모델로 축소할 수 없다(CG26 120). 경
우에 따라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은 사업의 살레시오 정체성과
조정을 관구가 책임지도록 권장한다. 반면 지역 공동체는 종종 숫자
가 줄어들면서, 제24차 총회 문헌 164항에서 제안한 기준에 따라, 사
목 고무와 양성 및 개인 동반을 살레시오 회원에게 맡길 수 있으며,
가능한 곳 어디서나 살레시오 가족 구성원과 협력한다(QdR 271). 모
든 경우에, 살레시오 공동체와 사업의 정확한 관계는 원장의 권위가
행사되는 방식처럼, 관구와 지역의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에 성문
화되어 있다.
따라서 각 관구는 살레시오 공동체와 교육 사목 공동체 간의 최상
의 협력을 선호하는 방법을 정의하고 설계하며, 다양한 사회 환경과
특정 환경과 사업에 따른 상황별 지침을 제공한다. 지역 공동체 평의
회와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지침 원칙이 제공
되어야 한다. 살레시오 공동체의 원장과 사업 책임자, 교장, 부서장
및 기타 주요 직책 책임자들, 관구 대리들과 지역 고무자들. 관구장
방문 동안, 특정 양해 각서(MOU)를 마무리 지음으로써, 사업에 관련
된 다양한 사람과 조직들의 정당한 자율성을 충분히 존중하며 최상의
협력을 장려할 수 있을 것이다.
167

17.9 Page 169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 살레시오 공동체는 수도회의 관련 문헌과 지침들(제24차 총회 문헌과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과 관구와 공동체의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
획)을 연구, 성찰, 동화하면서 교육 사목 공동체의 핵심 고무자로서 자신
의 역할을 준비한다.
● 원장과 그의 평의회는 지역 공동체의 고무와 통치 모델을 작성함에 관구장
과 그의 평의회와 협력하고, 교육 사목 공동체와 사업 평의회 구성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며 사업 내 각 조직과 살레시오 공동체의 권한을 정의한다.
● 원장은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 교육, 사목, 양성 과정을 동반하도록 형
제 회원들을 격려한다.
관구장과 그의 평의회는 원장들을 동반하고, 교육 사목 공동체와 살레시오
공동체의 고유한 관계에 기초하여 원장들을 지원한다.
● 관구의 청소년 사목 대리와 양성 대리는 다양한 교육 사목 공동체와 만남
에서, 관련 관구 위원회와 함께 원장들과 살레시오 회원들과 평신도들을
위한 적절한 양성 양식을 준비한다.
나. 관구의 지도하에 평신도에게 위탁된 사업
전적으로 평신도들 126. 제26차 총회는 제24차 총회 문헌 180–182항이 말하는 기준
로 구성된
고무 핵심
에 따라, “살레시오 회원들이 평신도에게 완전히 위탁한, 혹은 관
구 계획 내에서 평신도들에 의해 설립되어 승인받은 활동과 사업
들”(CG26 120)에 대해 언급했다. 여기서 두 가지 필수 조건은 (1)
살레시오 활동의 정체성, 친교 및 의미의 기준, (2) 관구장과 그의
평의회의 동반(QdR 271)이다. 그 사업은 어떤 지역 살레시오 공동
체와도 관계가 없으며, 고무 핵심은 전적으로 평신도들로만 구성되
어 있다. “수도 공동체가 전혀 없는 살레시오 사업에서 일하는 평신
도는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조직과 관리, 나아가 핵심 고무자에 속
하는 모든 기능에서, 공개적인 참여와 실질적인 책임을 지도록 해야
168

17.10 Page 170

▲back to top
7. 교육 사목 공동체
한다.”(QdR 118)
이 경우에도 사업에 대한 고무와 통치의 지역 모델을 정의하고, 살
레시오 공동체가 존재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그 사업에 활력을 넣
어 주고 관리하는 것은 관구장과 그의 평의회에 속한 일로서, 연례 정
기 방문을 목적으로 임명된 회원의 도움을 받아, 그리고 그러한 방문
을 통해 도움을 받는다(자세한 내용은 QdR 271-272 참조).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 작성은 청소년 사목
대리와 양성 대리의 도움으로, 관구장이나 지명된 형제에게 주의 깊은 동
반을 받는다.
●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은 평신도 책임자, 관구 대리,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와 관구 평의회 사이에 상호 관계 방식을 제시한다.
● 다양한 수준에서 교육 사목 공동체 구성원들의 살레시오 정체성을 위한 양
은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에 정의된 과정의 일부가 될 것이며, 그 사업
을 위해 관구장 대리가 가까이서 도와줄 것이다.
7.3 살레시오 공동체,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의 카리스마
적인 기준점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카리스마
적인 기준점
127. 우리는 현존하는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가 항상 핵심 고무자인
평신도와 사업에 대한 책임을 공유한다고 말하여 왔다. 그러나 그러
한 상황에서 살레시오 공동체의 지위와 역할은 무엇인가? 오늘날의
수도 공동체가 교육에 대한 열정과 사도적 사명을 자기들과 공유하는
평신도들에게 전해야 할 특수성은 무엇인가? 오늘날 살레시오 회원들
이 분명하고 확실하게 자격을 갖추어야 할 전문적 자질은 무엇인가?
제25차 총회가 아주 명확한 답변을 주고 있는데 그것은 『살레시오 청
169

18 Pages 171-180

▲back to top

18.1 Page 171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소년 사목 기틀』에 명시되어 있다.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는 그 영적 유산과 교육 방법, 형제애의 관계,
사명에 대한 공동 책임과 더불어 핵심 고무자의 사목적 정체성을
위한 기준이라는 것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회헌 38, 47조; 회칙
5조 참조). “살레시오 공동체는 카리스마적인 기준의 역할을 하며
이 기준으로부터 모두 영감을 얻는다.”(CG25 70)115
카리스마적
정체성의
수호자인 원장
128. 수도 공동체 내에서 원장은 “사도적 활동…에 있어서 첫째가는
책임자”(회헌 176조)이며, “사목적 계획을 수행하는 데 있어 일치와
충실을 이룰 수 있도록 공동체의 사목적 식별을 지도한다.”(회헌 44
조) 제24차 총회는 관구장과 함께 원장을 돈 보스코의 정신과 사명
을 평신도와 공유하는 데 있어 핵심 인물로 계속 고려하고 있다.116
“교육 사목 공동체의 첫 번째 책임자로서 살레시오 공동체 원장은 고
무자들을 고무하고, 사업 전반의 일관성 유지를 위한 역할을 수행한
다.”(QdR 267) 따라서 원장은 특별한 방식으로 교육 사목 공동체의
카리스마적 정체성을 지키는 자로서 책임을 진다.
새로운 스타일의
권위의 촉진자
129. 원장은 공동체 재화의 사도적 활동과 관리, 그리고 교육 사목 공
동체에 대한 주요 책임이 있음을 의식하고 있다.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 인내로운 탐구를 거친 후, 항상 그의 평의회와 대화하면서 결
정적인 말은 원장에게 유보된다.”(CG24 172) 그러나 원장은 자신이
제24차 총회(107–148)의 참여 확대, 공동 책임 촉진, 최선의 소통 활
용 및 수준 높은 양성이라는 네 단어로 요약되는 새로운 스타일의 권
위의 촉진자라는 것을 알고 있다.
살레시오 성소의 130. 제24차 총회는 모든 살레시오 회원이 고무자라고 선언했다
특성으로서 고무자
들의 고무
(CG24 150). 베키 신부는 이렇게 말한다. “돈 보스코의 사명과 정신
에 관련된 사람들의 활동의 고무자가 되는 것은 특별한 경우를 위한
170

18.2 Page 172

▲back to top
7. 교육 사목 공동체
임시 기능이 아니다. 그것은 봉헌된 개별 살레시오 회원이나 공동체
정체성의 일부를 형성하고, 주요 부분의 사목 실천을 형성하는 성소
적 특성이다.”(ACG 363 22) 따라서 살레시오 공동체의 경우, 그 활동
의 첫 번째 목표는 교육 사목 공동체이며, 첫 번째 봉사는 영적 및 살
레시오 고무를 위한 봉사이다. “우리는 적절한 방법으로 교육자 또는
협력자 그룹에게 역동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교회의 경험’을 불러
일으키고 성소적 현실을 확장하고, 일관성을 주도록 부름받았다. 그
것은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자원, 예를 들어 평신도를 더 잘 활용하
는 것뿐만 아니라, 신앙과 살레시오 정신을 전하는 문제이다. 이런 식
으로 고무는 우리 사명의 주요 부분이자 우리의 친교를 생활하는 독
창적인 방식이 되었다.”(ACG 363 21–22)
7.3.1 영적 고무
복음화의 전문가
131. 축성된 자들로서, 우리는 교육적 맥락 안에서 영적인 고무자이
거나 복음화의 전문가가 되도록 부름받았다. 우리의 고무는 단순히
문화적이거나 사회적인 것이 아니며, 스포츠와 게임에 관한 것도 아
니다. 그것은 주님의 영에 따른 고무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가장 훌
륭한 지식은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며, 가장 심오한 기쁨은 모든
이에게 그리스도 신비의 헤아릴 수 없는 보화를 드러내 보이는 것이
다.”(회헌 34조)
여기서 ‘영적’이라고 하는 것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특정 관점에
서 고무의 다른 모든 측면을 하나로 모으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그
러므로 영적 고무는 우리 일의 사목적 질에 관한 것이다. 그 사목적 질
은 교육과 복음화의 상호작용에 관심이 있다.
우리는 우리의 영성을 확신을 갖고 살며, 자발적으로 그 기쁨을 표
171

18.3 Page 173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현하지 않으면 영적 고무자가 될 수 없다. 믿음을 자기 존재의 위대한
자산으로 살지 않으면 전할 수 없다. “영적 쇄신과 사목 쇄신은 상호
침투하고 상호 의존하는 두 가지 측면이다.”(CG23 217)
성덕의 공유
132. “평신도의 그리고 평신도와 함께하는 양성의 목표는 성덕의 공
유이다.”(ACG 363 26) 제24차 총회가 상기시켜 주는 것처럼, “발도
코에서는 특별한 분위기가 있었다. 함께 성덕을 함양하고 있었다. 성
덕을 공유하고 서로 전하고 있었기에, 어떤 사람들의 성덕은 다른 사
람들의 성덕이 없이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이었다.”(CG24 104)
기도의 교육학
133. 영적 고무 능력은 기도 체험을 전제로 한다. 기도는 그리스도와
함께 있는 것에 대한 갈망을 우리에게 쇄신시키고, 영적 생활의 맛과
사명의 동기에 생기를 불어넣는다. 건강한 기도 생활을 통해 공동체
는 “그리스도와 개인적인 관계로 이어지는 기도의 교육학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영성을 지닌 교육자이자 스승 … 영성의 길
에서 동반자, 권위 있는 증인, 지도자와 안내자”가 되도록 간헐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 이상의 문제이다(ACG 363 26).
이것이 바로 교회가 축성된 사람들에게 기대하는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축성된 사람들의 성덕 추구에 대한 새로운 헌신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며, 완덕을 향한 모든 그리스도인의 소망을 촉진하고
지지하는 수단으로서도 필요하다. 오늘날 봉헌된 사람들이 성덕에 새
롭게 매진하는 것은 그 어느 때보다 더 필요하며, 또한 모든 그리스
도인의 완덕에 대한 열망을 촉구하고 지원하는 수단으로도 필요하다.
… 축성된 사람들은 하느님에 대한 우정을 깊게 하는 그 정도에 따라
영적 활동들을 통하여 형제자매들을 도와줄 수 있다.”(VC 39)
172

18.4 Page 174

▲back to top
7. 교육 사목 공동체
그리스도교적인 맥락에서, 원장과 공동체는 다음과 같은 핵심 요소
들에 많은 중요성을 주어야 할 것이다. 즉 신앙의 체험, 개인 생활 계
획, 성소적 동기 부여, 사목적 사랑과 사도적 헌신, 교회 감각과 교황
께 대한 충실함, 사명에 대한 교회적 의미, 성사 생활, 기도 안에서의
성장, 성령으로부터 받은 카리스마적인 은사에 대한 식별 그리고 교
회와 살레시오 성소에 있어서 마리아의 현존 등…. 원장과 공동체는
경험적으로 청소년들과 협력자들을 기도에 소개하는 중요한 방식으
로 우리의 공동체 기도에 참여하는 것을 고려할 것이다.
영적 동반
134. 원장과 살레시오 공동체는 영적 동반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
다. 우리의 전통에 비추어 그리고 젊은이, 신앙과 성소 식별에 대한
시노드의 초대로 더욱 힘을 얻은 원장과 살레시오 공동체는 공동체
와 개인 동반의 상호 보완성을 촉진한다. 그들은 기꺼이 이 봉사를 위
해 시간을 내주고 그들 자신과 평신도의 적합한 양성을 위해 헌신한
다.117 「그리스도는 살아 계십니다」는 8장을 성소에, 9장을 식별에 할
애하고, 청소년들을 동반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지침을 주고 있다
(CV 242-247 참조).
비그리스도교적이 135. 주로 비그리스도교적이거나 포스트-그리스도교적인 상황에서,
거나 포스트–
그리스도교적인 상 교육 사목 공동체의 영적 고무는 특별한 창의성과 대담함(parrhesia)
황에서
을 요구한다. 이것은 우리 사목의 토착화와 관련된 분야 중 하나이다.
제24차 총회에서 알 수 있듯이, 여기서 예방교육은 기준이자 토대이
다. “우리는 예방교육에 존재하는 인간적이며 평신도적인 가치를 바탕
으로, 하느님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들과 여정을 함께할 수 있다. 하
느님과 초월자를 받아들이는 사람들과 함께, 우리는 더 나아갈 수 있
으며, 심지어 그들의 종교적 가치를 환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리
스도께 대한 믿음은 같이 하지만, 우리 교회 신자가 아닌 사람들과는
173

18.5 Page 175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복음의 길을 더 가까이 함께 걸을 수 있다.”(CG24 185) 인간적 가치,
종교적 가치, 복음적 가치, 이러한 가치들은 원장과 교육 사목 공동체
의 입장에서 영적이며 사목적 고무에 대한 토착화되고 상황에 맞는 직
무를 위한 토대가 된다. 우리가 이미 말했듯이, 중요한 것은 교육 사목
공동체 안의 그리스도인들은 살레시오 카리스마에 따라 그들의 성소
와 교회의 복음화 사명을 충실히 따르며 사는 것이다(CG24 183-185).
원장, 고무자 중의 136. 고무자 중의 고무자인 원장은 그의 그리스도와의 관계가 만사
고무자
에, 그리고 어디서나 드러나게 하며 단순하고 겸손한 방식으로 활력
을 불어넣어 준다. 원장은 그에게 회원과 협력자 및 청소년들을 맡기
는 분은 그리스도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는 자신의 연약함과 한계를
분명히 인식하며, 그를 앞서가시고 감싸 주시며 붙들어 주시는 예수
님의 사랑을 굳게 믿으며, 자신의 직무를 수행한다. 그는 무엇보다도
식별의 사람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가르침의 핵심을 이루는 이 은
사는, 오늘날 우리가 각자 자신의 독특한 삶의 이야기와 요구를 가진
다양한 상황과 사람들을 대할 때,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교육 사
목 공동체의 고무에 있어서 탁월한 식별 능력은 아마도 원장의 가장
중요한 자질일 것이다.
7.3.2 형제애의 예언
친교의 중심성
137. 친교가 아닌 경쟁의 구조가 역동적으로 지배하는 세계화된 자기
중심주의 문화에서, 아량을 가지고 사는 형제애는 실제로 ‘예언’이 된
다. “참으로 친교와 나눔과 공동 책임 속에서 일하는 살레시오 회원과
평신도 그룹이 활력을 넣어 주는 교육 사목 활동은, 형제애의 살아 있
는 예언이며, 실현되고 있는 친교의 교회론에 대한 빛나는 신호이고,
그 사업의 모든 수혜자인 청소년들과 청년들, 가족, 지역 교회를 위한
빛나는 교육 신호이다.”118 친교는 선교의 문을 열어 줌으로써 그 자체
174

18.6 Page 176

▲back to top
7. 교육 사목 공동체
가 선교가 된다(VC 46 참조).
살레시오 공동체의 증거가 친교에 결정적으로 이바지하며, 그런 기
여는 친교의 사람이며 이 가치의 중요성을 깊이 믿는 살레시오 공동
체의 첫 번째 고무자며 지도자인 원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수도 공
동체는 삼위일체 신앙고백(confessio Trinitatis)이요, 형제애의 표징
(signum fraternitatis)이며, 교회 내 친교의 표징이다. 우리의 소명으
로 인해 우리는 교육 사목 공동체 내에서 친교를 조성하고 유지시키
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원장은 공동체의 도움을 받아,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
그리고 청소년들의 선익에 기여하는 모든 사람 가운데서, 일치와 가
족정신을 조성한다. 그는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 자신과 같이 생각하
거나, 그와 다소 색다른 친밀감을 형성한 사람들로 이뤄진 작은 그룹
을 만들려는 유혹을 뿌리친다. 원장은 공통 계획을 중심으로 한 일치,
다양한 사업 부문 간의 조정, 화목한 인간관계, 다양성 안에서의 일치
및 살레시오 가족의 참여 등을 잘 보살핀다.
친교로서 교회의 상징인 마리아를 바라보면서, 원장은 친교의 전
문가가 되어 다양성을 통합할 뿐만 아니라,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사
람이다.
● 원장이 인도하는 살레시오 공동체는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 원장이 고무
하는 현존의 질을 정기적으로 평가한다.
● 그는 또한 공동체 기도의 순간에 청소년들과 평신도들의 참여를 장려하면
기도의 교육학에 생명을 부여한다.
175

18.7 Page 177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 그는 공동체적이며 개인적인 영적 동반을 특별히 돌보고, 동반을 위해 봉
사할 수 있도록 살레시오 회원들과 평신도들을 준비시킨다.
● 그는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 가족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고무하고,
교육 사목 공동체가 생활하고 전달하는 ‘형제애의 예언’의 질을 정기적으
로 평가한다.
● 그는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 사목의 질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특히 『살레
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의 도움을 받아 구성원들의 양성을 보장한다.
● 원장은 오늘날 요청하는 새로운 방식의 권위 행사를 익힐 수 있는 자기 양
에 매우 주의를 기울이고 관구나 다른 이들이 제공하는 노선의 모든 기
회를 활용한다.
7.4 살레시오 공동체와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
계획적인 사고방식 138. 교육 사목 계획의 입안은 제23차 총회와 제24차 총회의 지시를
이행하기 위해 작성한 사목의 ‘모델’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것은 관구
차원과 지역 공동체 차원 모두에서 이루어진다.119 “관구 공동체와 마
찬가지로 지역 공동체도 분명한 계획적인 사고방식으로 생활하고 활
동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계획적인 사고방식을 가질 때 지역 공동
체는 우선적으로 관심을 쏟아야 할 분야를 파악하게 되고, 다양한 분
야의 사업을 통해 사람들의 생활과 활동을 지도해야 하는 근본적인 선
택을 하게 된다.”(QdR 260)
지역 공동체의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
139. 계획적인 사고방식은 교육 사목 공동체 내에서, 그리고 교육 사
목 공동체가 작성한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에 구체화되었다. 우리
의 사목 활동은 지역 공동체의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에 그 주요 기
준점이 있다.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은 사업의 모든 분야와 영역에
176

18.8 Page 178

▲back to top
7. 교육 사목 공동체
서 청소년 사목의 수행을 위한 지침을 제시한다. 이 살레시오 교육 사
목 계획은 살레시오 교육 및 사목 제안을 특징짓는 네 가지 차원의 결
속과 통합을 가능하게 해 준다.”(QdR 260)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
의 주요 목적은 지역 공동체들이 공유한 사고방식, 명확한 기준과 목
표를 가지고 일할 수 있도록 하고, 사목 과정의 공동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QdR 145).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살레시오 청소년 사
목 기틀』 6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장과 그의 평의 140.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에 따르면 살레시오 공동체가 평신
회의 책임
도들과 함께 사업을 운영하는 곳에서는, “원장과 그의 평의회가 사업
의 운영과 사목적 고무에 관한 일차적인 책임자다. 청소년 사목의 원
활한 운영과 조직에 대한 근본적인 책임은 이들의 손에 있다. 이들은
사람들을 참여시키고, 우선순위를 확인하며, 자원을 할당하고, 성찰
을 제안하는 절차를 조성해야 한다.”(QdR 260) 실질적인 책임 분담
은 7.2.2에 언급된 보조성과 권한 분산의 원칙에 의해 이뤄지며, 관
구가 정의하고,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에 성문화된 지역 통치 모델
에서 구체화되었다.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의
완전성 보장
141. 원장은 그의 평의회와 더불어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에 살레
시오 청소년 사목의 다양한 차원이 포함되도록 한다.
앙 교육의 차원. 청소년들의 현 상황에서부터 시작하여,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우리가 믿고 있는 삶과 사랑
의 충만함에 이르기까지 그들을 동반한다.
육 문화적 차원. 이는 청소년들의 모든 인적 자원의 개발을 장
려하고, 삶의 의미까지 열어 보여 주는 문제이다.
177

18.9 Page 179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단 체험 차원과 사회적 경험의 차원. 이는 청소년들이 친교의
의미를 발견하고 소중히 여기도록 도와준다. 교회는 친교의 표
징이며 성사이다.
소 차원. 이는 세상을 하느님의 계획안에 있는 아름다운 곳으
로 변화시키기 위해 모든 청소년이 자신의 인생 계획을 발견하
도록 동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QdR 155–165)에서 알 수 있듯
이, 원장은 모든 부문에 해당하는 특정 교육 사목 업무에 주의를 기
울인다.
사도적 성소 고무. 교회 안에서 평신도, 수도자 또는 사제 성소
의 기미를 보여 주는 청소년들을 각별히 동반한다(회칙 9조).
선교 고무. 모든 그리스도인과 공동체가 관대하게 자신을 내어
주고 이를 성숙하게 표현한다.120
회 커뮤니케이션. 이것은 우리에게 하나의 교육 수단일 뿐만
아니라, 살레시오 사명의 사도적 우선순위 중 하나를 구성하는
중요한 활동 분야이기도 하다(회헌 43조).121 원장은 디지털 세
계에 특별한 관심을 갖는다. 디지털 세계는 오늘날의 청소년들
의 정체성 및 그들의 생활 방식과 아주 관계가 깊으며, 인간학
적 · 문화적 영향력이 엄청나고, 선악 모두에 대해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계획적인
142. 계획적인 사고방식이 여전히 뿌리 내려야 하는 상황에서, 원장
사고방식의 강화
178

18.10 Page 180

▲back to top
7. 교육 사목 공동체
은 먼저 교육 사목 공동체가 잘 작성된 계획이 필요함을 확신하도록
고무한다. 몇 가지 유용한 점은 다음과 같다.
•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은 다문화적이고 다종교적이며, 심지
어 포스트–종교적인(post-religiosi) 상황을 포함하여, 각 상황
에 맞게 예방교육을 적용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 계획은 우리의 교육 및 사목 활동에서 목표로 하는 것을 정의할
수 있게 해 주고, 연속성을 보장하며, 즉흥적으로 일을 벌이는
위험에 빠지지 않게 해 준다. 공동 목표의 틀 안에서 협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소속감이 강화되고 사업과 행사를 평가하기
위한 공통 원칙을 공유할 수 있다(MSD 111–112).
• 선택과 계획은 청소년들의 경험과 실제 요구(회헌 41, 7조, 회
칙 1, 4조)를 기반으로 하며, 시대적 표징과 모든 긍정적 가치
에 대한 개방성에 분별 있는 주의를 기울인다(회헌 57, 17조).
•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사목적 사랑과 사목적 감각의 열매
인 창의력을 최대한 활용한다(회헌 7, 10, 18, 19, 40, 41조).
도전과 난관
•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은 또한 원장과 기타 중요한 역할을 맡은
사람들이 교체되는 순간에 연속성을 보장해 주는 방법이다. 관구
는 또한 이와 관련하여 적절한 ‘인수인계’ 절차를 수립할 것이다.
143.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도전과 난관 중 일
부는 다양한 문화적 · 역사적 · 지리적 맥락에서 수도회의 전 세계적
확장, 다양한 유형의 현존, 수도 공동체와 사업 간의 다양한 관계, 교
179

19 Pages 181-190

▲back to top

19.1 Page 181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육 사목 공동체 내에서 살레시오 회원이 떠맡아야 할 새로운 역할 그
리고 점점 더 시간적 · 문화적 · 언어적으로 우리의 원래의 모습으로
부터 멀어지는 것 등과 같은 내부적인 요인에 기인한다.
다른 어려움은 청소년들의 끊임없는 새로운 상황, 홍보 미디어와
디지털 세계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 ‘주체’의 존재, 다원주의의 가치,
자유와 참여, 그뿐만 아니라 문화와 종교의 다원성, 늘어나는 종교에
대한 무관심 등과 같은 외적인 요인에 기인한다.
원장은 우리의 성소가 우리에게 열린 자세로 현실과 대화하며, 교
육자이자 커뮤니케이터의 실질적인 창의적 감수성을 가지고 살도록
요구한다는 것을 기억한다. 그는 이러한 자세를 스스로 함양하고, 그
의 회원과 교육 사목 공동체에서도 이런 자세를 함양시킨다. 그것은
예수님의 인격과 그분의 복음에 비추어 경험으로 배울 수 있는 능력
으로, 돈 보스코의 정신에 따라 사는 것이며(회헌 98조), 그것은 식별
의 자세, 즉 매일의 사건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현실 속에서 성령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능력이다(회헌 119조).
살레시오
144. 사업의 각 분야에서 지역 공동체의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 작
교육 사목 계획
작성을 위한 지침 성 및 평가에 관한 제안은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안들은 교육적이고 사목적인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원장과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 또는 사업 평의회를
위한 지침이 될 수 있다.
사업에 있어서
원장의 현존
145. 모든 살레시오 사업 및 환경에는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의
지시에 따라 고유한 조직이 있다. 이상적으로는 원장이 특정 역량
을 가지고 수도원의 모든 환경과 분야에 존재하지만(CG24 172),
180

19.2 Page 182

▲back to top
7. 교육 사목 공동체
청소년 사목
조정자
특히 매우 복잡한 사업에 있어서는 가능한 한 위임할 줄 알아야 한
다. 원장이 알아야 할 것은 그가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들이 많
을 때, 이 평의회의 권위를 존중하면서 그 평의회에 정당하게 참여
하며, 경우에 따라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나 사업 평의회를 주재
한다는 것이다.
146. 관구의 지침과 관행에 따라, 특히 사업이 복잡한 경우, 원장은 살
레시오 회원과 평신도 팀의 지지를 받는 살레시오 회원이나 평신도 한
명을 지역 공동체의 청소년 사목 조정자로 임명한다(QdR 268–269).
지역 공동체 조정자는 팀과 함께 지역의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
이 설정한 목표와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 또는 사업 평의회의 지침
및 기준에 따라 사업의 사목 활동을 계획하고, 조직하고, 조정하며,
항상 원장과 긴밀하게 협력하며 일한다(QdR 269–270).
● 원장과 그의 평의회는 문화적이며 종교적인 다양성에 민감하고 예방교육
에 바탕을 둔 대화 정신과 특징적인 변수들을 고려하면서, 지역 공동체의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 작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원장(또는 그의 대
리자)은 모든 교육 사목 환경의 운영에 참여하고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
와 사업 평의회를 주관한다.
● 원장과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는 지역 공동체의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
획에 비추어 각 분야의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의 작성을 동반하고, 매
년 각 분야의 보고서와 평가서를 평가하며, 지역 공동체의 PEPS 업데이
트를 준비한다.
● 신임 원장들은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의 연속성을 촉진하고, 이미 진행되
어 과정 중에 있는 계획을 존중하도록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 원장은 관구가 정한 고무와 통치 모델을 실현할 의무가 있고, 살레시오 정
181

19.3 Page 183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신으로 양성된 살레시오 회원들과 평신도들의 현존을 보장할 의무가 있다.
● 원장은 살레시오 교육 사목 계획의 살레시오 정체성을 보장하고, 그 계획
의 작성을 지도하고, 계속되는 양성과 활동 안에서 살레시오 정신의 요소
들을 통합시킨다.
● 그는 특히 살레시오 카리스마에 적합한 교육 사목 전문 분야에서 살레시오
회원들과 평신도들을 함께 양성에 참여하는 과정을 장려한다.
● 그는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의 동화와 적용을 제안한다.
● 그는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의 완전함과 유기적 성격이 모든 사업 활동에
서 보존되도록 보장한다.
● 관구의 노선에 따라, 청소년 사목을 위한 지역 대표를 임명하고, 함께 일할
살레시오 회원과 평신도 팀을 임명할 것이다(QdR 269‚270).
● 그는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와 사업 평의회를 포함해서 평신도들의 선발
과 양성을 위해 확립된 기준을 따른다.
● 원 장은 미성년자 보호를 위한 지침과 현행 개인 정보 보호법에 대한 지
침을 알게 하고 그것의 구현을 보장한다.
182

19.4 Page 184

▲back to top
8. 열린 공동체
관구, 수도회,
살레시오 가족,
교회, 세상에 열린
공동체
147. 회헌은 지역 살레시오 공동체를 “관구 공동체의 살아 있는 부
분”(회헌 58조)이며, 수도회 및 살레시오 가족의 살아 있는 부분으로
정의한다.
살레시오 공동체는 “지역 교회와 교류하며 활동하고, 세상의 가치
를 받아들이고 사도적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그곳의 문화적 상황을
고려한다. 그리고 그곳에 살고 있는 주민들과 일치하며 모든 이와 원
만한 관계를 맺는다.”(회헌 57조)
공동체의 사목 활동은 다양한 차원에서 고려해 볼 수 있다.
• 그것은 살레시오 회원과 평신도 협력자들, 특히 살레시오 가족에
속한 이들과 함께 교육 사목 공동체 내에서 수행되는 활동이다.
• 그것은 두 가지 의미에서 교회의 활동이다. 한 가지는 교육 사목 공
동체가 특정 환경에서 교회를 육화시키고 토착화시킨다는 뜻에서 그
렇고, 또 다른 한 가지는 지역 교회의 다양한 기관 및 단체와 협력한
다는 의미에서 그렇다.
• 그것은 사회적 환경 내에서의 활동이다.
그러므로 지역 공동체는 수도회 안에서, 관구와 함께, 원장과 그의
평의회와 함께, 살레시오 가족과 그 구성 그룹들과 함께, 세계 교회와
지역 차원의 교회와 함께, 마지막으로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
부나마 일을 하는 모든 사람과 함께, 더욱 폭넓은 친교를 통해 책임을
분담하면서 생활하고 일한다.
183

19.5 Page 185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8.1 관구 공동체와 세계 공동체
살레시오 회원은
수도회에 소속돼
있다
148. “보편 교회가 다양한 개별 교회와 기초 단체들의 다양성 안에서
일치로 표현되듯이, 살레시오 수도회는 관구 공동체로 구성되어 있
고, 관구 공동체는 지역 공동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지역 공동체
는 살레시오 성소가 실현되는 구체적인 환경과 실천적인 방식을 제공
한다.”(CGS 506) 지역 공동체는 섬이 아니다. 지역 공동체는 형제적
친교와 공동 사명으로 일치된 관구 공동체의 살아 있는 부분이다. 지
역 공동체와 관구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모든 회원은 그의 수도 서원
의 날에 가입하게 된 전체 수도회에 소속된 회원 자격으로 사는 것이
다(회헌 59조 참조).
살레시오 성소는 세계적 차원을 가지고 있다. 살레시오 회원이 되
는 것은 설립자 자신이 보았듯 국경이 없는 위대한 공동체에 들어가
는 것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확장은 살레시오 정신의 가장 뛰어난 복
음적 특징 중 하나이다.
세계적 수준에서 이러한 개방성을 산다는 것은, 수도회가 보편 교
회에 봉헌하는 정신과 증거 및 봉사의 공동체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책임을 의식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회헌 59조 참조).
세계 본부에서 관구로 그리고 개별 공동체로 가치 전달을 장려하
는 모든 것은, 또한 역으로 우리의 친교, 성소 경험 및 사명의 효능을
풍요롭게 해 준다. 우리는 여기서 회헌이 총장과 관구장과 그의 평의
회, 다양한 사목적 및 기술적 유기체에 부여한 고무와 통치의 의무를
생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수도회 내의 소통(회헌, 총회 회의록,
총장과 그의 평의원들과의 소통, 다양한 내부 소통의 수단과 기관들)
184

19.6 Page 186

▲back to top
8. 열린 공동체
의 의무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다.
● 원장은 공동체와 관구 그리고 세계 차원의 소통과 지속적인 정보 흐름을
촉진한다.
● 그는 관구 계획에 진지하게 협력하며 개인적인 준비 자세를 갖추도록 격
려한다.
● 그는 관구 공동체와 연대를 장려한다(회칙 58, 197조).
8.2 살레시오 가족
살레시오 회원은
살레시오 가족이
필요하다
149. 이상적으로 교육 사목 공동체는 가능한 범위까지 살레시오 가족
의 다양한 단체와 구성원을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살레시오
가족을 살레시오 사업의 교육 사목 공동체에 참여하는 것만으로 축소
할 수 없다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므로 원장과 살레시오 공동체 그리
고 살레시오 가족 사이의 관계를 주제로 토론할 공간을 마련하는 것
이 중요하다.
살레시오 가족은 돈 보스코의 성소의 요구와 그 당시 청소년들의
요구에 대한 그의 대응의 일환으로 태어났다. 오늘날 “살레시오 회원
은 창립자의 의지를 수행하는 데 동참하는 사람들을 생각하지 않고서
는 교회 안에서 자신의 성소를 충분히 재고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그
들은 각자의 진정한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더욱더 큰 모든 사람의 일
치를 추구하고 있다.”(CGS 151)
살레시오 회원은 다른 살레시오 가족 단체들이 필요하다. 교회 차
원에서 살레시오 가족은 우리에게 복음 선포자로서 우리 성소의 특
185

19.7 Page 187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성을 재고하고 재발견할 수 있고, 진정으로 살레시오적인 것들에 대
한 새로운 인식을 개발할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CG21 73). 또한, 교
육 사목 공동체에서도 살레시오 가족 구성원의 존재는 핵심 고무자
에게 더 큰 일관성을 주고, 우리의 카리스마와 정신에 충실성을 강화
해 준다.
살레시오 회원은
살레시오 가족
내에서 특별한
책임이 있다
150. 다른 한편, 창립자의 명시적인 원의에 따라 살레시오 가족은 살
레시오 회원이 필요하다. “창립자의 원의에 따라 우리는 살레시오 가
족 안에서 특별한 책임을 지니고 있다. 즉 상호 보완과 보다 나은 사
도적 결실을 위하여, 정신적 일치를 유지하고 형제적 협력과 대화를
도모하는 것이다.”(회헌 5조) 정신적 일치를 유지하고, 형제적 협력을
촉진하고, 대화를 도모하는 것. 이것들은 총장과 관구장 및 원장이 각
각 자신의 위치에서 수행해야 할 세 가지 책임이다. 이에 우리는 회칙
36조를 추가할 수 있다. “관구장과 원장은, 관계 담당자들의 협조를
받아, 살레시오 가족 내에서 여러 공동체들이 그들의 역할을 수행하
도록 의식화시킬 의무가 있다.”
회칙 38–40조에 따르면, 우리는 살레시오 가족의 서른한 개 그룹
중 다섯 개, 즉 살레시오협력자회, 돈보스코 동문회, 도움이신 마리
아회(ADMA), 돈보스코 여자 재속회(VDB) 및 돈보스코 남자 재속회
(CDB)에 대해 특별한 책임이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돈 보스코의 카리스마에 따라 이러한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 우리
는 교육과 복음화의 중요성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이 사용
할 특정한 수단들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살레시오 가족의 지역 자문위원회 회의.122 관구 차원에서
186

19.8 Page 188

▲back to top
8. 열린 공동체
이루어지는 활동에 상응하는 이 위원회는 원장이 소집하고 주재한다.
위원들은 지역 살레시오 공동체의 영역에 있는 살레시오 가족 단체를
책임지는 사람들이다. 이 위원회는 단체들의 카리스마적 일치를 표현
하며, 친교를 증진하는 방식이고, 살레시오 카리스마의 발전을 보장
한다. 게다가, 그것은 살레시오 사명을 실현하면서 대화와 성찰, 계획
및 협력을 촉진하는 특권적인 순간이다.
둘째, 살레시오 가족의 날(축일)을 지역 공동체 차원에서 기념. 이
날 살레시오 가족 그룹은 서로를 더 잘 알고, 돈 보스코 가족에 속한
기쁨을 축하하기 위해 기도와 양성을 위해 함께 모인다.
셋째, 협력. 협력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살
레시오 가족을 위한 대표자들이 있을 때 크게 촉진된다. 원장 자
신이 살레시오 가족이나 그 안의 일부 그룹의 지역 대표가 될 수
있다.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 가족 신원 헌장」(2012)은 오늘날 살레시오
가족과 그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우리가 살레
시오 가족을 생동감 있고 생생한 현실로 만들려면 이 헌장을 더 잘 알
고 연구할 가치가 있다.
살레시오 운동
151. 여기서 살레시오 운동을 언급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회헌 5조
가 말하듯이 돈 보스코로부터 “여러 가지 모양으로 청소년 구원 사업
에 종사하는 이들의 광활한 운동이 기원된다.” 살레시오 가족 헌장은
실제로 이 가족에 속하는 여러 수준에 대해 말하며, 특별한 자격의 회
원에 의해 구성된 세 번째 수준, 또는 “광범위한 살레시오 운동을 형
성하고 살레시오 가족 안에서 그들의 핵심 고무자를 발견하는 사람
187

19.9 Page 189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들”에 대해 말한다. 살레시오 운동은 돈 보스코의 친구들, 살레시오
청소년 운동,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는 살레시오 자원봉사회, 광범
위한 범위의 남녀 교육자, 교리교사, 성인 전문가, 우리 사명에 동조
하는 정치인, 협력자, 심지어 오대륙에서 일하고 있는 다른 종교와 문
화에 속해 있는 사람들에 의해 구성된다.”123
원장은 소속감을 증진하고 살레시오 가족의 적절한 동반을 보장하
는 데 있어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 교회와 사회 차원에서 볼 때, 특정
지역에서 살레시오 가족의 활력과 의의는 원장이 그의 동반과 고무 임
무를 수행하는 사랑과 배려에 크게 좌우된다.
● 원장은 살레시오 가족 지역 자문 회의를 소집하고 주재하며, 다양한 단체
간의 협력을 증진한다.
● 그 는 살레시오 가족의 날이나 연례 축제를 지역 공동체 차원에서 기념할
수 있도록 돌본다.
● 그는 공동체 계획에 살레시오 가족 활동을 포함한다.
● 그 는 살레시오 공동체 안에서나 살레시오 가족 단체들 사이에서 「돈 보스
코의 살레시오 가족 신원 헌장」을 연구하도록 장려한다.
● 원 장과 공동체는 살레시오 가족 구성원들에 대해 진심으로 환영하는
도를 기른다.
● 원 장은 살레시오 집 안에 협력자, 동문회 사무실과 회합 장소를 위한 공
간을 제공한다.
● 그 는 우리 카리스마와 관련된 성소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며, 성소 사목
분야에서 모든 살레시오 가족 구성원들의 임무를 장려한다.
188

19.10 Page 190

▲back to top
8. 열린 공동체
8.3 교회
교회 생활에서
우리의 위치
152. 활발한 교회 감각(sensus ecclesiae)은 살아 있는 살레시오 전통
의 일부이므로 살레시오 정신의 구성 요소로 간주하여야 한다(회헌
13조 참조).
원장과 교육 사목 공동체는 개별 교회를 공동체가 사도적 헌신을
살고 표현하는 역사적 공간으로 생각한다(회헌 48조 참조). 지역 교
회는 실제로 “사람들의 인적 자산을 하느님께 인도하고 그 자산들이
구원의 은총의 특별한 표현 역할을 하도록 하는 고유한 기능”을 가지
고 있다(CGS 80). 특별총회는 교회 생활의 맥락에서 우리가 설 자리
를 찾고, 고립주의적 사고방식과 잘못된 자율성을 피하거나, 다른 사
람들과 협업하는 데 대한 두려움과 잘난 척하는 오만을 피할 것을 촉
구했다.
지역 공동체는 교회와 수도회가 같은 목표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기
쁘게 받아들인다. 사목 활동을 수행할 때, 지역 공동체는 항상 교구와
주교 회의의 지시에 따르려고 한다(회헌 48조 참조). 물론 지역 교회
와 협력할 때, 지역 공동체는 특히 많은 시간을 요구하지 않는 일상적
이거나 간헐적인 협력과, 더 큰 헌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관구장의
승인을 요구하는 다른 종류의 일을 구별한다.
신생 교회들에서 우리는 청소년을 위한 우선적인 사랑의 정신과
선교 사업을 통해 특별한 방식으로 참여한다. 선교 사업은 우리 수도
회의 본질적인 모습이다(회헌 30조 참조). 선교는 동시에 “살레시오
사명을 수행하기 위한 특권적 장소”이며 “그 사명을 이루게 하는 정
신”124이다.
189

20 Pages 191-200

▲back to top

20.1 Page 191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카리스마를 통해
중개된 협력
153. 회헌은 지역 교회와의 협력에 대해 분명히 말한다. “우리는 살
레시오 사업과 교육으로 지역 교회에 기여하고 지역 교회로부터 지
원과 방향을 제시받는다. 우리는 보다 깊은 유기적 관계를 위해 살
레시오 가족 내 여러 단체들과 다른 수도회와 창의적 의견을 함께 나
눈다.”(회헌 48조) 원장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의해 촉진된 친교
의 교회론에 비추어, 이러한 협력을 본질적인 가치로 회원들과 교육
사목 공동체에 제시할 것이다. 물론 그러한 협력은 우리의 카리스마
를 통해 중개된다. 지역 교회 안에는 그 실제적인 예로서, 청소년들
과 성소를 위한 사목 활동, 노동 세계 참여와 가난한 이웃과의 관계,
문화와 사회 홍보 참여와 같은 우리의 사명에 잘 맞는 분야가 있다.
전국 및 교구
차원의 수도자
협의회에 참여
154. 원장은 또한 전국 및 교구 수도자 협의회의 참여를 장려할 것이
다. 「상호 관계Mutuae Relationes」(이하 약어 MR로 표기)는 이러한 협
의회의 존재를 인식할 뿐만 아니라 그 협의회를 매우 중요시한다. “교
구 차원에서 수도자 협의회는 매우 유용하다. 그러므로 그 협의회에
힘을 실어 주어야 한다.”(MR 59)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강조하셨듯이
카리스마는 친교를 위한 것이다.125
교회와 교황에
대한 사랑
155. 우리는 모든 대륙과 많은 국가에 존재하는 교황청립수도회로
서 보편 교회에 대한 강한 소속감을 키우며, 함께 일하는 사람들,
특히 가톨릭 신앙을 공유하는 사람들에게 교회에 대한 사랑을 육성
한다.
설립자에게 충실한 우리는 베드로의 후계자를 향한 특별한 효심
을 기르고 있다. “살레시오회는 교황을 최고 장상으로 모시며, 회원
들은 순명 서원에 의하여 교황의 권위에 자녀다운 복종을 드리며, 세
계 교회의 선익을 위하여 준비되어 있고, 그분의 가르침을 순순히 받
190

20.2 Page 192

▲back to top
8. 열린 공동체
아들이며, 신자들 특히 청소년들도 그 가르침을 받아들이도록 돕는
다.”(회헌 125조)
원장은 지역 공동체 평의회의 지원을 받아, 자기 권한에 있는 고무
수단을 통해 교회와 교황에 대한 이러한 카리스마적인 차원의 자녀다
운 사랑을 고무할 것이다.
● 원장은 자신의 개입, 강화와 다양한 고무의 순간에 지역 교회에 소속되었
다는 의식을 증진시킨다.
● 그는 지역 교회와의 적극적인 접촉을 통해 교구의 사목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는다.
● 그는 수도자들의 교구 및 전국 차원의 협회에 개인적으로 참여하며 형제
들의 참여를 장려한다.
● 그는 해외 선교를 위한 실제 헌신의 형태로서 수도 공동체와 교육 사목 공
동체 안에서 선교 정신을 고취한다.
● 그는 보편 교회에 대한 소속감을 양육하고 증진시키며 교황의 가르침을 환
영하고 이에 대한 지식을 갖도록 장려한다.
8.4 지역 사회에 현존
시민과 사회적
맥락에서의
네트워킹과 지지
156. 교육 사목 공동체가 수행하는 살레시오 사업은 그 자체가 특정
지역 내에서의 우리의 활동이다. 그러나 특히 회헌 48조에 따라 “우
리는 교육 및 사회개발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일반 단체들과도 협조
할 용의가 있다.”라는 말을 고려할 때, 지역 사회에 대한 추가적인 언
급이 부적절하지는 않을 것이다.
191

20.3 Page 193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이런 종류의 협력은 또한 특정 구역, 지역 또는 영역에서 교회에
봉사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가능한 곳 어디서나 우리는 시민적이며
사회적 맥락의 일부가 되어, 그리스도교적인 현존이 되고, 가능한 경
우 입법 분야에서 그리스도교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오늘날
우리의 성소에 대한 충실은 특히 수사 살레시오 회원의 ‘평신도’ 신분
과, 평신도 협력자 및 살레시오 가족의 여러 단체들을 통하여 그러한
참여를 요구한다. 특별총회가 말한 것처럼, “공동체는 교회의 역동성
을 공유하고, 동시대인들에게 봉사하고자 하며, 이러한 봉사에 개방
되어 있고, 주님께서 그 공동체 위에 내리신 은총의 은혜를 모든 사
람들에게 베푼다. 연대감, 영감, 일, 이상을 통해서나, 또는 정의에
대한 의무, 예의, 우정 또는 애덕을 근거로 다른 배경의 사람들과 결
합시키는 관계를 공동체는 기꺼이 함양하고 믿음을 가지고 배양한
다.”(CGS 507)
사회교육 및
정치교육
157. 또한, 지역사회에 참여한다는 것은 적극적인 사회적이고 정치적
인 참여를 자기의 도덕적 책임의 일부로 보고, 세계 시민이 되어야 하
는 필요성을 알고 있는 ‘정직한 시민ʼ을 준비시키기 위한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교육을 의미한다.126 제26차 총회는 “사회복지적 사고방식
으로부터 벗어나 가난한 청소년들이 자기 발전의 주인공이 되고, 사
회정치 분야에 투신하도록 그들의 참여를 고무하는 것”(CG26 104;
98 참조)으로의 전환에 대해 이야기한다. 최근 모든 교황은 가톨릭
신자들이 정치에 대한 소명을 숭고한 형태의 애덕으로 받아들이도록
격려했다. 예를 들어, 베네딕토 16세는 사회의 다양한 영역, 특히 정
치에서 책임을 맡을 수 있는 가톨릭 신자들의 양성을 반복해서 요구했
다. 이 정치 영역에는 모든 사람, 특히 청소년들을 위해서 그들이 맘껏
누릴 수 있는 ‘좋은 삶’을 이룩할 수 있는 사람들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하다. 천국을 지향하는 순례자이지만, 이미 지상에서 영원을 기
192

20.4 Page 194

▲back to top
Note
디지털 세계
대하며 살고 있는 그리스도인은 이러한 책무를 피할 수 없다.”127 프란
치스코 교황께서도 신자들에게 정치에 관심을 갖고 창의적으로 참여
할 것을 권하셨으며, 청소년들에게는 새로운 사회 건설에 ‘젊고 헌신
적ʼ으로 그리스도교적인 반응을 보이도록 권고하셨다(CV 168–174).
158. 또한, 오늘날의 지역은 단지 물리적인 것만이 아니라 디지털
포함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돈 보스코 시대에 살레시오 사
업은 “폐쇄적이고, 분리되어 있고, 비정치적이고, 자율적인” 제도 안
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제도 안에서는 모든 것이 명확하고 자급
자족하는 교육 공간 내에서 일어났으며,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교사
들은 돈 보스코와 그의 ‘아들들’이었다. 그리고 가톨릭적이고 대중적
인 단일하고 단순한 문화가 지배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화의 유일
한 열망은 하늘의 보상을 기다리면서 충분한 지상의 부를 얻는 것이
었다.”128 오늘날 살레시오 회원들이 더는 유일한 교육 주체가 아니라
는 것은 명백하다. 살레시오 사명의 주체가 교육 사목 공동체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보 기술(디지털 세계)이 이제는 문화와 인류의 변
화에 기여하고 있는 강력한 교육 주체라는 점에서 그렇다(ACG 427
17–19).
“‘현대의 새로운 아레오파고’인 디지털 세계는 청소년들의 교육자
인 우리에게 도전을 걸어오고 있다. 그것은 ‘새로운 운동장’, ‘새로운
오라토리오’로서 우리의 존재를 요구하고, 우리에게 새로운 형태의 복
음화와 교육을 하도록 고무하고 있다.”(CG27 62) 그러므로 청소년의
봉사자가 된다는 것은 “‘회원과 협력자의 전문적이고 윤리적인 적절
한 양성을 보장하고 살레시오 사회 커뮤니케이션 시스템(SSCS)을 적
용하면서’ 특히 청소년들이 살아가고 있는 디지털 세계에 의미 있는
교육 방식으로 뛰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CG27 75,4) 「그리스도는
193

20.5 Page 195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살아 계십니다」는 청소년 사목에 있어서 디지털 세계의 영역을 인정
하고 있다(CV 86–90 참조).
● 원장은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와 함께 시민적이고 사회적인 맥락 안에서
의 적절한 참여 방식을 연구하고, 교육 분야와 사회 발전 분야에서 일하는
시민 조직들과 적절히 협력할 방법을 연구한다.
● 원장과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정치 교
육을 위한 제안들을 계획하고 실행한다.
● 원장과 교육 사목 공동체 평의회는 ‘새로운 운동장’이며 ‘새로운 오라토리
오’에서 교육과 복음화의 일을 더 잘 준비하기 위해, 디지털 세계 분야에
대한 양성을 돕는 데 전념한다.
194

20.6 Page 196

▲back to top
Note
106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은 이전에 나온 살레시오 지침을 모두
모아 통합한 것이다. 이 원장 지침서 개정판 제3부에서는 『살레시오
청소년 사목 기틀』을 풍부히 인용하여 설명한다.
107 C G27 62, 25, 75.
108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제15차 정기총회, ‘청소년, 신앙과 성소 식
별’(2018) 21–24, 145–146, 「그리스도는 살아 계십니다」 86–90항
도 참조할 것.
109 C G25 70; QdR 117-118, 267.
110 A CG 363 pag. 8-9, citato in CG25 79, nota 49.
111 이것은 inside-out(내부에서 외부로) 원칙으로 유명하다. 더 높고 복
잡한 수준으로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덜 복잡한 수준에서 변화를 일
으키기 시작한다. M. Vojtaš, Progettare e discernere. Progettazi-
one educativo-pastorale salesiana tra storia, teoria e proposte
innovative, LAS, Roma 2015, 281.
112 V ojtaš, ibid., 314.
113 베키 총장이 핵심 고무자를 구성하는 두 가지 가능한 방식, 즉 축성
된 사람과 살레시오 수사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평신도만으로 형
성되지만, 후자를 ‘상호보완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흥미롭다.
형제 회원의 수와 역할에 따라 교육 사목 공동체 및 교육 사목
계획이 다양한 유형으로 진행될 수 있음을 받아들여, 질적으로
는 평신도들과 함께 교육 사목 공동체 및 교육 사목 계획을 고
무하고, 수적으로는 충분한 수를 지닌 살레시오 공동체의 현존
유형을 다루고 있는데, 그것은 관구의 재배치 및 재조정 계획
의 완성으로 이어져야 한다. 두 번째 유형인 평신도만으로 구
성된 핵심 고무자는 상호보완적이다. 인간적인 문제나 독특한
195

20.7 Page 197

▲back to top
제3부
살레시오 원장
원장과
살레시오 사명 공유
사업 특성상 그런 핵심 고무자도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을 격려
하고 후원하는 카리스마적인 모델로서 “핵심 살레시오 회원”을
주시해야 한다(ACG 363 9).
이미 언급한 것처럼, 제25차 총회는 베키 총장이 발전시킨 핵심 고무
자의 확장을 강화하고 확증했지만, 살레시오 사업의 유형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CG25 70, 78–81). 반면, 제26차 총회는 핵심 고무자
의 확장에 많은 주의를 기울이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것을 인정한다.
(가) 더 광범위한 교육 사목 공동체의 핵심 고무자인 살레시오 공동체
가 운영하는 사업들, (나) 제24차 총회 180–182항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살레시오 회원들이 평신도에게 완전히 위탁한, 또는 관구 계획
내에서 평신도들에 의해 설립되어 승인받은 활동과 사업들, (다) 단일
한 모델로 환원될 수 없는 다양한 운영 형태들, 여기서는 지역 공동체
와 사업(또는 사업들) 간.
114 「살레시오회 회헌 해설서」 820–822 참조.
115 Q dR 118. CG25 78, 80도 참조할 것.
116 C G24 172, 169-171.
117 X V Assemblea del sinodo ordinario dei vescovi, I giovani, la
fede e il discernimento vocazionale, (2018) Documento Finale
95-97.
118 R ossano Sala, Il segno della Comunità Educativo-Pastorale.
Profezia di fraternità nello spirito e nella missione salesiana
oggi, in Fare di ogni CEP la casa e la scuola della comunione,
Atti Convegno Nazionale sulla Comunità Educativo-Pasto-
rale, Salesianum - Roma, 16-19 febbraio 2017 (Roma, 2017)
66-67.
119 A CG 363 4-7. 그 모델의 다른 요소들은 교육 사목 공동체, 핵심 고
196

20.8 Page 198

▲back to top
Note
무자, 청소년들의 상황과 사고방식에 대한 인식이 있다.
120 D icastero delle Missioni e della Formazione, Formazione mis-
sionaria dei Salesiani di Don Bosco(2014).
121 C fr. Dicastero della Comunicazione Sociale, Sistema salesiano
di Comunicazione Sociale(2011).
122 C arta 46.
123 C arta 3.
124 A CS 267 18ss, CG27 pag. 130, ACG 421 22-25.
125 L ettera Apostolica del Santo Padre Francesco a tutti i consacra-
ti in occasione dell’Anno della Vita Consacrata(21 novembre
2014) 3.
126 P . Chávez, “Cristianità e prevenzione”, L’educatore oggi: tratti
per un profilo di san Giovanni Bosco. Seminario di studio, ed.
Cosimo Laneve, Università degli studi di Bari, Quaderni di At-
eneo 11 [Bari], Servizio Editoriale Universitario, 2007, 11-28.
127 A ssemblea del secondo convegno di Aquileia, Discorso del san-
to padre Benedetto XVI, Basilica di Aquileia, 7 maggio 2011.
128 P . Chávez, 위의 책. 5.
197

20.9 Page 199

▲back to top
결론
살레시오 원장
198

20.10 Page 200

▲back to top
결론
교회와 수도회의
고무와 공헌을
통합하기
159. 원장 매뉴얼의 새로운 출판은 지난 30년간 교회와 수도회로부
터 받은 자극과 기여를 다양한 성취의 정도에 따라 통합하려고 시도했
다. 본문 자체의 구조는 지난 몇 차례의 총회의 관심을, 즉 사도적 봉
헌이 주는 관점(CG26, CG27), 살레시오 수도 공동체 안에서의 원장
(특히 CG25), 교육 사목 공동체 안에서의 수도 공동체와 원장(CG23,
CG24)을 보여 주고 있다.
형제 중의 형제,
믿음과 기쁨이
넘치는 사람
160. 우리 전통에 있어 중심을 차지하는 원장의 역할을 고려할 때, 매
뉴얼은 여전히 한 사람에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처럼 보일 것
이다. 그러나 우리는 역할 중심의 권위로부터 역동적인 형제애 중심
으로의 변화와 함께 권위의 관계 모델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나 아무
리 뛰어난 사람도 오늘날 권위의 모든 무게를 감당할 수 없다. 살레
시오 원장은 자신의 개인적인 권위를 유지하면서도 형제들 사이에 형
제로 남아 있다. 그는 베드로처럼 사랑의 선물을 받았다는 것을 알기
에 깊이 믿고 희망하는 형제이다. 원장은 자신의 한계와 공동체의 한
계를 예리하게 인식하며 살고, 형제자매들과 특히 삶의 변두리에 있
는 청소년들의 요구에 깊은 살레시안의 감수성을 가지고 살아간다.
그러므로 그는 자신에게 맡겨진 봉사가 고통을 수반한다는 것을 알
고 있으며, 돈 보스코와 맘마 마르게리타와 함께 십자가에 눈길을 돌
린다. 그러나 그는 또한 세상이 구원받았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기에
가벼운 마음과 기쁨으로 살고 있다. 원장은 우리의 문서가 그리고 또
한 회원 및 평신도 사명 파트너들이 기대하는 모든 재능을 가지고 있
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는 항상 자신이 믿음의 사람이자 공동체를 환
영하고 환대하며, 동심원으로 확장되는 친교 안에서 모든 사람에게
문호를 개방하는 공동체로 만드는 법을 아는 형제가 될 수 있다는 것
을 알고 있다. 원장은 자신의 역할이 통치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고 있
199

21 Pages 201-210

▲back to top

21.1 Page 201

▲back to top
결론
살레시오 원장
으며, 그의 기질에 따라 이것이 수반하는 모든 것을 받아들인다.
마리아와 천상의 161. 원장은 우리보다 앞서간 우리의 천상의 보호자들, 특히 어머니
보호자들에게
겸손하게 의탁하며 이자 스승인 마리아, 도움을 요청할 때, 십자가 밑에 서 있을 때, 일
들을 그냥 자신의 가슴속에 묻어 둘 때를 알며, 성부의 뜻의 빛나는
구름 앞에서 걷는 항상 용기 있는 여인인 마리아께 자신을 내맡긴다.
돈 루아는 스물여섯 살 때 미라벨로에서 최초의 수도회 원장이 되
었다. 그에게 돈 보스코는 손으로 쓴 ‘원장 매뉴얼ʼ을 주었다. 거기에
는 “Studia di farti amare(사랑받도록 노력하십시오)”라는 소중한 구
절이 들어 있었으며, 이제 이 단어들은 종신서원 때 각 회원에게 주는
십자가에 새겨져 있다. ‘살아 있는 규칙’인 돈 루아는 돈 보스코가 그
의 살레시오 회원과 원장들이 되기를 원했던 최초의 인물이자 최고의
해석자이다. “여러분은 사본을 잘 적어 놓으시기 바랍니다.”(MB XI
309)라는 우리 귀에 쟁쟁히 울리는 돈 보스코의 말씀과 함께, 복자 미
켈레 루아에게 우리가 우리 아버지이자 설립자의 마음을 충실하게 해
석할 수 있도록 중재해 달라고 요청하자.
200

21.2 Page 202

▲back to top
부록 I
돈 보스코가 원장들에게 보낸 친서
돈 보스코가 돌아가시기 1년 전인 1886년 12월 8일에 쓴 원장들에게
보낸 친서의 최종판을 여러분에게 소개합니다.129 이 문헌의 원전은
1863년 돈 보스코가 루아 신부를 스물여섯 살의 나이로 토리노 밖에
세워진 첫 번째 살레시오 집인 미라벨로의 원장으로 보낼 때, 그에게
직접 써 준 것입니다. 돈 루아에게 보낸 원본 서신의 26개 조항은 여
러 해를 거치면서 새로운 내용으로 풍부해졌습니다.
원장 자신에 대해
1. 어느 것에도 화내지 마십시오.
2. 음식을 아끼지 마십시오. 원장의 고행은 부지런히 자신의 의무를
행하고, 타인이 주는 괴로움을 참아 견디는 것입니다. 밤에는 일곱 시
간 휴식을 취하십시오. 타당한 이유가 있을 때는 한 시간을 줄이거나
늘리십시오. 이것은 여러분의 건강은 물론 아랫사람들의 건강에도 이
로울 것입니다.
3. ‘경건하고, 열성적이며, 주의를 집중하여’ 미사를 드리고 성무일도
를 바칠 것입니다.
4. 매일 아침 묵상과 하루를 지내면서 성체조배를 빠뜨리지 마십시오.
나머지는 수도회의 규칙에 따르십시오.
5. 두려움의 대상이 되기보다 사랑받는 사람이 되도록 힘쓰십시오. 명
령을 내리거나 훈계를 할 때는 늘 사랑과 인내로써 하십시오. 모든 행
동과 말에서 여러분이 영혼들의 선익善益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게 하
201

21.3 Page 203

▲back to top
부록Ⅰ
살레시오 원장
십시오. 죄를 피하기 위한 것이라면 무슨 일이든 너그럽게 봐주십시
오. 섭리의 하느님께서 여러분에게 맡긴 청소년들의 영적 · 신체적 ·
지적 선익을 위해 모든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6. 중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늘 잠깐이라도 마음을 하느님께 아뢰
십시오. 보고를 받을 때는, 먼저 끝까지 주의 깊게 들어 보고, 판단을
내리기 전에 사실을 명확히 알아보고, 양측의 말도 경청하도록 노력
하십시오. 처음 듣기엔 대들보처럼 보이는 것들이 지푸라기에 지나지
않는 일도 자주 있습니다.
교사들에 대해
1. 교사들에게 음식과 의복에 대해서는 필요한 만큼 부족하지 않게 제
공하십시오. 그들의 노고를 생각하고, 그들이 아프거나 불편한 경우
그들을 대신할 사람을 즉시 교실에 보내십시오.
2. 그들과 개인적으로 또는 함께 자주 대화하십시오. 그들이 할 일이
너무 많지 않은지, 그들에게 옷이나 책이 부족하지 않은지, 그들이 신
체적 또는 도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수업 시간에 바로잡아야 할
청소년들이 있는지, 교육의 방법과 수준 그리고 징계가 특별히 필요
한가를 관찰하시기 바랍니다. 무엇이 필요한지 알게 되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제공하십시오.
3. 특별 강화講話를 할 때 청소년들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에게 질문할
것을 권고합니다. 순서대로 각자의 분량을 읽게 하십시오. 그들의 방
에 청소년들이나 다른 사람을 들여 보내서는 안 됩니다. 그것은 특별
202

21.4 Page 204

▲back to top
부록Ⅰ. 돈 보스코가 원장들에게 보낸 친서
한 우정이나 호의를 달아나게 합니다.
4. 청소년들에게 과제나 알림을 줘야 할 때, 이 목적을 위해 마련된 응
접실이나 방을 사용해야 합니다.
5. 대축일, 9일 기도나 거룩하신 마리아 축일, 국가나 기숙사의 주보
성인 축일이나 거룩한 신비를 드러내는 축일이 있을 때, 간단하게라
도 알려 줘야지, 결코 빠뜨려서는 안 됩니다.
6. 교사가 절대로 청소년들을 학교에서 내보내지 않도록 하고, 그것
이 꼭 필요할 경우 장상이 그들을 동반하도록 하십시오. 교사는 어
떤 이유로든 과실을 범한 사람이나 잘못한 사람을 체벌해서는 안 됩
니다. 중대한 일들이 발생하면, 책임자나 원장에게 즉시 알려야 합
니다.
7. 교사들은 학교 밖에서 청소년들에게 어떤 권위도 행사해서는 안 되
며, 조언, 알림이나 기껏해야 사랑으로 바로잡아야 할 것에 관한 이야
기 정도로 제한해야 합니다.
아시스텐테와 기숙사 사감에 대해
1. 아시스텐테와 기숙사 사감에게도 교사들에게 했던 말이 대부분 적
용됩니다.
2. 여러 가지 의무들을 배당할 때에는 아시스텐테들과 교사들이 연
구에 필요한 시간과 편의를 누릴 수 있도록 의무들을 배당해야 합
203

21.5 Page 205

▲back to top
부록Ⅰ
살레시오 원장
니다.
3. 아시스텐테에게 맡겨진 청소년들의 행위에 관해 그들의 의견을 기
꺼이 들어야 합니다. 그들의 가장 중요한 의무는 청소년들이 휴식, 수
업, 일, 오락과 비슷한 일을 위해 모인 곳에 반드시 함께 있는 것입
니다.
4. 그들 가운데 어떤 이가 어느 청소년과 특별한 우정을 맺고 있다거
나 그의 직무나 도덕적 태도가 위험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신중
하게 그를 그 임무에서 바꿔야 합니다. 그 위험이 여전히 남아 있다면
장상에게 즉시 알려야 합니다.
5. 모든 교사와 아시스텐테와 기숙사 사감들을 가끔 소집해서 좋지
못한 이야기를 최선을 다해 예방하게 하며, 덕행의 여왕인 순결을 위
험에 빠뜨릴 수 있는 책, 글, 이미지, 그림과 그 외 모든 것에서 멀어
지게 하십시오. 모든 이를 애덕으로 대하고 모두에게 건전한 조언을
해 주십시오.
6. 위험한 청소년들을 찾아내는 것이 공통의 관심사가 되어야 합니다.
그들을 찾아내면, 그들을 차근차근 가르치십시오.
수사들과 봉사자들에 대해
1. 수도회의 규칙서가 정한 대로 수사들이 매일 아침 미사에 참석하
여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배려하십시오. 봉사자들에게는 한 달에 한
번이나 두 번 고해성사를 받도록 권고하십시오.
204

21.6 Page 206

▲back to top
부록Ⅰ. 돈 보스코가 원장들에게 보낸 친서
2. 그대가 그들의 영적 선익을 위하고 있음을 말과 행동으로 보여 주
면서, 명령할 때에는 사랑을 담아 하십시오. 그들이 청소년들이나 외
부 사람들과 친숙해지지 않도록 특히 주의하십시오.
3. 여성들이 기숙사나 부엌에 들어가거나 봉사 활동이나 절대적인 필
요성이 아니라면 집안의 누구와도 만나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 됩니
다. 이 조항은 가장 중요합니다.
4. 봉사자들, 아시스텐테들, 청소년들 또는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 의
견의 불일치나 다툼 등이 발생할 때, 친절하게 각자의 말을 경청하되,
다른 사람에 대해서 말하는 것을 듣지 않도록 당신의 의견을 따로 말
하십시오.
5. 성실함이 입증된 수사를 봉사자들의 책임자로 정하고, 도난이 발
생하거나 좋지 않은 대화를 하지 않도록 그들의 일과 도덕성을 감독
해야 합니다. 또한, 그들이 친척이나 외부인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
지 못하도록 계속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청소년들에 대해
1. 다른 기숙사에서 쫓겨났거나 나쁜 습관을 지닌 청소년들을 절대
받지 않아야 합니다. 적절한 주의를 기울였음에도 이런 유형의 사람
을 받아들인다면, 그를 도와주어야 하고 시선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즉시 확실한 동료를 지명하십시오. 그가 만일 경범죄에 연루되면,
한 번은 그에게 통지하고, 다시 그런 죄를 범하면 즉시 집으로 보내
야 합니다.
205

21.7 Page 207

▲back to top
부록Ⅰ
살레시오 원장
2. 청소년들이 여러분을 알게 하고, 가능한 한 그들과 시간을 보내면
서 그들을 알려고 해야 합니다. 여러분이 잘 아는 귓속말로 애정이 담
긴 말을 할 때 조금씩 그들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알게 될 것입니다. 이
것은 여러분을 그들 마음의 주인이 되게 하는 큰 비밀입니다.
3. 다음과 같이 질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무슨 질문을 하냐고요? 그
것은 옛날에 여러분에게 했던 것과 같은 말입니다. 예를 들면, “어떻
게 지내니?” “좋아요.” “그러면 영혼은 어떠니?” “그저 그래요.” “큰
일이 있는데 나 좀 도와줘야겠어. 도와줄 거지?” “그래요, 그런데 무
엇을?” “네가 착한 사람이 되도록.” 또는 “너의 영혼을 구원하기 위하
여.” 또는 “청소년들 가운데 네가 가장 착한 사람이 되도록.”
- 가장 산만한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언제 시작할 거니?” “무
엇을 할 건데요?” “성 루이지처럼 행동하는 것은 나에게 위로가 돼.”
- 성사에 참여하는 것에 약간 저항하는 사람들을 위해: “언제 악마
의 뿔을 깨부술 거니?” “어떻게요?” “잘 준비된 고해성사로.” “언제
해요?” “가능한 한 빨리.”
- 다른 경우에: “우리 언제 깨끗하게 청소할까?” 또는 “악마의 뿔
을 깨부술 수 있도록 나 좀 도와줄래?” “우리 둘이 영혼의 친구가 되
길 원하니?”
4. 우리 집에서 원장은 통상적인 고해 사제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
은 기꺼이 누군가의 고해를 들어야 하지만, 그들이 원한다면 다른 사
람에게 고해성사를 볼 수 있도록 폭넓은 자유를 줘야 합니다. 여러분
은 도덕적 행위에 대해 다루는 투표에 참여하지 말고, 여러분이 관여
했거나 고해성사에서 들은 것을 기억한다는 의혹의 그림자에서 벗어
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보다 자기가 특별히 선호하
는 한 사제에게만 고백하는 것과 같은 편애하는 모습은 전혀 보이지
206

21.8 Page 208

▲back to top
부록Ⅰ. 돈 보스코가 원장들에게 보낸 친서
말아야 합니다.
5. 복사단, 성 알로이시오회, 거룩한 성사와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
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을 권장하고 고무해야 합니다. 그런 단체에 등
록한 사람들에게 호의와 만족을 보여 줘야 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그들의 원장이 아니라 고무하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그것은 청소년들
이 해야 할 일로, 교리교사가 지도해야 합니다.
6. 중대한 결함이 발견될 때, 잘못한 사람이나 의심이 가는 사람을 여
러분의 방으로 불러 친절한 사랑으로 그가 저지른 잘못과 실수를 인
정하여 받아들이게 합니다. 그러고 나서 그를 바로잡고 양심의 문제
들을 돌아볼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이렇게 청소년에게 친절한 도움
을 계속 제공할 때, 놀라운 결과와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변화가 일
어날 것입니다.
외부인들에 대해
1. 종교적 직무, 설교, 사람들의 편의를 위한 미사 집전, 고해성사에
대해 우리의 형편이 허락할 때마다, 특히 우리 집에 속한 본당을 위
해 기꺼이 응합시다. 그러나 그대를 집에서 벗어나게 한다거나, 각자
에게 맡겨진 직무 이행을 방해하는 소임이나 활동은 절대 받아들여
서는 안 됩니다.
2. 예의로 외부 사제들을 강론에 초대하거나 대축일, 음악회와 유사한
행사 등에 초대하십시오. 지역 당국자들이나 우리에게 호의를 베풀었
거나 베풀 수 있는 은인들이나 유지들도 초대하십시오.
207

21.9 Page 209

▲back to top
부록Ⅰ
살레시오 원장
3. 집 안팎의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과 예의는 원장의 두드러진 특징
이 되어야 합니다,
4. 물질과 관련된 문제가 생길 때 모든 분쟁을 막아 주고 사랑을 잃어
버리지 않게 한다면, 다소 손해가 있더라도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
십시오.
5. 영적인 문제라면, 항상 하느님께 더 큰 영광을 돌리는 방식으로 문
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십시오. 자기 일, 완고함, 앙갚음하고 싶은 마
음, 자기애, 논쟁, 요구와 명예, 이 모든 것을 죄를 피하기 위해 희생
해야 합니다.
6. 아주 중요한 문제가 있을 때는 신심이 깊고 신중한 사람의 자문을
구하고 기도할 시간을 청하는 게 좋습니다.
회원들에 대해
1. 규칙을 정확히 준수하고 특히 순명하는 것이 모든 것의 토대입니
다.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에게 순명하기를 원하거든 그대의 장상들에
게 순명하십시오. 자신은 순명하지 않으면서 명령을 내리는 것은 언
어도단입니다.
2. 아무에게도 과도한 짐을 지우는 법이 없이 공정하게 임무를 배분
하며, 모두가 자기에게 맡겨진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게 하십시오.
3. 수도회의 어떤 회원도 계약을 맺거나, 돈을 받거나, 친척이나 친구
208

21.10 Page 210

▲back to top
부록Ⅰ. 돈 보스코가 원장들에게 보낸 친서
나 다른 사람에게 돈을 빌려 주거나 빌려서는 안 됩니다. 장상이 명백
히 허락한 경우가 아니라면, 돈을 보관하거나 재화를 관리해서는 안
됩니다. 이 조항을 지키는 것이 수도회의 가장 치명적인 병폐를 피하
는 길입니다.
4. 규칙을 변경하는 것을 독처럼 혐오하십시오. 규칙을 고치려 하기
보다 정확히 준수하는 편이 더 낫습니다. 최고를 찾는 것은 오히려
의 적이 될 수 있습니다.
5. 오랜 세월에 걸친 연구와 경험의 결과 탐식과 탐욕, 허영은 번영
하는 수도회와 존경받는 수도회의 질서를 파멸시킨다는 것을 알려 줬
습니다. 지금은 믿기 어렵겠지만, 세월이 이 진리를 여러분에게 알려
줄 것입니다.
6. 말과 행동으로 공동 생활을 고무하도록 최대한 신경을 쓰십시오.
명령을 내릴 때
1. 아랫사람에게 능력에 벗어난 일이나 순명할 수 없을 만한 일을 시
켜서는 안 됩니다. 불쾌하게 여겨질 명령은 내리지 마십시오. 각자
의 성향에 따라 좋아할 만한 임무를 맡길 수 있도록 최대한 배려하
십시오.
2. 건강을 해칠 수 있거나, 필요한 휴식을 앗아가거나 혹은 다른 장
상이 내린 명령이나 의무와 상충되는 명령은 절대 내려서는 안 됩
니다.
209

22 Pages 211-220

▲back to top

22.1 Page 211

▲back to top
부록Ⅰ
살레시오 원장
3. 명령을 내릴 때는 항상 사랑과 온유의 말과 행동으로 해야 합니
다. 폭력은 물론 위협이나 화가 여러분의 말이나 행동에 나타나서는
안 됩니다.
4. 아랫사람에게 어렵거나 싫은 것을 명령해야 할 때는 이렇게 하십
시오. “이런 것이나 저런 것 좀 해 줄 수 있는가?”라든지, “중요한 일
이 있는데 어려운 일이라서 자네에게 부담을 주고 싶지 않네. 그런데
자네처럼 그 일을 해낼 만한 사람이 없네. 자네는 시간과 건강이 있
네. 자네가 맡은 다른 일에 방해가 되지는 않을까?”라고. 내 경험으
로 보아 적절한 때에 그런 제의를 하면 아주 효과적입니다.
5. 무슨 일에서든 늘 절약하되 아픈 이에게는 부족함이 없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모든 이들에게 우리가 청빈서약을 했다는 것을 알리
십시오. 따라서 우리는 어떤 안락을 추구하거나 심지어 바라서도 안
됩니다. 우리는 가난과 청빈이라는 친구를 사랑해야 합니다. 그러므
로 옷과 책과 가구를 구입하거나 여행을 할 때 그리고 그 밖의 일에
서도 꼭 필요하지 않은 지출은 하지 않도록 하십시오.
바로 이것이 내가 각 집의 원장들에게 남기는 유언입니다. 이 권
고들을 실천해 준다면, 나는 하느님께서 우리 수도회를 축복하시리
라는 것, 우리 수도회가 사람들 앞에서 더욱더 번창할 것이며, 하느
님의 더 큰 영광과 영혼들의 구원이라는 목표를 이루리라는 것을 확
신하고 편안히 눈 감을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깊은 애정을 담아
사제 요한 보스코
210

22.2 Page 212

▲back to top
부록Ⅰ. 돈 보스코가 원장들에게 보낸 친서
토리노, 1886년,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오라토리오 설립 45주년 기념
129 Istituto Storico Salesiano, Fonti salesiane. 1. Don Bosco e la sua
opera. Raccolta antologica, LAS, Roma 2014, 425-430.
211

22.3 Page 213

▲back to top
부록Ⅱ
살레시오 원장

22.4 Page 214

▲back to top
부록 II
교회법에서 말하는 장상
지역 공동체 장상에 대해 언급하는 교회법의 조항들을 여기서 소개한
다. 규범의 질서는 회헌 191조에 다음과 같다. “공동체와 형제 회원
들의 생활과 활동은 교회의 보편법과 수도회의 고유법에 의해 조정된
다. 이 고유법은 우리의 기본 법전인 회헌 그리고 일반 회칙, 총회의
결의, 총지침서 및 관구 지침서와 해당 권한의 결정 속에 명시되어 있
다.” 개별 교회법 조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양한 언어로 된 교회
법 해설서와 특정 연구를 참조한다.
권력, 특성, 의무, 임무
제596조 - 개인적이며 집합적인 권력
① 회들의 장상들과 회의들은 회원들에 대하여 보편법과 회헌으로 규
정된 권력을 가진다.
② 성좌 설립의 성직자 수도회에서는 그들이 외적 법정에서나 내적 법
정에서나 교회 통치권도 가진다.
③ 제1항에 언급된 권력에 제131조(정규 통치권 및 위임된 통치권),
제133조(대리자 위임의 한계)와 제137–144조(집행권 행사 양식)의
규정들이 적용된다.
제608조 – 수도원
수도 공동체는 법규범에 따라 지명된 장상의 권위 아래 합법적으로
설치된 집(수도원)에서 살아야 한다. 수도원마다 적어도 성찬이 거
행되고 보존되어 진정으로 그 공동체의 중심이 되는 경당이 있어야
한다.
제617조 – 권력 행사 양식
장상들은 보편법과 고유법의 규범에 따라서 자기 임무를 수행하고 권
213

22.5 Page 215

▲back to top
부록Ⅱ
살레시오 원장
력을 행사하여야 한다.
제618조 – 봉사 정신
장상들은 교회의 교역을 통하여 하느님께로부터 받은 자기 권력을 봉
사의 정신으로 행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임무 수행 중에 하느님의
뜻에 순종하여, 종속자들을 하느님의 자녀로서 다스리고 인격을 존중
함으로써 그들의 자발적 순명을 장려하며, 그들의 의견을 기꺼이 듣
고 수도회와 교회의 선익을 위한 그들의 협동을 조장하여야 한다. 다
만 해야 할 일을 판정하고 명령할 장상들의 권위는 보존된다.
제619조 – 장상의 의무
장상들은 자기 직무를 성실하게 수행하여야 하고 자기에게 맡겨진
회원들과 함께 무엇보다도 하느님을 찾고 사랑하는 형제적 공동체
를 그리스도 안에 건설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자주 회원
들을 하느님 말씀의 양식으로써 양육하고, 그들을 거룩한 전례의 거
행에로 인도하여야 한다. 덕행의 함양과 자기 소속회의 법률과 전통
의 준수에 있어서 그들에게 모범이 되어야 한다. 그들의 개인적 필요
를 알맞게 도와주고 병자들을 자상하게 간호하고 방문하며 불안정한
이들을 타이르고 마음이 약한 이들을 위로하며 모든 이에게 인내로
워야 한다.
제623조 – 임명
회원이 장상의 임무에 유효하게 임명되거나 선출되려면, 종신 또는
확정적 선서 후 고유법으로 또는 상급 장상의 경우에는 회헌으로 규
정될 적당한 기간이 요구된다.
214

22.6 Page 216

▲back to top
부록Ⅱ. 교회법에서 말하는 장상
제624조 – 임기
① 장상들은 회의 본성과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일정 기한부로 선임
되어야 한다. 다만 총원장이나 자치 (수도)원 장상들을 위하여 회헌이
달리 규정하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일정 임기로 선임된 장상이 중단 없이 너무 오래 통치 직무에 머
물러 있지 아니하도록, 고유법이 적절한 규범으로 대비하여야 한다.
③ 그들은 고유법으로 정하여진 이유에 의하여 임기 중에라도 그 직
무에서 해임되거나 다른 직무로 전임될 수 있다.
제627조 – 평의회, 의무와 책임
① 장상들은 회헌의 규범에 따라 고유한 평의회를 두고 그 도움을 임
무 수행에 활용하여야 한다.
② 보편법에 규정된 경우 외에도, 제127조 규범에 따라 유효하게 행
하기 위하여 동의나 자문이 요구되는 경우를 고유법이 정하여야 한다.
제629조 – 거주 의무
장상들은 각자 자기의 (수도)원에 거주하여야 하고 고유법 규범에 따
르지 아니하고서는 그곳을 떠나지 말아야 한다.
제630조 – 고해성사와 양심의 지도에 관한 규범
① 장상들은 회원들에게 고해성사와 양심의 지도에 관하여 합당한 자
유를 인정하여야 한다. 다만 (수도)회의 규율은 보존된다.
② 장상들은 고유법 규범에 따라 회원들에게 적합한 고해 사제들을 마
련해 주어 그들에게 자주 고해할 수 있도록 보살펴야 한다.
③ 수녀승들의 수도승원들과 양성소들과 회원들이 많은 평신도 공동
체들에는 교구 직권자가 그 공동체와 의논한 후 승인한 정규 고해 사
제들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들에게로 가야 할 의무는 지우지 말아
215

22.7 Page 217

▲back to top
부록Ⅱ
살레시오 원장
야 한다.
④ 장상들은 종속자들의 고해를 듣지 말아야 한다. 다만 수하 회원들
이 자발적으로 청하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⑤ 회원들은 신뢰를 가지고 장상들에게 나아가 자유로이 자발적으
로 자기의 속마음을 열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장상들은 자기들에
게 양심을 내보이도록 어떠한 방식으로라도 회원들을 유도하는 것
은 금지된다.
제636조 – 지역 공동체 장상과 구별되는 경리
① 수도회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하게 상급 장상에 의하여 다스려지는
관구마다 상급 장상과 구별되고 고유법의 규범에 따라 임용되어 소속
장상의 지도 아래 재산을 관리하는 재무 담당(당가)이 있어야 한다.
지역 공동체들에도 될 수 있는 대로 지역 장상과 구별되는 재무 담당
(당가)이 있어야 한다.
제661조 – 형제 회원들의 평생 양성을 위한 적절한 배려
수도자들은 전생애를 통하여 자기의 영적, 학문적, 실제적 양성을 성
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장상들은 회원들에게 이를 위한 원조와 시간
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제665조 – 수도원을 불법적으로 떠난 회원을 찾기
② 장상들의 권력을 벗어날 마음으로 수도원을 불법적으로 떠난 회원
은 장상들이 애써 찾아서 그가 수도원에 돌아와 자기의 성소에 항구
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제687조 – 영외 거주 수도자에 대한 배려
봉쇄 해제를 받은 회원은 새로운 생활 조건과 병행할 수 없는 의무를
216

22.8 Page 218

▲back to top
부록Ⅱ. 교회법에서 말하는 장상
면제받은 것으로 간주되지만 여전히 소속 장상의 종속과 배려 아래
머물러 있고 특히 성직자인 경우에는 교구 직권자의 종속과 배려 아
래에도 있다. 윤허에 달리 정하여 있지 아니하는 한 수도복을 입을 수
있다. 그러나 선거권과 피선거권은 없다.
제703조 – 수도원에서 즉각적인 추방130
중대한 외적 추문이나 지극히 중대한 손해가 회에 임박한 경우에는 그
회원이 상급 장상에 의하여, 또는 지체하면 위험하게 되는 경우에는
평의회의 동의를 얻은 그 지역 장상에 의하여 즉시 수도원에서 추방될
수 있다. 상급 장상은 필요하다면 법규범에 따라 제명 처분의 절차를
밟게 하거나 또는 이 사실을 사도좌에 이송하여야 한다.
제911조 – 병환 중에 있는 형제들에게 노자성체를 줄 권리
① 병자들에게 노자성체를 영하여 주는 의무와 권리는 본당 사목구
주임과 본당 사목구 보좌들과 담당 사제들에게 있고 성직자 수도회
나 사도생활단의 집에 사는 모든 이들에 대하여는 그 공동체의 장상
에게 있다.
제1179조 – 죽은 회원들의 장례식
수도자들이나 사도생활단의 회원들의 장례식은 일반적으로 소속 성
당이나 경당에서, 그 회나 단이 성직자회라면 그 장상에 의하여, 그러
하지 아니하면 담당 사제에 의하여 거행된다.
제1196조 – 사적 서원들을 관면할 수 있는 권한
정당한 이유가 있으면 타인의 기득권을 침해하지 아니하는 한, 사적
서원들을 관면할 수 있는 이들은 교황 외에도 다음과 같다.
1. 교구 직권자와 본당 사목구 주임은 자기들의 모든 소속자들뿐 아
217

22.9 Page 219

▲back to top
부록Ⅱ
살레시오 원장
니라 체재자들에 대하여.
2. 수도회나 사도생활단이, 성좌 설립 성직자회이면 그 장상은 그 회
원들과 수련자들 및 그 회나 단의 집에서 주야로 지내는 자들에 대
하여.
3. 사도좌나 교구 직권좌로부터 관면권을 위임받은 이들.
제1203조 – 약속의 맹세를 관면할 수 있는 권한
서원을 정지시키고 관면하고 교환할 수 있는 이들은 약속의 맹세에 관
하여서도 같은 이유로 같은 권력을 가진다. 그러나 맹세의 관면이 그
의무의 면제를 거부하는 타인들의 침해를 지향하면, 사도좌만이 그
맹세를 관면할 수 있다.
교구와 사도직 활동
제463조 – 교구 시노드 참석
① 교구 대의원 회의에 대의원으로서 소집되고 또 참석할 의무가 있
는 자는 아래와 같다.
[…]
9. 교구장 주교가 정한 인원수와 방식대로 선출된 교구 내에 집(수
도원)을 가지고 있는 수도회들과 사도생활단들의 약간 명의 원장들.
제677조 – 회의 고유한 사명과 사업 그리고 신중한 개선에 관한 권한
① 장상들과 회원들은 회의 고유한 사명과 사업을 충실히 고수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대와 장소의 필요에 유의하여 적당한 새로운 수단들
도 응용하여 신중하게 적응하여야 한다.
② 회들이 만일 자기들에게 부속된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단체들을 거
느리고 있다면, 그들이 자기들 가족의 순수한 정신에 흠뻑 젖도록 특
218

22.10 Page 220

▲back to top
부록Ⅱ. 교회법에서 말하는 장상
별한 배려로 도와주어야 한다.
제678조 – 교구장과의 관계
① 수도자들은 영혼들의 사목과 하느님 경배의 공적 수행과 그 밖의
사도직 사업에 관한 일에 있어서 주교들의 권력에 종속되며 그들에게
진실한 순종과 존경을 드려야 한다.
② 수도자들은 외부의 사도직을 수행하는 때에도 소속 장상들에게도
종속되고 회의 규율을 충실히 지켜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주교 자
신이 이 의무를 강조하기를 소홀히 말아야 한다.
③ 수도자들의 사도직 사업을 조정함에 있어서 교구장 주교들과 수도
회 장상들은 서로 의논하면서 진행시켜야 한다.
제778조 – 교리교육을 위한 배려
수도회 장상들과 사도생활단들의 장상들은 그들의 성당들과 학교들
그리고 어떤 형태로든지 그들에게 맡겨진 사업체들에서 교리교육이
성실히 실시되도록 보살펴야 한다.
제968조 – 고해를 들을 특별 권한
① 교구 직권자와 고해 담당 의전 사제 및 본당 사목구 주임과 그 밖
의 사목구 주임의 대행자들은 직무상 각각 자기 구역에서 고백을 들
을 특별 권한을 가진다.
② 수도회나 사도생활단이 성좌 설립의 성직자회나 단이라면 회헌 규
범에 따라 통치 집행권을 가지는 그 회나 단의 장상들은 자기 소속자
들 및 그 집에서 주야로 지내는 자들의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을 직무
상 가진다. 다만 제630조 제4항의 규정은 보존된다.
219

23 Pages 221-230

▲back to top

23.1 Page 221

▲back to top
부록Ⅱ
살레시오 원장
제969조 – 교구 직권자의 권한과 수도 장상의 대리자에게 수여한
특별 권한
① 교구 직권자만이 어느 신자들의 고백이라도 들을 특별 권한을 어
느 탁덕들에게든지 수여할 권한이 있다. 다만 수도회원들인 탁덕들
은 소속 장상의 적어도 추정되는 허가 없이는 그 특별 권한을 행사하
지 말아야 한다.
② 제968조 제2항에 언급된 수도회나 사도생활단의 장상은 자기 소
속자들 및 그 집에서 주야로 지내는 자들의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을
어떤 탁덕들에게든지 수여할 권한이 있다.
동의, 자문과 허락이 요구되는 행위
제119조 - 선거와 합의체적 행위
합의체적 행위에 관하여는 법으로나 정관으로 달리 규정되지 아니하
는 한, 다음과 같다.
1. 선거에 관하여는, 소집되어야 할 이들의 과반수가 참석하여 참석
자들의 절대 다수가 찬성하면 법적 효력을 가진다. 두 번의 개표로도
결정되지 아니하면 다수표를 얻은 2명의 후보자에 대하여 투표하고,
만일 그러한 후보자들이 여러 명이면 2명의 연령의 선배들에 대하여
투표한다. 세 번째 개표에서도 득표 수가 같으면 연령의 선배가 당선
자로 간주되어야 한다.
2. 다른 사항에 관하여는, 소집되어야 할 이들의 과반수가 참석하여
참석자들의 절대다수가 찬성하면 법적 효력을 가진다. 두 번의 개표
후에도 득표수가 같으면 의장(주재자)이 결재투표를 할 수 있다.
3. 모든 이들에게 개인적으로 관련되는 것은 모든 이들에게서 승인
되어야 한다.
220

23.2 Page 222

▲back to top
부록Ⅱ. 교회법에서 말하는 장상
제127조 – 단체나 집단 또는 개인들의 동의나 자문이 요구되는 행위131
① 장상이 행위를 행하기 위하여 어느 특정한 단체나 집단의 동의나
자문이 필요하다고 법으로 규정되어 있는 때에는 그 단체나 집단이
교회법 제166조의 규범에 따라 소집되어야 한다. 다만 자문만 요구되
는 경우에 개별법이나 고유법으로 달리 규정되어 있으면 그러하지 아
니하다. 그러나 행위가 유효하려면 참석한 자들의 절대다수의 동의를
얻거나 모든 이들의 자문을 받아야 한다.
② 장상이 행위를 행하기 위하여 어느 특정한 사람들의 동의나 자문이
개별적으로 필요하다고 법으로 규정되어 있는 때에는
1. 동의가 요구된다면, 그 사람들의 동의를 구하지 아니하였거나 또는
그들이나 그들 중 어떤 이의 의견을 거슬러 행한 장상의 행위는 무효다.
2. 자문이 요구된다면, 그 사람들의 자문을 받지 아니한 장상의 행위
는 무효다. 장상은 그들의 의견을 비록 만장일치라도 따를 의무가 전
혀 없지만, 자기의 판단에 따라 우월한 이유가 없는 한 그들의 의견을
특히 만장일치면 물리치지 말아야 한다.
③ 동의나 자문이 요구되는 모든 이들은 자기의 의견을 성실히 표명
하고 또한 업무의 중요성이 비밀을 요구하면 이를 엄격히 지킬 의무
가 있다. 이 의무는 장상에 의하여 강제될 수 있다.132
제307조 – 한 수도자가 다른 단체에 가입하도록 허락
③ 수도회들의 회원들은 고유법의 규범에 따라 자기 장상의 동의 아
래 단체들에 가입할 수 있다.
제638조 – 비통상적 관리 행위, 양도, 법적 처분을 하기 위한 승인
① 보편법의 범위 내에서 통상적 관리의 한계와 양식을 초과하는 행
위를 규정하고 비통상적 관리 행위를 유효하게 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것은 고유법에 속한다.
221

23.3 Page 223

▲back to top
부록Ⅱ
살레시오 원장
② 장상들 외에도 고유법에 따라 이 직무에 지명된 임원들은 자기
임무의 범위 내에서 통상적 관리의 비용 지출과 법률 행위를 유효
하게 할 수 있다.
③ 법인의 세습 자산의 조건이 악화될 수 있는 양도나 처리가 유효하
기 위하여는 평의회의 동의를 얻은 관할 장상의 서면 허가가 요구된
다. 더구나 성좌가 지방별로 정해 준 총액을 초과하는 업무이거나 서
원으로써 교회에 기증된 사물이거나 예술적 또는 역사적 이유로 보배
로운 사물인 경우에는 성좌의 허가도 요구된다.
④ 제615조에 언급된 자치 수도승원들과 교구 설립 (수도)회들에 대
하여는 교구 직권자의 서면 동의도 필요하다.
제665조 – 수도자가 수도원을 떠날 수 있도록 허락
① 수도자들은 소속 수도원에서 공동생활을 하면서 상주하여야 하고,
자기 장상의 허가가 없이는 그곳을 떠나지 말아야 한다. 장기간 수도
원을 떠나는 경우에는 상급 장상이 평의회의 동의 아래 정당한 이유
로 수도원 밖에서 지낼 허가를 회원에게 줄 수 있으나 1년 이상은 아
니 된다. 다만 병 치료나 학업 또는 회의 이름으로 수행할 사도직의 이
유가 있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장상들의 권력을 벗어날 마음으로 수도원을 불법적으로 떠난 회원
은 장상들이 애써 찾아서 그가 수도원에 돌아와 자기의 성소에 항구
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제671조 – 수도자가 수도회 밖에서 임무와 직무를 받기 위한 허가
수도자는 합법적 장상의 허가 없이는 자기의 소속회 밖의 임무와 직
무를 받지 말아야 한다.
222

23.4 Page 224

▲back to top
부록Ⅱ. 교회법에서 말하는 장상
130 시급하고 특별한 특성을 지닌 이 규정은 수도회로부터의 제명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131 회헌 181조, 회칙 180–181조 참조.
1985년 7월 5일 교회법의 라틴어 조문을 올바로 해석하기 위한
교황청 위원회가 제정한 교회법 제127조의 참된 해석은 장상이
행동을 위해 단체나 집단의 동의가 필요할 때, 그 장상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자신의 표를 줄 권리가 없으며, 동률을 결정해서도 안
된다고 정하였다.
반면 그 행위(예를 들면, 수도서원 또는 성품 수락 또는 양도 허락)
가 관구 평의회의 동의를 얻은 관구장의 권한에 속하고, 지역 공동체
장상이 그의 평의회의 자문을 구하도록 요청할 때, 그 경우 지역
공동체 장상은 그의 평의원과 함께 투표한다.
132 이 규범의 정신에 따르면 기권은 합법적이지 않다.
223

23.5 Page 225

▲back to top

23.6 Page 226

▲back to top